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문화

Search Result 9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Video Quality Improvement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ry Film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 화질 개선에 관한 연구)

  • Kwon, Do-Hyu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39-44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의 화질 개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기록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해 SRGAN 기반의 초해상화 복원영상 생성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제안한다. Image aumentation과 median filter를 적용한 데이터셋과 적대적 신경망인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기반으로 딥러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입력된 Low-Resolution 이미지를 통해 High-Resolution의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이 연구를 통해 국가무형문화재 기록영상 뿐만 아니라 문화재 전반의 사진 및 영상 기록 자료의 품질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 영상 기록 자료의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지속적인 활용의 기초연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GIS and satellite image development using 3D cultural properties information system (GIS와 위성영상을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 구현)

  • Song, Sang-Hun;Cho, Myu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595-60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으로 고 해상 위성영상 제작을 위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제작단계와 위성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영상이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자료보정 단계, 사용 목적에 맞게 영상을 가공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단계를 통해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지형정보를 생성하고,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한 대상지역 문화재의 DB 구축과 3차원 복원을 통해 3차원의 문화재 정보를 획득하고 질감 및 재질 사실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 든 누구나 쉽게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Web3D를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GLM-SI-based x4 and x8 Super-Resolution for Cultural Property Images (문화재 영상에 대한 GLM-SI 기반 4 배 및 8 배 초해상화 연구)

  • Seo, Wonyong;Kim, Soo Ye;Kim, Juyoung;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20-223
    • /
    • 2020
  • 초해상화란, 저해상도의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이미지 처리 기법이다. 최근 영상 출력 장치의 발전으로 고해상도의 영상을 출력할 장치는 많아지는 한편, 이에 맞는 고해상도 영상을 찍을 영상 기록 장치의 보급은 이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해상도의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는 초해상화 연구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문화재 영상에서의 초해상화는 특히 기존 문화재의 질감, 무늬 등을 보존해야하기 때문에 정교한 초해상화 과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 영상의 초해상화 과정에 집중해, 기존 문화재의 질감, 무늬 등을 잘 보존하면서 영상 데이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도 활용 가능한 기계학습 기범, GLM-SI를 이용한 문화재 영상 초해상화 방법을 제안한다. GLM-SI 를 사용한 초해상화 결과, 문화재 영상에서 선행 방법인 SI 에 비하여 4 배 초해상화에서 PSNR 0.12dB, SSIM 0.017, 8 배 초해상화에서 PSNR 0.23dB, 0.033 의 성능적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the Global Trends for the Preservation of Public Audiovisual Heritage and the Urgent Tasks for Korea Public Audiovisual Heritage Preservation (국내 공공영상아카이브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과제 프랑스 INA FRAME 영상아카이브 국제연수 참가를 통해 살펴본 해외 동향 분석)

  • Choi, Hyo Ji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58
    • /
    • pp.95-145
    • /
    • 2018
  • As a communication language, non-text records and archives such as photographs, images, and video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text records. As a result, domestic institution, organizations, and specialists related to record management have been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archive management system appropriate for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image records. This paper summarizes the points to be conside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Training for professionals in the world(INA Frame) of 2018.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contents including cinema, broadcasting, cultural should be managed at the national level.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a new concept establishment for "public audiovisual heritage" is accentuated. In addition, the task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 such as the modification of the related systems and infrastructures, and the layouts of the institution or governance,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Moreover, the preliminary tasks revised, should be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stabl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audiovisual archives of Korea.

The Effect of Learning in American Culture on the Understanding using UCCs (UCC동영상 활용한 수업이 미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Su;Lee, Ji-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87-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UCC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이 미국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7차 영어과 교육과정 목표를 참고하여 5학년 학생들 발달 단계에 맞는 미국문화 내용을 선정하고, 알맞은 UCC 동영상을 선별하여 UCC활용형 지식체험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3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UCC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한 실험집단 평균 M=25.15(SD=3.02), 통제집단평균 M=24.09(SD=3.84)로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에서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t=2.458(p=.017)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UCC 동영상을 활용한 미국문화 교육이 기존의 수업 방법보다 초등학생들의 미국문화 이해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eep Learning based x4 and x8 Super-Resolution for Cultural Property Images (딥러닝 기반 문화재 영상에 대한 4 배 및 8 배 초해상화)

