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구옹벽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동적하중에 의한 중력식 옹벽의 영구변위 (Parmanent Grayvity Retaining Wall Displacment Due to Dynamic Loads)

  • 김성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51
    • /
    • 1984
  • Mononobe-Okabe에 의해서 옹벽에 대한 동적 토압계산법이 개발된 이래 본론두중 옹벽의 과동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Mononobe-Okabe식이 원래 옹벽 자체의 관성을 고려치 아니하였고 또 동적 하중의 작용점을 제시하지 않으므로서 전도모멘트를 계산할 수 없게 하므로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지 아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석적 방법과 모형실험을 통해서 지진 및 폭파 등의 동적 하중에 의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를 고찰하고자 하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활동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도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다. 이 항복가속도는 옹벽의 안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2. 이론치와 실험치는 경향으로 보아 일치한다. 실험치가 이론치보다 작은 것은 모형실험에서 옹벽측면과 컨테이너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지며 마찰을 줄임으로써 이론치에 더 접근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옹벽의 회전각도의 크기는 지반가속도가 클수록, 옹벽저면이 작을수록 그리고 흙의 내부마찰각이 작을수록 크게 증가한다. 4. 실용적인 규격의 옹벽의 변위는 활동에 의한 것보다 전도에 의한 것이 훨씬 크며 전체 변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5. 옹벽 상단의 횡적 변위는 옹벽 설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 PDF

문헌조사에 근거한 부직포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Nonwoven Geotextiles Reinforced Soil Wall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 원명숙;김태완;노재균;김형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1-30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부직포로 보강된 옹벽의 거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부직포의 하중-인장특성과 흙-보강재 경계면에서의 마찰특성, 실내모형실험 및 현장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직포는 구속압에 비례하여 강성과 인장강도가 증가하고, 흙-보강재 경계면에서의 전단강도는 지오그리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보강토옹벽 실험결과 부직포로 보강된 옹벽의 재하초기 변형은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옹벽보다 크나 어느 시점을 지나면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옹벽보다 작게 나타났다. 사례분석결과 부직포로 보강된 보강토옹벽이 영구 구조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전면벽체의 강성이 충분히 커야하고, 선 보강토체 후 일체형 현장 타설 콘크리트 전면벽체 구축시스템에 의해 옹벽을 구축할 경우 보강재로 부직포, 뒤채움재로 현지발생 불량토의 활용이 가능하고, 연약지반상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지속하중하에서의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연구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 Loading using Reduced-Scale Model Test)

  • 유충식;김선빈;변요셉;김영훈;한대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7
    • /
    • 2006
  • 보강토 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영구구조물로서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장기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집된 보강토 옹벽의 장기변형 메카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실험결과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장기적으로 잔류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하중의 특성과 보강재 강성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 재하시 보강토 옹벽의 잔류변형 특성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cyclic Loading)

  • 유충식;김영훈;한대희;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21
    • /
    • 2007
  • 보강토 옹벽은 기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에 의한 잔류변형의 우려로 영구 구조물로서의 적극적인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강토 구조물의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 메카니즘의 규명과 아울러 잔류변형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보강토 옹벽에 발생할 수 있는 장기변형 특성 고찰에 주안점을 두고 지오그리드와 표준사로 뒤채움된 모형 보강토 옹벽에 대한 지속하중 혹은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이력에 대한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변형 특성 메카니즘을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보강토 옹벽의 시간의존적 변형은 작용하는 하중특성 뿐만 아니라 뒤채움흙 및 보강재의 역학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하중을 작용함으로써 시간 의존적 잔류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의 휨거동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Behavior of Hollow Prestressed Concrete Pile for Continuous Pile Wall)

  • 이영근;장민준;윤순종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0-27
    • /
    • 2014
  • 토목, 건축 현장에서 굴착부 배면의 지반 및 각종 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인접한 건물 및 도로 등으로 인해 배면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지중 연속벽 공법, 주열식 흙막이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콘크리트를 현장타설로 시공하여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양생기간으로 인한 시공기간의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의 공법들은 대부분 임시시설로 사용되고 영구 구조체인 옹벽은 별도로 시공된다.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재를 활용한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파일의 휨에 대한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긴장력 도입 실험과,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설계에 따른 충분한 긴장력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차수용 옹벽 또는 안벽 구조물로서 사용한계로 판단되는 균열모멘트 또한 설계시 계산된 균열모멘트에 비하여 약 34% 정도의 여유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극한한계상태인 최대모멘트는 실험을 통해 얻은 균열모멘트에 대해 59.2%의 추가적이 사용성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대형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지속 하중하에서의 장기변형 거동 특성 (Long-Term Performance of Full-Scale Tiered Geogrid Reinforced Wall under Sustained Load)

