• Title/Summary/Keyword: 영역별 특성

Search Result 1,1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Seo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1-34
    • /
    • 2018
  • 다중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지능이 단일한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construct)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복수의 하위 능력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Gardner는 다중지능의 구성을 음악지능이나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그리고 자연친화지능 등과 같은 상호독립적 능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개인은 각 능력 영역에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실행 행동, 창업 분야, 창업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본인의 적성과 재능에 적합한 분야에서의 창업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돕는 지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의 구성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 200인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창업 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의 3가지이다. 가설 1.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과 창업 실행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가 선택한 창업 분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의 창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low-frequency reverberation in shallow water (천해에서의 저주파 잔향음 특성)

  • Park Kilsun;Na Jungyul;Choi Jee Woong;Oh Suntaek;Park Joung-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93-96
    • /
    • 2000
  • 수중 폭발성 음원(SUS)을 이용한 천해 저주파 잔향음 실험을 97년 제주 해역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된 신호를 고유음선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영역에서 잡음, 반사, 산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해서 주파수별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이 갖는 확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해역은 안정된 해저 형태를 갖는 천해였으므로 산란 신호는 일정한 크기를 갖고 지속적으로 수신되었다. 스펙트럼 분석 결과,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갖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분된 영역별 위상은 반사영역과 산란영역의 위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구분된 각 영역에 대해 1/3 옥타브 벤드로 필터링 하여 확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파수영역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각각 정규 분포를 보였으며 그것의 진폭(envelope)은 레일리 분포를 나타냈다. 또한 산란신호의 위상은 저주파 대역에서 유니폼 분포 특성을 나타내어 잔향음의 기본적인 확률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 PDF

Adaptive Image Interpolation Algorithm Using Local Characteristics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영상 보간 방법)

  • Jeong, Shin-Cheol;Song, Byung-Ch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5
    • /
    • pp.111-11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n adaptive image interpolation algorithm using local characteristics. An input image is classified into edge region and flat low frequency region. And then, the edge region is further partitioned into directive edge region and high frequency texture region. A bilinear interpolation is applied to flat low frequency region, cubic convolution is applied to texture region, and new edge directed interpolation to directive edge region, respectivel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s in terms of visual quality as well as PSNR.

Comparision on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 Kwon, Jeom-R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6 no.1
    • /
    • pp.29-5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ison of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NA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ratios,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of contents area and behavioral area in 6th, 9th, and 11th grades. This study found the change of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ratios, and the proficient level and below basic level students'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of contents area and behavioral area in 6th, 9th, and 11th grades.

Meta-data Configuration and Wellness Feature Analysis Technique for Wellness Content Recommendation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성 및 웰니스 특성 분석 기법)

  • Hong, Min-Sung;Lee, O-Joun;Lee, Won-Jin;Lee, Jae-D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8
    • /
    • pp.83-93
    • /
    • 2014
  • Research into recommendation systems for wellness content has focu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well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est in wellness has recently increased. But existing research is not suitable because it uses only one or two of the five wellness area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And It cause decline of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for recommendation. Thus, a wellness areal feature analysis and integration management technique is needed. In this paper, suggest meta-data configuration and feature analysis technique of content. Also Cosine similarity of wellness areal features of the content was analyzed by applying a wellness areal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and by suggested wellness areal detailed properties and a measurement system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This allows the wellness features of contents analyzed, and even will be able to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service for wellness.

Efficiency Algorithm of Multispectral Image Compression in Wavelet Domain (웨이브릿 영역에서 다분광 화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압축 알고리듬)

  • Park, Gyeong Nam;Kim, Yeong Chun;Jang, Jong Guk;Lee, Geon 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4
    • /
    • pp.38-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와 대역간 예측 및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다분광 화상테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각 대역을 웨이브릿 변환 후, 각 대역의 기저밴드의 대역별 특성을 이용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였다. 그리고, 다른 대역과 해상도가 동일하고 공간적 분산이 작으며 분광적 상관성이 큰 기준대역 (reference channel)을 결정한 뒤, 이를 영역별 스칼라 및 분류별 가변 벡터 양자화를 행하여 부호화 하였다. 또한 기준대역과의 대역간 상관성이 큰 대역들에 대해서는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한 후, 활동도가 높은 블록에 대해서만 선택적 벡터 양자화로 부호화를 행하였다. 이때, 활동도가 높은 블록들의 위치정보는 기준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임계치 지도 (threshold map; THMAP)를 이용하였다. 즉, 제안한 방법에서는 각 대역에 대해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 후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함으로써 다분광 화상데이타에 존재하는 대역간 중복성을 제거하고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대역내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제 원격 센싱된 인공위성 화상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부호화 효율이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aliency-based Backlight Regulation Method in LCD Display (중요객체 검출에 기반 한 LCD 디플레이의 백라이트 조정 방법)

