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양소효율

Search Result 18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동굴 탐사 기술 3 - 영양과 탐사

  • 김건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4
    • /
    • pp.64-78
    • /
    • 1995
  • 영양은 신진대사 기능을 조절하고 신체 및 정신 활동으로 소모된 부분을 보충하여 생명체가 존속하고 활동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양분이다. 또한 영양소는 대사작용에 이용되는 기본 물질이며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비타민, 수분 등의 6가지가 있다.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과 효율적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는 그 작용에 따라 주영양소인 근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열량소, 부영양소인 생리적 작용을 조절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조절소, 그리고 신체 기관과 조직을 구성하는 구성소로 구성된다.(중략)

  • PDF

산란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개선대책

  • 강창원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5 no.2
    • /
    • pp.115-145
    • /
    • 1988
  • 우리나라 축산업이 과학적인 축산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온 것이 양계분야인 만큼 생산성적에 있어서도 어느 타 선진국에 뒤지지 않을 만큼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료원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개방경제시대에 접어들음으로서 외국의 양계산물과 경쟁을 벌리게 되는 이 시점에서 생산비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료를 가장 경제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우리나라의 년 중 기온차이가 심하고 대부분의 산란계가 유창계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만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맞추어 계절 사양을 함으로서 하절기에는 영양소 결핍현상을 방지하고 동절기에는 영양소 과다 섭취로 인한 영양소 허실을 줄일 수 있다. 난중에 따른 난가 형성이 되는 시장 상황에서 난중을 조절함으로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난중이 생리적인 현상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닭이 섭취하는 아미노산과 지방의 함량을 증감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난중조절이 가능하다. 산란율과 난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는 산란계의 체중이 작을수록 경제성이 있다. 가급적 육성기간중의 사료비를 줄이고 성계 체중을 줄이는 방법으로 육성기간중의 사료비를 줄이고 성계 체중을 줄이는 방법으로 육성기간중 단백질 점증법이 시험되고 있다. 이러한 육성체계를 보급화 하기에 앞서서 좀 더 많은 비교 시험이 필요하리라 본다. 사료 원료의 영양가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닭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단지 영양성분의 화학분석만으로 사료배합에 임하지 말고 생물가를 측정함으로서 닭이 섭취하는 영양소의 이용률이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 PDF

Nutrient Balance For The Laying Hen (산란계를 위한 영양소의 균형)

  • ;J. M. Vandepopuliere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8 no.1
    • /
    • pp.37-45
    • /
    • 1981
  • 급격히 증가하는 세계의 인구수는 가축의 사료자원을 질이 좋은 인간 식량으로 효율적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절실케 하고 있다. 산란계는 유전적인 선택에 의해 최소량의 사료로써 높은 산란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왔다. 배합사료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단미사료의 종류와 품질은 어느 특정한 영양소의 요구량에 의하여 좌우된다. 산란계의 영양요구량은 오랜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미국의 국립연구위원회 (NRC)는 영양소 요구량을 정기적으로 검토, 요약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들은 출판되어 왔으며 본인은 여기서 제7차로 개정된 NRC 사양표준(1977)에 발표된 요구량에 관련해서 몇 가지 분야를 검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1969년도 가금영양학시험 하일라이트

  • P.W. 왈드로우프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 no.5 s.19
    • /
    • pp.103-107
    • /
    • 1971
  • 1969년도에 가금영양학자들은 가금영양학의 기초지식과 이의 응용분야에 대해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오늘날 가금영양학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분야로 대별된다. 첫째는 주요영양소의 생물학적 효율에 대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는것과 특정 영양소의 정확한 요구량을 조사하는 기술 및 시험이며, 둘째 분야는 영양소들간의 상호작용과 대사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정확하고 폭넓은 지식을 얻는 것이다. 이 시험집은 1969년도에 가금학자들이 연구발표한 가금영양학에 관한 하이라이트이다. 지면 관계로 전시험결과를 모두 수록치 못하였으나 사료공장이나 농장의 실제응용에 흥미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항산화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신경남;김지현;임현애;권인숙;이혜상;권정숙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22.1-422
    • /
    • 2004
  •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는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식사 요법을 통한 혈당관리의 중요성 때문에 영양교육이 타 질병에 비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의 영양교육에 있어서 합병증 발생의 주요 원인인 산화스트레스와 이를 감소시키는 항산화 영양소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일반당뇨교육에 항산화 영양소를 소개하고 이의 섭취를 강조하는 내용을 포함한 교육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일반당뇨교육과 항산화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당뇨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Reducing Pollutants in Non-Ruminant Manure by Increasing Feed Utilization (사료이용율 증가에 따른 비반추가축의 분뇨에 의한 공해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 Nahm, K.H.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28 no.3
    • /
    • pp.245-257
    • /
    • 2001
  • Localization of livestock facilities leads to concentration of livestock wastes and subsequent leakage of pollutants into the environment, resulting in public concern about their effects. Nitrogen (N) and phosphorus (P) are the most harmful components of animal manure, but odor from the manure itself and the livestock facilities is also a problem. Improving the nutrient efficiency of the livestock helps to decrease excretion of these environmental contaminants. Pigs and chickens are the main experimental models used in studies to improve nutrient efficiency. Addition of feed supplements and modifying feeding systems to improve nutrient efficiency can result in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 P, odor and dry matter (DM) weight of manure. Examples of these methods include the following. 1) Addition of synthetic amino acids and reducing protein contents resulted N reductions of 10∼27% in broilers, 18∼35% in chicks and layers, 19∼62% in pigs, and a 9∼43% reduction in odor in pigs. 2) Enzyme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12∼15% reduction in DM weight in broiler manure. 3) Phvtase supplementation resulted in P reductions of 25∼35% in chickens and 20∼60% in pigs. 4) Use of growth promoting substances resulted in a 5∼30% reduction in N and a 53∼56% reduction in odor of pigs. 5) Formulating diets closer to requirements (diet modification) reduced N and P by 10∼15% each in chickens and pigs, and odor by 28∼ 79% in pigs. 6) Phase feeding reduced N and P excretion by chicken and pigs from 10∼33% and 10∼13% each, as well as odor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by 49∼79%. 7) Use of highly digestible raw materials in feed reduced N and P excretion by 5% in chickens and pi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