  • 유충식;정혜영;이봉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8
    • /
    • 2005
  • 토목합성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을 도로 혹은 철도구조물 등 영구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변형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설계/시공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실대형 지오그리드 보강토 옹벽에 포설된 지오그리드의 유발 인장변형율에 대한 장기계측 결과를 토대로 장기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3년여에 걸친 계측결과를 분석한 결과 보강토 옹벽에 포설된 보강재의 유발 인장 변형율은 시공완료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포설된 보강재의 증가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러한 결과로부터 중요 구조물의 일부로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의 설계/시공시에는 장기변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선행하중이 보강토 구조물의 잔류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축소모형실험 (Reduced-Scale Model Tests on the Effect of Preloading on Residual Deformation of Reinforced Earth Structures)

  • 유충식;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1-116
    • /
    • 2008
  • 보강토 옹벽의 영구구조물로서의 적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 혹은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조건하에서 장기적인 잔류변형이 설계/시공시 주요 관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구조물의 피어 및 Back-to-Back(BTB) 형태의 보강토 옹벽을 대상으로 사용하중 작용 이전에 작용시키는 선행하중이 보강토 구조물의 잔류변위를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모형 피어와 BTB 옹벽을 축조하여 단순재하, 지속하중, 반복하중 등 다양한 하중조건 및 시공조건에 대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행재하 공법은 다양한 하중 및 시공조건에서 잔류변위 제어에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차도 부력저감을 위한 유도배수공법의 적용성 검토: 수치해석적 연구 (Applicability examinations of induced drainage system for reduction of uplift pressure in underpass structures: Numerical study)

  • 조선아;진규남;심영종;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23-134
    • /
    • 2013
  • 도시지역에 주로 건설되는 지하차도는 기존의 터널과 달리 지표면에 근접한 지반에 시공되어 지하수의 양압력에 의한 구조물 부상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심지 지하차도의 기존 설계방법(사하중 증가 또는 영구앵커 등의 부력 대처공법)은 지나치게 안전측인 보수적 설계를 수행하고 있어 시공기간 및 경제적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최근 이를 보완하는 공법으로 영구배수공법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상 토질과 지하수 등을 고려한 적절한 분석과정 없이 선정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Y지역에 설치되는 영구배수공법의 일종인 유도배수공법을 대상으로 지반공학적 관점에서 합리적인 설계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화, 지하차도 옹벽 높이, 기초지반 조건 등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유도배수공법은 지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양압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구앵커와 연직 프리캐스트패널을 사용한 절토사면 친환경옹벽공법의 적용사례 (Application for Environment-friendly Retaining Wall Method Composed with Permanent Ground Anchor and Vertical Precast Panel in Cutting Slope Area)

  • 남홍기;정홍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87-96
    • /
    • 2010
  • PAP method is a combined measures which consist a anchored retaining wall method with permanent ground anchors and vertical precast concrete panels, step by step on the slope surface. And soil is back filled between slope and vertical precast panels. Therefore,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ground anchor reinforcing methods of slope stability, for example cross type concrete block ground anchor or buttress concrete block ground anchor method. Because of increasing effective anchor force and green tree planting.

  • PDF

연약지반과 풍화토지반에서 경사고임대 지지블록의 수동토압 산정 (Passive Force Acting on the Kicker Block Used to Support a Raker in Soft and Weathered Soil)

  • 김태형;박이근;김태오;진현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801-813
    • /
    • 2017
  • 경사고임대의 지지블록에서 발휘되는 수동토압은 지반종류에 따라 발휘되는 토압이 다르다. 영구구조물인 옹벽 설계에서는 수동토압의 안전율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시설에 설치되는 경사고임대 지지블록에 작용하는 토압은 실제 발휘되는 수동측토압보다 과하게 산정되어 불안전측의 설계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PLAXIS)을 이용 토사지반에서 경사고임대 지지블록에 발생되는 수동측토압을 산정하였다. 토사지반으로 연약지반과 풍화토지반이 선택되었다. 수치해석결과 각 지반에서 지지블록의 수평변위와 수동측토압 관계 곡선이 산정되었으며 이 곡선상의 항복점이 설계에 적용할 경사고임대 지지체에서의 저항력으로 연약지반에서는 Rankine 수동토압의 약 55.5%, 풍화토지반에서는 약 66%를 보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