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 콘텐츠

Search Result 3,1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olume Data Collection Management Model of Video Content (영상 콘텐츠의 음량 데이터 수집 관리 모델)

  • Kim, Jin-Il;Kim, Jae-Woong;Park, Koo-Rack;Lee, Yun-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87-88
    • /
    • 2021
  • 영상 콘텐츠 별 서로 다른 음량으로 인해 수동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영상 콘텐츠의 음량을 사전에 인식하여, 디바이스 혹은 영상 재생 소프트웨어에서 설정된 음량 값에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영상 콘텐츠의 음량을 사전에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해보지 않고서는 음량을 알 수 없고, 설정 값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콘텐츠의 음량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관리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획득 한 영상 콘텐츠에 대한 음량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집, 관리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Workflow of Cinematography in a Stereoscopic Content (입체영상콘텐츠 촬영기술의 워크플로우에 관한 연구)

  • Choi, Y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81-85
    • /
    • 2009
  • 입체영상콘텐츠 촬영기술은 촬영현장에서 리그라는 특수장비를 이용해 입체영상기술을 관할하는 스태프인 스테레오그래퍼, 영상콘텐츠의 전반적인 촬영기술을 주관하는 촬영감독의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은 태동기에 있고 워크플로우는 아직 정착되지 않은 상태다. 본 연구는 입체영상콘텐츠 제작 사례를 기초로 입체영상 습득과 관련된 스태프의 직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높은 품질의 입체영상콘텐츠를 습득하고,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디자인하였다.

  • PDF

The analysis of the moon symbolism in femal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video contents (동서양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의 여성 상징성 분석)

  • Huang, xin-yan;Choi, d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54
    • /
    • 2019
  • 과거부터 사람들은 달을 인지해왔으며, 인류는 지속적으로 달을 관찰하고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지역문화와 민족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달의 이미지에 관한 다른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건축, 종교 등에 반영되어 왔다. 영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영상콘텐츠에도 달이 등장해왔다. 하지만 달에 대한 상징성 연구가 미흡하여 영상콘텐츠에서의 달 이미지 활용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 이미지를 연구하여 달의 의미를 분석하고 표현 방법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지역 및 문화별 달의 의미를 제시한다. 둘째, 달과 여성의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셋째, 달의 여성상징적 의미에 관한 영상콘텐츠 작품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서양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성상징은 영상콘텐츠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디자인의 활용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달에 대한 상징에 대한 동서양의 특징을 도출하고, 향후 영상콘텐츠 작품 창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Moving Picture Contents Production of Technology Method (공학적 방식에 의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Cho, choong-hee;Kim, k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269-270
    • /
    • 2013
  • 영상콘텐츠제작에 있어서 영상저작은 제작 기획단계, 제작단계, 제작후단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공학적 방식에 의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공학적 제작 기법을 적용하여 콘텐츠를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사고하여 제작함으로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혁신과 과거의 경험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의 장점을 포함하여 감성과 경험과 논리적 사고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다.

  • PDF

Video Automatic Edi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의 영상 자동 편집 방법 및 시스템)

  • Lee, Seung-Hwa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5-237
    • /
    • 2022
  • Video content is divided into long-form video content and short-form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length. Long form video content is created with a length of 15 minutes or longer, and all frames of the captured video are included without editing. Short-form video content can be edited to a shorter length from 1 minute to 15 minutes, and only some frames from the frames of the captured video. Due to the recent growth of the single-person broadcasting market, the demand for short-form video content to increase viewers is in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content editing technology for editing and generating short-form video content. This study studies the technology to create short-form videos of main scenes by capturing images, voices, and motions. Short-form videos of key scenes use a pre-trained highlight extraction model through machine learning. An automatic video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highlight video is a core technology of short-form video content. Machine learning-based automatic video editing method and system research will contribute to competitive content activities by reducing the effort and cost and time invested by single creators for video editing

  • PDF

SCORM based Reusability Strategy on Moving Picture Contents (SCORM 기반 동영상 콘텐츠의 재사용 전략)