  • Park, Jae Sung;Hwang, Insu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60-46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 중 하나인 돌출영역(saliency region) 응시 특성을 고려한 LCD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입력 영상의 화소 분포를 분석하고 주된 응시 영역 검출 결과를 가중치 함수로 이용하여 영역별로 분할된 영상의 블록에 대응하는 백라이트를 증폭 혹은 감소시킨다. 소비전력의 증가 없는 백라이트 블록별 증폭 기법 구현을 위하여 백라이트 증폭 총량은 백라이트 감소 총량으로 제한하고 블록 별로 증폭 양 결정을 위하여 MPEG2 TM-5 Rate Control 모델을 도입하여 적응적 백라이트 레벨 결정 방식을 적용하였다. 백라이트 증폭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방법이 소비전력 증가 없이 인간 시각이 주로 응시하는 돌출 영역의 화질을 개선함을 보였다.

  • PDF

Digital Image Processing in Analyzing the Signal Pattern of Rock-Inscribed Letter (디지털영상신호처리에 의한 금석문 음각문자 신호 패턴 분석)

  • Hwang,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c
    • /
    • pp.758-761
    • /
    • 2003
  • 금석문의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검출하고, 영상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대상체는 비석에 음각된 문자로 하였다. 대전 주변의 백제권에서 몇몇 유형의 음각 문자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한 다음, 문자가 각인된 정보영역과 바탕영역의 신호패턴을 추출하였다. 먼저 칼라 이미지를 grey tone으로 변환한 후,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지의 노이즈나 불명확성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전 영역에 걸쳐 스케일 확장시켰다. 문자가 각인된 정보영역과 바탕영역을 구분하여 무작위로 소이미지 샘플을 취득하고 각 소이미지의 신호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중첩의 원리를 이용하여 합성한 후 영역별 신호분석 패턴을 정형화하였다. 유형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나 두 영역의 이미지 분석 결과는 차별성을 보였다. 문자 영역은 grey level 범위가 좁고 한정되며 일관성을 보이는데 비해, 바탕영역은 범위가 넓고 광범위하였다. 두 영역의 교차 레벨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었으며 패턴 분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음이 밝혀졌다. 이 일련의 과정은 알고리즘화되어, 1-2분 정도의 사전 작업만 하면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종래 무리한 탁본 작업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던 금석학 분야의 디지털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 PDF

Selective Quantization Based on Band Property for Wideband Signal Codec (광대역 신호 압축기를 위한 주파수 대역 특성에 선택적인 양자화 방법)

  • 송재종;박호종;김무영;김도석;김정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7
    • /
    • pp.76-82
    • /
    • 2001
  • In this paper, a novel quantization method for wideband signal codec with 7 kHz bandwidth is proposed. In the transform-based wideband signal codecs, the signal is transformed to frequency domain and the spectral coefficients in each frequency band are quantized based on human perceptual model, followed by Huffman coding. However, the property of each band varies with frequency, and the codec has poor performance when all bands are quantized with the same method. Therefore, a selective quantization method is proposed, which analyzes the band property and selects the quantization domain between frequency domain and time domain based on the quantization efficiency.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quantizer of G722.1 codec.

  • PDF

IGZO films deposited by DC and DC pulsed magnetron sputtering (DC와 DC pulsed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한 IGZO 박막 증착)

  • Kim, Min-Su;Kim, Se-Yun;Seong, Sang-Yun;Jo, Gwang-Min;Hong, Hyo-Gi;Lee, Jun-Hyeong;Kim, Jeong-Ju;Heo, 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139-139
    • /
    • 2011
  • DC magnetron sputtering과 DC pulsed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공정 압력별, $O_2$ 분압별, 온도등의 증착조건에 따른 IGZO 박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Working pressure 따른 deposition rate 측정한 결과 동일 파워 적용 시 DC magnetron sputtering 대비하여 DC pulsed magnetron sputtering 은 약 84% 수준에 머물렀으며, IGZO 박막 내에 $O_2$의 분압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는 단파장 영역에서 장파장 영역으로 갈수록 상승 경향을 보였다. 캐리어 농도와 이동도 등 전기적 특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온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비교 해 본 결과 상온과 $150^{\circ}C$ 영역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DC pulsed magnetron sputtering의 경우 $50^{\circ}C$ 영역에서 변곡점이 형성됨을 알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