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상 표현

검색결과 2,308건 처리시간 0.033초

사이버 교육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 연구 (A Study on an Efficient Web Interface Design for Improving Education Effects on Cyber Spaces)

  • 박은영;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89-300
    • /
    • 2007
  •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해 교육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함께 UCC(User Created Contents)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로 자신의 전문지식이나 개성을 표현하려는 욕구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개인 홈페이지나 동영상, 게임 등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교육 사이트는 대부분 흥미로운 요소들이 배제 된 채 획일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루하고 딱딱하다는 인상을 많이 받게 되는 아쉬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맞춤형 디자인 방법을 통해 심미성과 기능성을 지닌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을 본인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함으로써 학습효율을 고취시킬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 공간은 사용자의 개성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닌 온라인 교육사이트의 모델을 디자인 측면에 포커스를 두어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패션필름에 표현된 메타리얼리티 (The study on metareality expressed in digital fashion film)

  • 김세진;하지수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554-568
    • /
    • 2015
  • Technological change leads to a value shift in human society.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he digital paradigm influence the expression of fashion. This article considers fashion film as a new form for presenting fashion and explores the distinctiveness of expression in digital fashion film. For the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digital fashion film and metareality. Empirical research was also performed by drawing from Nick Knight's digital films, "Sans Couture", "#asif", and "The Elegant Universe" and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themes, visuals, and auditory exp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liferation of fashion film has accelerat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New media in the digital era allows images to become more realistic and variable through immaterial conversion. Metareality is the notion of a reality beyond existence. A metarealistic image maintains the metaphysical nature of an object and transcends empirical appearance. It possesses immaterial, transboundary, and multidimensional features, and the image is realized by digital technology. The expression analysis identifies the metareality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film appearing as atypical forms, irrational combinations, and the playfulness of motion. It shows a positive attitude, transcending the immaterial limit of reality toward fashion. This study indicates how fashion as products challenges the metaphysical transformation in the digital era. The exploration of metareality in digital fashion film promotes a wider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shion.

PIE에 기반한 탈북청소년의 문화예술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Culture and Art Based on PIE for North Korean Adolescents)

  • 김순임;정경열;이영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117-122
    • /
    • 2017
  • 탈북청소년이란 북한을 벗어나 남한 사회에 살고 있는 6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진활용교육(Photo-In-Education)을 통하여 그들에게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탈북청소년의 피폐해진 심신을 치유하고 남한사회에 정상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새로운 삶에 도전하는 탈북 청소년들에게 '사진 영상 글'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그 결과 청소년들은 밝고 맑은 심성을 기르고 표현력, 논리력 등을 개발해 건강하고 똑똑하게 자라도록 힘쓴다. 결과적으로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고, 더 나아가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건전한 사회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본 교육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사진 활용교육을 통해 탈북청소년들이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자기 내면을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PIE가 탈북청소년교육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X3DOM을 이용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Using X3DOM)

  • 부띠에;류가애;정상권;이국환;류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1호
    • /
    • pp.165-170
    • /
    • 2017
  • 웹 3D 기술은 과학, 의료, 공학 그리고 멀티미디어 가시화의 경험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웹 환경에서 3D 가상현실은 운영체제 등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은 3차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현실적인 영상, 음향과 다른 감각을 표현하고 사람들과의 사용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몰임하여 객체를 조작할 수도 있고, 원하는 목표를 위해 단계별 행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 환경에서 3D 상호작용 콘텐츠를 정의한 ISO 국제표준인 X3D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공간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X3D 가상현실 공간에서 스테레오 렌더링을 논의하고, HMD VR을 위한 새로운 X3D 노드를 제안한다. 제안한 노드들은 X3D 웹 브라우저인 X3DOM에 의해 가시화되었다.

