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능력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2초

영어교신분석 및 영어구술평가에 관한 고찰

  • 조아영;박현지;김영국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8-253
    • /
    • 2018
  • 다양한 국적의 선박 운항자와 영어라는 공용어를 매개로 교신해야 하는 해상교통관제사에게 영어구술능력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어교신분석을 통하여 영어구술능력 인증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항공관제연구사례와 해상교통관제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어구술능력 인증을 위한 영어구술능력시험 도입으로 인해 발생할 부작용에 대해 알아본 후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e-Learning에서 영어식 사고구조, 사전 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의 몰입을 통한 학습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English Thinking Structure, Pre-English Skill, Self-Efficacy in English, Flow and Learning Effect)

  • 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영어학습이 이루어지는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몰입경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그리고 몰입을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설정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몰입, 학습효과 간의 각각의 관제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영어식사고구조, 사전영어능력, 영어자기효능감 모두 몰입을 예측하였으며, 몰입경험이 또한 학습효과를 예측한다. 셋째, 영어자기효능갑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몰입 경험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경호영어 능력 실태 및 발전방안 (A Study on the Security English Ability Status and Progress Plan of Security Related Department Students)

  • 김두현;최병권
    • 시큐리티연구
    • /
    • 제15호
    • /
    • pp.51-72
    • /
    • 2008
  • 이 연구는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경호영어 능력 실태와 그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영어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와 경호지식에 관한 간단한 테스트를 통하여 실태를 파악하였다. 일반 영어 및 경호영어 능력에 있어서 학생들의 현 실태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고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개인들과 학교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국내외 주요 인사 및 VIP를 경호하는 경호요원들은 국제적인 역량에 있어서 영어 의사소통능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졸업 후 원활한 취업 및 진로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은 대학 과정 중에 반드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하여 일반영어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더불어 전문적인 경호영어에 관한 능력 구비를 위하여 체계적인 학습과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이를 위하여 각 대학들이 경호영어 커리큘럼 편성을 장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경호관련학과에 경호영어의 중요성과 인식에 있어서 전환과 발전이 있기를 바라며, 그럼으로써 더욱 국제적인 자격과 역량을 갖춘 경호요원들이 많이 배출되기를 기대한다.

  • PDF

영어능력과 국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National Economic Performance: Focusing on non-English-Speaking OECD Countries)

  • 김선재;이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9-339
    • /
    • 2011
  • 본 연구는 비영어권 OECD 21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영어능력과 경제활동(국가별 무역량, R&D투자 등), 그리고 경제 성장률과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영어능력이 국가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순회귀분석(OLS)과 표면상무관회귀분석(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Estimation: SURE)의 기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체코, 핀란드, 그리고 폴란드를 제외한 여타 국가들에서는 영어능력이 직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정(+)의 효과를 미친다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영어 능력은 무역량 증진의 기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경제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능력은 경제성장에 있어서 하나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닌 것으로 결론 지울 수 있다. 더불어 영어 능력은 최소한의 물적 자본과, 기술축적, 정치적 안정, 그리고 훌륭한 통치를 보완하는 충분한 보완재 역할을 담당한다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예상된다.

관제영어의 특성 및 교육발전 방안에 대한 고찰

  • 정병우;박종익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0-193
    • /
    • 2010
  • 최근 해상교통관제사의 자격제도 및 평가제 제도의 도입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전 세계의 상선대가 비영어상용국 출신의 다국적 선원으로 채워진 현실에서 관제사의 영어 구술능력 배양은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의 선박항해자와 관제사간의 영어구사 현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SMCP에 규정된 표준관제영어와의 괴리를 지적하였다. 관제영어 학습 커리큘럼을 현장의 상황위주로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항공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항공영어구술능력 평가 제도를 참고하여 해상교통관제 영어구술능력 평가 제도를 모색하여 보았다.

  • PDF

초등학생의 융합수업이 영어 능력(듣기, 읽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과학 애니메이션의 활용 (The Effect of Integrated Instruction for Improving English Ability (Listening & Read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Science Animation)

  • 박미화;송해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3-140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 융합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이하 영어 능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반(27명) 학생들은 영어수업 시작 전 융합수업을 받은 반면 통제반(28명) 학생들은 그 시간에 전 시간에 배운 수업을 복습하였다. 실험 시작 전, 2018년 3월에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6학년 진단평가를 통해 동질집단인 것을 확인하였고 10개월의 실험기간 종료 후 2017년 3월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중학교 1학년용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융합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실험 전 후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흥미도와 자신감 측면에서 향상이 있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생 몰입영어교육 효과분석 (On the Effects of English Emersion Program for School Students)

  • 최경미;박연미
    • 응용통계연구
    • /
    • 제15권1호
    • /
    • pp.9-20
    • /
    • 2002
  • 본 논문은 방학기간 중 실시되는 몰입형 영어교육이 학생들의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 검증해본다. 학생들의 영어능력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능력 또는 능력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인 요인들을 찾아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일반화 선형모형 (GLM)을 주로 사용한다.

해사영어 시험제도 조사분석

  • 강석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285
    • /
    • 2018
  • 한국해기사의 취약점으로 영어구사능력에 대한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선상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해기사의 영어구사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해사영어 시험제도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현 제도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별된 문제점으로는 불충분한 면접시간, 세부지침의 부재, 지나친 전문지식 위주의 질문, 교육기관의 해사영어 커리큘럼과 선사의 요구사항의 불일치 등이며, 개선방향으로는 전문시험위원제도(가칭) 도입, 해사영어 교육콘텐츠 개발, 충분한 면접시간 확보 등이다.

  • PDF

해사영어훈련센터(METC) 설립방안 연구

  • 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0-281
    • /
    • 2015
  • 해사영어는 SMCP(표준해사통신용어)를 기반으로 하는 특수목적영어의 한 분야로 콘텐츠 개발을 비롯한 학습과 훈련을 지원할 수 있는 해사영어훈련기관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과 훈련이 제공되어 진다면 교육생을 단기간에 그 구사 능력을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양분야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수적인 해양산업 종사자들의 영어구사 능력개발을 위한 해사영어훈련센터(METC)의 필요성과 설립방안을 제시한다.

  • PDF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proficiency-based curriculum, and College English program: A consider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 방영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193-211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and proficiency- based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ir needs for developing college English program. A total of 597 students and 2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groups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the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and proficiency-based curriculum. However, both groups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waive test' (testing for the replacement of English required class). They also expressed high level of need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 hours, reducing the class size, and improving facilities. Both groups perceived speaking and listening as more important skills, while students showed various preferences for effective language practice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 hat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should he supplemented with follow-ups both in pedagogical aspect and on administrative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