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농체계연구 및 지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Research and Extension System with Agro-Food industry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 Regional R&D and On-Farm Bases Extension (농식품산업의 변화와 연구·지도사업의 과제 -지역R&D와 현장지도의 강화를 위해-)

  • Choe, Young Cha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4
    • /
    • pp.839-869
    • /
    • 2013
  • Since opening the domestic food markets after late 1980s, Korean agro-food sector has been changed a lot, including commercialization of livestock and horticulture sectors. The large-scale periodic transactions appeared in food retail market in 1990's demand further commercialization of farm sectors. It require comprehensive on-farm knowledges including production, food processing, marketing, and management for agricultural sector. As the result, The Farming Systems Research & Extension concept has been introduced in 1992 as a form of The Regional Specialization Experiment Stati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for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and Foods are established in 2009. However, we still find gaps between on-farm knowledge demands and supply, requiring further refining of R&D systems. It also asks to differentiate applied research from basic disciplinary research, better linkages between research and extension on farm, and comprehensive knowledge transfer systems. This study recommends for proper role allocation and cooperative structures for regional research and extension institutions to reduce overlaps among them. It further asks government to support regional research and extension systems including human resource and infrastructure building, to strengthen commodity based on-farm research and extension, and to separate budget allocation for regional research and extension. Provincial administration of the county level extension offi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better linkage between research and extension at regional level.

Index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of Farmers' Acceptance Factors for New Farming Technologies (농가의 영농 신기술 수용요인 지표화 및 중요도 평가)

  • Jeong, Yun Hee;Seo, Sangtae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254-263
    • /
    • 2020
  • This study developed indexes of farmers' acceptance factors for new farming technologies and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ed. For this study, farming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esta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 Delphi technique was appli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indexes. The indexes were composed of two tiers and evaluat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first tier was finance and profitability with 43.9%, technology affairs 23.6%, labor environments 22.4%, and related industries and service system 10.1%. The importance of the second tier was the ease of technology acceptance 64.9% and technology completion 35.1% for technology affairs in the first tier, labor intensity 53.7%, work hazard 26.7%, working hours 19.6% for labor environment, farm income increment 69.9% and new fund required 30.1% for finance and profitability, and training and service system 66.7% and activation of related industries 33.7% for related industry and service system.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farmers' acceptance of new farming technologie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activities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Digital Data in Agricultural Watershed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용수공급 네트워크 분석)

  • Shin, Ji-Hyeon;Nam, Won-Ho;Yoon, Dong-Hyun;Yang, Mi-Hye;Jung, In-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0-511
    • /
    • 2022
  • 물관리기본법의 시행 및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이행에 따라 물관리 자료의 정보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농업용수관리는 기초자료의 오류, 계측데이터의 부족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과학화·표준화된 농업용수 물수급 분석 체계 구축 및 물정보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물관리 국가정책 대응을 위한 물수급 분석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 용 배수 계통 정밀조사, 공간자료 재구축 등을 통한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체계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속수치지형도 및 토지피복, 스마트팜맵 등의 디지털 공간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조사와 영농조사를 바탕으로 최신화된 용배수계통도, 수혜면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한 용배수계통도를 이용하여 수리해석 모델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들녘단위 (주·보조수원, 저수지 및 양수장 등) 용수계통도 구현함으로써 수원공별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농업용수 공급체계 반영이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공급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를 대상으로 연속수치지형도, 농경지전자지도, 고해상도 DEM 등을 활용한 디지털 조사와 수로 표고, 길이 및 너비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 물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물분배 모의가 가능한 EPA-SWMM 기반 수원공-용수로-수혜구역을 연결하는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에서 제공하는 계측 자료를 활용하여 관개기간의 강수량, 소비수량, 증발산량, 공급량 등을 적용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배분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관리 담당자에게 상세한 현행 용수공급량 및 용수공급체계 정보 제공과 향후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물수급 분석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31호

  • Jeong, Jin-Yeong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31
    • /
    • pp.1-12
    • /
    • 2006
  • 제28회 한국유기농업대회 준비돌입/환경호르몬으로부터 자유로워질수 있는 길/우리의 산야초/연속 강우에 따른 과일나무 잎의 갈변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김제지평선축제, 성공적으로 개최돼/신태인 유기농 포도축제 성료/질병 예방을 위한 식사/일본,고령화와 웰빙 붐으로 건강식품시장 '폭발'/스위스,유기농가 급속 확산/LA,'건강빵'경쟁 후끈~후끈/일본,학교급식용 중국산 냉동가지 풋콩에서 잔류농약 검출/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전남도, 전국 최초 '친환경축산 5개년 종합계획'수립/배추 노균병 어떤 병인가?/고추.방울토마토 증수/중국 박람회 및 유기농장 연수기/"유기가공식품" 인증 법제화 추진/국내외 친환경 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 실태/친환경 유기낙농의 정착 방안/9월중 새식구 명단/농촌진흥청,토양전자지도,휴대폰 영농정보 제공/친환경인증기관협의회 출범/친환경농자재'목록공시제'시행/충주시,친환경바이오농업 확대 추진/제주,친환경농업 발전전략 심포지엄 개최/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유기질 비료의 이해