전조등의 순간적 밝기 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불쾌감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discomfortable feeling's appraisals of driver for the instant brightness fluctuation of the Vehicle's Headlamps)

  • 이창모;임태영;민재웅;임준채;안옥희;김현지;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2
    • /
    • 2007
  • 차량에서 전조등의 밝기 변화가 운전자의 장애물 인식능력을 저하시키고, 운전자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제공한다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전조등의 밝기변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등의 전압과 시간을 변수로 하여, 순간적으로 밝기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연령대별(20/60대)로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반응(불쾌감)이 어떠한 경향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야간 주행시 전조등의 밝기변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조등의 밝기변동 영상을 제작한 다양한 전조등의 밝기패턴(전압패턴 A/B)을 제공하여 본 시험을 위한 1차 예비 시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시험 결과, 전압패턴 A에 대해서는 전압과 시간변이 대해서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전압패턴 B의 경우에 있어서는 시간변이 보다 전압변이가 더 큰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수치적으로 표현하였을 경우에, 전압패턴 A보다 B패턴에서 더 많은 불쾌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본 연구는 진행중에 있으며, 앞으로, 2차/3차 예비시험을 통해, 연령대별 시인능력평가 및 심리적 반응 평가, 도로조명의 유무에 따른 운전자의 시인능력 평가, 그리고 전조등의 밝기변동 빈도 수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모의시험하고 경향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본 시험을 준비중에 있다.

  • PDF

음악제작을 위한 음성합성엔진의 활용과 기술 (Application and Technology of Voice Synthesis Engine for Music Production)

  • 박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5-242
    • /
    • 2010
  • 음악제작에 쓰이는 음성합성엔진은 악기 소리와 음색의 합성에 머물던 과거의 신디사이저와는 달리, 인간의 목소리를 각 음소에 따라 샘플화하여 탑재함과 동시에 각 음소의 연결을 주파수 영역 내에서 자연스럽게 처리함으로써 실제 사람이 노래하는 것과 같은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음성합성엔진을 음악제작에 국한하여 쓰지 않고 캐릭터를 활용한 콘서트, 영상제작, 음반, 모바일 서비스 등 2차 창작물로 새로운 음악의 형태를 창조하며 문화적 패러다임을 바꾸어 나가고 있다. 현재 음성합성엔진 기술은 악보 편집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과 가사, 그리고 음악적 표현 파라미터를 입력한 뒤, 실제 가성 샘플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 합성엔진에서 발음들을 조합, 연결하여 노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컴퓨터음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파생된 새로운 음악 형태들은 문화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구체적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합성기술을 탐색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음성합성엔진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데 기여함과 동시에 그들의 다양한 음악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시스템 프로토타입 (A System Prototype for Remote Haptic Communication)

  • 차종은;이준훈;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38-243
    • /
    • 2006
  • 최근에는 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의 사람과 전화, 이메일, 메신저 또는 화상회의 시스템 등을 통해서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이 시스템들은 주로 음성, 그림, 동영상 또는 문자 기반의 시청각 정보를 서로 주고 받으며 자신의 의사 및 감정을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 시청각 정보 외에 촉감 정보도 서로 의사소통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수, 포옹 등의 촉감 상호작용은 사람 사이에서 친근감을 표시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거나 느낌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촉감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의사소통 시스템의 연구는 아직 폭넓게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에서와 같이 원격에서도 상대를 바라 볼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는 원격 촉감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로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대의 몸 특정 부위를 만질 수 있고 서로 그 촉감을 실시간으로 느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AR 시스템, 그래픽 시스템, 햅틱 시스템, 택타일 시스템의 부시스템들로 나눌 수 있다. AR 시스템에서는 몸의 한 부위에 사각형의 AR 마커를 부착한 원격 사용자를 웹카메라로 촬영하고 ARToolKit 을 사용하여 마커의 위치를 측정한다. AR 마커의 바로 밑에는 택타일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부위를 통하여 원격의 사용자는 로컬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만지는 느낌을 받게된다. 그래픽 시스템은 로컬사용자에게 촬영된 원격 사용자와 측정된 마커의 위치가 대표하는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 그리고 자신의 가상 손가락을 보여준다. 햅틱 시스템에서는 촉감 장치를 사용하여 로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를 구하여 원격 사용자의 가상 피부와 접촉했을 때 그 충돌을 감지하고 접촉력을 계산하여 촉감 장치에 반영함으로써 그 접촉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택타일 시스템에서는 원격 사용자의 AR 마커 밑에 장착된 배열 타입의 진동 촉감 장치에 접촉 정보를 주어 로컬 사용자와 접촉 했을 때 접촉 부위에 진동을 줌으로써 촉감을 느끼도록 한다.