  • Jang, Jae-Kyung;Kim, Sun-Hya;Kim, Ho-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
    • /
    • pp.203-211
    • /
    • 2008
  • Due to the advent of presumer and digital production of moving picture, a lot of UCC has been generated by editing the previous moving pictures in various way. It causes a lot of problems on copyright, duplication, and content. In reorganizing th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usability by managing production pipeline systematically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moving picture content. For this purpose, we try to develop the moving picture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all kinds of information on the production pipeline, based on SCORM of e-learning by considering production, publication and re-editing. Using the meta-data of content object, user and producer can easily search and reuse the contents. Hence, they can choose the contents object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and reproduce their own creative UCC by reorganizing and packaging the selected objects. The management of copyright by the unit of scene would solve the problem of copyright. The sequencing technique of SCORM as an interactive storytelling method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individual contents by user's preference.

A Study on Video Content Application Based on Mobile Device Platform in China (중국의 Mobile Device Platform 기반 영상콘텐츠 Application 연구)

  • ShI, Yu;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433-438
    • /
    • 2019
  • In this paper, the write analysis the application of basic video content of Mobil Device Platform in China and studies the future development scheme. According to the survey, as of 2019, 78% of Chinese total population is the Internet service users and application software users. Mobile Device Platform is independently developed to provide video content application services, which already have 640 million video application users from 2013 to the present. 65% of users install and use more than two video content applications. In China TikTok, Kuai Shou, MeiPai and other video content applications, not only can easily achieve simple user interface and users can directly shoot video content. These production functions is different from YouTube, a famous video platform in the United States. In the video platform market, the core competitiveness is content creation. In the future, the integration of video content of VR, AR and other video projects will expecte to further activate the video platform market.

Image Recomposition System Using Segmentation and Style-transfer (세그먼테이션과 스타일 변환을 활용한 영상 재구성 시스템)

  • Bang, Yeonjun;Lee, Yeejin;Park, Juhyeong;Kang, Byeo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22
    • /
    • 2021
  • 기존 영상 콘텐츠에 새로운 물체를 삽입하는 등의 영상 재구성 기술은 새로운 게임, 가상현실,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데이터 증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영상 편집에 의존하고 있어 금전적/시간적 비용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활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영상을 재구성하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콘텐츠와 삽입하고자 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이 주어졌을 때, 객체 세그먼테이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고, 스타일 변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입력 영상을 스타일 변환한 후, 사용자 입력과 두 네트워크의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 콘텐츠에 새로운 객체를 삽입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기존 콘텐츠는 온라인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삽입 객체를 포함한 영상은 ImageNet 영상 분류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면 기존 콘텐츠와 잘 어우러지게끔 객체를 삽입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Video Cartoon Production using Video Technology (비디오 기법을 이용한 영상 카툰 제작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16-21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이나 일반 캠코더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을 비디오 편집기법을 기법을 이용하여 카툰 형식의 콘텐츠로 제작하여 웹 툰 이나 카툰 콘텐츠로 제작하여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이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편집 기법을 적용하고, 스토리텔링으로 영상을 만들고 카툰으로 제작하여 비디오 카툰 콘텐츠로 제작한다. 현재 대부분의 카툰이 2D 형식의 카툰이 지배적인데 차후 비디오 카툰을 제작함으로써 비디오 콘텐츠로 보다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일상의 영상도 비디오 편집기법으로 다양한 영상 편집 및 표현으로 창조적인 콘텐츠를 제작 할 수 있다고 사료한다.

  • PDF

A Study on Contents of Cartoon Forms available 3D Video Technique (3D 비디오 기법을 이용한 카툰 형식의 콘텐츠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47-24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나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 혹은 사진들을 영상 편집 기법으로 카툰 형식으로 표현하여 콘텐츠를 제작한다. 카툰 형식의 콘텐츠는 기존 일반 비디오 영상과는 다른 시각화를 나타내고, 카툰 장르의 특성을 가지고 콘텐츠를 표현한다. 카툰은 하나의 칸이나 선을 구성하여 그 영역으로 카툰 고유의 특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카툰은 카툰의 특성을 갖고, 정보나 내용을 일반 영상과 다른 친밀감을 가지고 표현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콘텐츠를 카툰 고유의 특성과 3D 비디오 효과를 적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2D 콘텐츠 보다 더 입체감과 사실감을 표현하여 콘텐츠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콘텐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사료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