  • PDF

Drought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the Irrigation Water - (지역특성을 고려한 기후변화대비 가뭄대책 마련 - 농업용수를 중심으로 -)

  • Jang, Yu seon;Baek, Chang Hyun;Lee, Min Ho;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2-222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지역 및 시기별로 강수량이 편중되면서 가뭄(0.72회/년) 등 물 관련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뭄의 강도 또한 심화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대상 지역인 태안군과 괴산군의 경우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를 적용, 미래(~2100년) 기상조건에 대하여 기존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한 결과, 가뭄대응(내한)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농업가뭄의 경우 주로 영농기에 발생하여 장마가 시작되면서 해소되었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기간이 점차 증가하여 가뭄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추진된 가뭄대책의 경우 관정개발, 저수지 준설 등 단기·사후처방 중심의 대책이 마련되어 지속적인 재해관리와 예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맞춤형 가뭄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기후 변화대비 안정적인 영농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기존시설 개선, 수요관리 등 최근 정부정책 방향과 재원조달 방안을 고려, 법적근거(농어촌정비법 등)에 의한 실현 가능한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다목적 농촌용수 개발, 용수이용체계 재편 등 사업유형을 구분한 후 단계별(장·단기) 가뭄대책을 마련하였다. 가뭄대책 수립 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개발한 '수리수문 설계 시스템(K-HAS)'을 이용하여 용수 수요량을 산정하였고, 기존 수리시설물별 물 수지 분석을 통해 여유수량이 확보된 수원을 최대한 활용코자 하였다. 저수지 개발 등 신규 수자원 확보가 용이한 내륙·산간지역의 경우 중·대규모 저수지(유효저수량 1백만m3, 유역면적 200ha이상)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지역특성(형상, 표고차 등), 개발여건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개발범위(수혜면적 20ha이상)을 설정하였다. 한편, 신규 수자원개발이 어려운 도서·해안지역의 경우 용수 재이용(회귀수 활용) 및 담수호 내 염해방지시설을 도입하는 등 지역 맞춤형 가뭄대책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계별(장·단기) 가뭄대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경우 기후변화 대비 안정적인 농업용수공급이 가능하고, 상습가뭄 발생(물 부족) 지역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물(수요·공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Preserv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Co-Prosperity in Local Communities - In Case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Scenic Site - (지역공동체 상생을 통한 전통경관 보전방안 - 명승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을 사례로 -)

  • 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14-2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the sustainabl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To this end, the changes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and its factors were analyzed, and a conservation plan was sought to coexist with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scenery of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is characterized by stonework built on a steep topography to secure cultivated land and narrow rice fields. To this end, local communities have maintained the traditional landscape through their long-established traditional knowledge, but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nique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changed as standardized stone construction methods were applied. Rec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returned to the direct repair system of local communities, so cultivated land is regaining the scenery of the past. Seco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the "Terraced Paddy Fields of Gacheon Village, Namhae" were largely found to be a decrease in voluntary conservation consciousness, a limited management range of preservation society, a decrease in agricultural population, and a lack of skilled traditional skills. After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expectations for policy support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ccelerated the damage as existing farmland was neglected, and the lack of agricultural population also resulted in the same result. The preservation society is making efforts to preserve it, but the phenomenon of excessiv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personnel is intensifying. Conflicts between residents due to profit polarization have spread to the problem of escalating.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loss of traditional knowledge such as step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 Third, to suggest a win-win plan with local communities for preserving the traditional landscap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ways to expand farming participants and generate profits through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careers and public-private linkage system.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profit distribution system through the preservation societ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uthority and induce participation. And a support system is required for education on the transmission of terraced farming technology and stone construction functions.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Extension Systems in Hungary (헝가리의 농업 정보 및 농촌지도 시스템)