  • Son, Chaeyeon;Kim, Soo Ye;Kim, Juyoung;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18-122
    • /
    • 2020
  • 문화재 영상 데이터는 방대한 양으로 인해 고해상도로 모두 저장이 어렵거나 시간이 지나 상대적으로 화질이 낮은 영상들이 다수 존재하기에 초해상화가 필요한 상황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문화재 영상에 특화된 4 배 및 8 배 딥러닝 기반 초해상화 방식을 제안한다. 문화재 영상 데이터는 배경이 단조롭고 물체가 영상 중간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어 이를 고려해 중간 부분에서만 패치를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패치로 학습이 되도록 한다. 또 자연 영상 데이터 셋인 DIV2K 를 사용해 학습하는 방식과 직접 구성한 문화재 데이터 셋을 이용해 학습하는 방식, 그 둘을 적절히 함께 사용하여 학습하는 전이 학습 방법까지 세 가지로 학습하여 초해상화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쌍삼차 보간법(Bicubic interpolation)보다 4 배 초해상화에서는 약 1.25dB, 8 배 초해상화에서는 약 1.26dB 의 성능 개선을 확인하였으며, 단순 DIV2K 로 학습한 방식보다는 4 배에서는 0.06dB, 8 배에서는 0.17dB 의 성능 개선을 확인하였다.

  • PDF

A Proposal for the curriculum of Filmic MediaStudy Concentrated on New Media (영상디자인 교과과정 연구)

  • 김종덕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9
    • /
    • pp.301-320
    • /
    • 1994
  • Filmff.V. is one of the most poweful media in the modern society. Its influnces on economics, culture, and social behavior are being extened more and more. By the growth of mutimedia market and existing film/T.V. market which are nurtured by the modern technology, filmff.V. culture became a giant influencial element. Filmff.V. culture in Korea did not settle down in right position, because of the uncontrolled implant and imitation of foreign film/T.V. culture under the short time of developing our own film/T.V. culture to support exploding technical aspects. A systematic filmff.V. education and financial investment are needed urgently to produce our own creative film/T.V. programs, and review on our filmff.V. culture and educational system are needed also to make a right understanding of filmff.V. media. In this proposal, I discuss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between Korean filmff.V. educational institute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this discussion, I sample a futuce oriented filmff.V.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 PDF

The analysis of the moon symbolism in femal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video contents (동서양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의 여성 상징성 분석)

  • Huang, xin-yan;Choi, d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54
    • /
    • 2019
  • 과거부터 사람들은 달을 인지해왔으며, 인류는 지속적으로 달을 관찰하고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지역문화와 민족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달의 이미지에 관한 다른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건축, 종교 등에 반영되어 왔다. 영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영상콘텐츠에도 달이 등장해왔다. 하지만 달에 대한 상징성 연구가 미흡하여 영상콘텐츠에서의 달 이미지 활용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영상콘텐츠에서 표현된 달 이미지를 연구하여 달의 의미를 분석하고 표현 방법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지역 및 문화별 달의 의미를 제시한다. 둘째, 달과 여성의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셋째, 달의 여성상징적 의미에 관한 영상콘텐츠 작품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서양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성상징은 영상콘텐츠에서 등장인물의 이름과 디자인의 활용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달에 대한 상징에 대한 동서양의 특징을 도출하고, 향후 영상콘텐츠 작품 창작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Research on the Reinvention and Dissemin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Li ziqi's Short Video (이쯔치 단편 영상에서 중국 전통 문화의 재구성과 전파 연구)

  • Yang Man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
    • v.3 no.1
    • /
    • pp.87-103
    • /
    • 2023
  • In the era of self-media, short videos are developing strongly. In addition to its rapid development, it has brought new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the dissemin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innovative cultural expressions. In this environment, the video blogger Li ziqi has rapidly become popular among many other types of self-media, which provides good material for us to analyze the reshaping and dissemin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age of self-media. This paper discusses the reshaping and dissemin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age of self-media by combining the case of the famous short video blogger "Li ziqi", reveal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raditional culture dissemina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shaping and dissem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age of self-media, and puts forward the optimiza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