  • PDF

그림모델과 파티클필터를 이용한 인간 정면 상반신 포즈 인식 (Pictorial Model of Upper Body based Pose Recognition and Particle Filter Tracking)

  • 오치민;;김민욱;이칠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86-192
    • /
    • 2009
  • 본 논문은 비전을 이용한 인간 정면 상반신 포즈를 인식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와 HRI(Human Robot Interaction)에서는 인간이 정면을 바라볼 때 얼굴, 손짓으로 의사소통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인식의 범위를 인간의 정면 그리고 상반신에 대해서만 한정한다. 인간 포즈인식의 주요 두 가지 어려움은 첫째 인간은 다양한 관절로 이루어진 객체이기 때문에 포즈의 자유도가 높은 문제점 때문에 모델링이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는 모델링된 정보와 영상과의 매칭이 어려운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델링이 쉬운 그림모델(Pictorial Model)을 이용해 인체를 다수 사각형 파트로 모델링 하였고 이를 이용해 주요한 상반신 포즈를 DB화 해 인식한다. DB 포즈로 표현되지 못하는 세부포즈는 인식된 주요 포즈 파라미터로 부터 파티클필터를 이용해 예측한 다수 파티클로부터 가장 높은 사후분포를 갖는 파티클을 찾아 주요 포즈를 업데이트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주요한 포즈 인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세부 포즈를 추적하는 두 단계를 통해 인체 정면 상반신 포즈를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다.

  • PDF

한국어 모음 입술독해를 위한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o-temporal Features for Korean Vowel Lipreading)

  • 오현화;김인철;김동수;진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입술독해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음성학에 기반하여 음성의 시각적 기본 단위인 viseme을 정의하고 입술의 움직임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특징들을 추출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먼저, 다수의 화자로부터 한국어 모음에 해당하는 입술의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각모음별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여 7개의 한국어 모음 viseme을 정의하였으며 입술 윤곽선상의 특징점과 시공간적 특징 벡터들을 추출하여 은닉 마르코프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입술독해를 위한 각 특징 벡터별 성능을 비교하였다. 7개의 한국어 각 viseme에 대한 인식 실험 결과에서 입술의 안팎 윤곽선의 정보가 모두 반영된 특징 벡터가 입술독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윤곽선 상의 특징점들의 시간적 움직임 크기와 방향이 입술독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에지를 이용한 모션영역 기반 회화적 애니메이션 (Motion Areas based Painterly Animation using Various Edges)

  • 박영섭;윤경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을 입력하여 손으로 그린 듯 한 회화적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회화적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프레임 간 브러시 스트로크의 시간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프레임 간 브러시 스트로크들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브러시 스트로크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위해서 모션 영역들을 이용한다. 모션 영역은 프레임 간 객체들이 움직이는 영역을 의미하며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강한 모션 영역은 연속되는 두 장의 프레임 간 평가된 모션 벡터에 의해서 리얼 에지 및 히든 에지가 움직이는 영역을 말한다. 리얼 에지는 객체들의 윤곽선을 의미하며 히든 에지는 그라데이션 현상이 나타나는 영역에서 명암의 결의 방향을 표현하기 위한 경계를 의미한다. 약한 모션 영역은 모션이 발생한 전체 영역 중 강한 모션 영역을 뺀 영역을 말한다. 회화적 애니메이션에서 시간적 일관성은 이러한 모션 영역들을 이용하여 캔버스 위에 브러시들을 덧칠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