  • Neszmelyi, Gyorgy;Kim, Sung 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8 no.1
    • /
    • pp.59-72
    • /
    • 2001
  •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헝가리 농촌지도의 특징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헝가리의 농촌지도사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대규모 농장을 대상으로 한 농업기술전파에 주력하였다. 1990년대 이후 사유재산의 인정과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과 함께 시장에서의 경쟁력이나 지속성에 대한 요구는 농촌지도사업의 방향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유럽연합의 농업정보시스템 표준화에 요구와 헝가리 내의 농산업구조의 변화는 농업정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낳게 되었다. 헝가리에서 농업정보시스템의 개발은 농업경제연구정보원(AKII,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for Agricultural Economics)과 중앙통계사무소(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에서 이루어졌다. 시스템 개발의 주요 분야는 농업통계, 농장회계자료네트웍, 시장정보시스템의 세 가지이며 이들의 복합적인 농업정보시스템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가지 주요 범주의 개발배경과 진행사항,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헝가리 농업 농촌개발부(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의 최근 정책의 특징은 전국적인 농촌지도상담 네트웍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헝가리 농촌지도사업체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농업농촌개발부의 군사무소는 지역사회의 독농가나 선도농가와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이러한 독농가나 선도농가로 하여금 지역의 농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민간 자문가들이 농장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농민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민간 자문가들은 도 단위의 전문지도사들로부터 정보나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세 번째는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농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들은 농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교육과정이나 프리젠테이션, 전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헝가리 농촌지도체계는 그 실행과정, 효율성, 조직적인 면에서 완성되지 못하였고 전환기에 처해 있다. 효율적인 농촌개발을 위해서는 농촌지도상담의 효과나 조직면에서 많은 연구와 정비가 필요한데 이는 헝가리의 국가적 이익의 증대와 유럽연합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면, (1) 수도인 부다페스트에 농촌지도사업을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중앙부서를 설립하여 효과적인 농촌발전을 지원하여, (2) 7개의 도에 농학계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센터를 설립하여 도내의 농촌지도상담활동과 영농에서 농업관련 사안에 대해 문제해결 중심의 도움을 주도록 하며, 지역센터는 자율적, 독립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3) 50여개의 군에 일선지도기관을 설립하여 농업인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의 특수한 상황이나 사안에 대해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Paddy Soil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유기 및 관행 영농법에 따른 논 토양 미생물 군집 분석)

  • Se yoon Jung;Yoon seok Kim;Ji hwan Kim;Hyuck soo Kim;Woon ki Moo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7-487
    • /
    • 2023
  • 농업 분야에서 미생물은 영양분 가용화, 유기물 분해 등 토양 영양분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 건강성 증진, 식량 안보 및 식품 건강 면에서 많은 활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유역 환경 건강성, 생물 다양성 보존, 효율적인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대한 관심이 커져, 지속 가능한 농업 중 하나인 유기농업과 관행농업 토양의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은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써, 미생물 다양성이 풍부할수록 토양 비옥도, 작물 성장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논 경작지를 대상으로 유기 및 관행농업 토양의 미생물 군집조성과 Alpha diversity analysis(Chao1, Shannon, Simpson index)을 통해 비교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에서 유기 및 관행 논 지역을 각각 1지점씩 선정하였으며, 8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미생물 분석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cteria는 16S rRNA V3-4 영역, fungi는 ITS 3-4 영역을 sequencing 하였다. 미생물 군집조성은 문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속수준에서는 fungi 군집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예로 Ustilaginoidea 속은 관행 논 토양에서만 발견되었으며, 벼 이삭누룩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과도한 질소 비료 시비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종 다양성은 bacteria diversity의 경우 관행 논 토양에서 높게 측정되는 반면, fungi diversity의 경우 유기 논 토양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체계적인 시비 관리 통해 미생물 군집은 조절될 수 있으며, 관행농업은 적절한 시비를 통해 토양 건강성 및 식품 건강성 면에서 유기농업과 비슷한 효과를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Design of Initial Decision-Making Support Interface for Crop Facility Cultivation (작물 시설재배 초기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 설계)

  • Kim, Kuk-Jong;Cho, Yong-Y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2
    • /
    • pp.71-78
    • /
    • 2022
  •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ishing to return to farming is increasing, However, the lack of farming experience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returnees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agricultural failure. This study proposes an interface to support early facility cultivation management decision-making for returnees who want facility cultivation. The proposed interface is designed with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nd provides key decision-making information such as land/crop suitability, land/facility costs, and management costs according to input data such as cultivation areas, selected crops, and cultivation type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roposed interface, facility cultivators can effectively and quickly acquire initial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facility cultivation in the desired target area.

Operation System Design of Distribution Feeder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운영시스템 설계)

  • Kim, Seong-Man;Chang, Young-Hak;Kim, Kyeong-Hun;Kim, Sul-Ki;Moon, Chae-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183-1194
    • /
    • 2021
  • Traditionally, electric power systems have been known as the centralized structures, which is organized into placing customers at the end of the supply chain. However, recent decades have witnessed the emergence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DERs) such as rooftop solar, farming PV system, small wind turbine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and smart home appliances. With the emergence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the role of distributed system operators(:DSOs) will expand. The increasing penetration of DERs could lead to a less predictable and reverse flow of power in the system, which can affect the traditional planning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networks. This raises the need for a change in the role of the DSOs that have conventionally planned, maintained and managed networks and supply outag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ed the future distribution operation system with multi-DERs and the proposed distribution system model is implemented by hardware-in-the-loop simulation(HILS). The test results show the normal operation domain and reduction of distribution line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