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營)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영(營)'자(字)와 '영(榮)'자(字)의 용례(用例) 분석(分析)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xamples of character 'Yeong(營)' and 'Yeong(榮)')

  • 김정수;황만석;백진웅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9
    • /
    • 2010
  • The character 'yeong(營)' has been used mixed with 'yeong(榮)' from the time of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up to now. One word can have a various meaning according to the context. So it is difficult to make a precise definition. Moreover as the words in Korean medicine are abstrus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and make the meaning straight with the words like 'yeong(營)' and 'yeong(榮)'. This study is focused on classifying the meanings and examples of 'yeong(營)' and 'yeong(榮)' by the dictionary definition, examples in medical classics, examples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From this study, we get to know 'yeong(營)' and 'yeong(榮)' was used mixed with the concept of 'yeong-gi(營氣)' which means 'transporting nutri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aspect of oriental medicine physiology, using 'yeong(營)' is more reasonable than 'yeong(榮)' in both cases.

"내경(內經)", "난경(難經)"중영위기혈관염적탐토(中榮衛氣血觀念的探討)-이문자고석위핵심관점(以文字考釋為核心觀點) - "내경(內經)", "난경(難經)"에 나타난 영위기혈(營衛氣血) 관념에 대한 고찰 - 문자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 옹의덕;임소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3-247
    • /
    • 2008
  • 본 논문은 "난경(難經)"과 "내경(內經)"에 나타난 영위기혈(營衛氣血)의 관념에 관한 연구로서 문자의 훈석(訓釋)을 중심관점으로 삼아 전문적 문자학(文字學) 서적 및 고대경전원저(古代經典原著)를 인용하여 그에 근거해 해설하였다. 문자적(文字的) 근원(根源)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문자학적(文字學的) 관점을 이용하여 여러 전적(典籍)들에서 서술된 관념들을 한층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예컨대 본문(本文)에서 논술한 '영'(榮)자에는 "무성하며 밝고 윤택(潤澤)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온몸을 순환한다(번무광윤(繁茂光潤), 규도환주(規度環周))"는 의미가 있으며, '위'(衛)자에는 "온몸을 순환하면서 지키고 방어한다(환요어주(環繞於周), 수위방호(守衛防護))"는 의미가 있는데, 중의경전(中醫經典)에서는 영(營)과 위(衛)라고 명명(命名)하여, "온몸을 순환하면서 영양(營養)을 공급하고 몸을 보호하는 작용"을 나타내었다. 문자는 이치를 담고 있으며, 의학의 이치는 글로써 전해진다. 중의(中醫)의 사상(思想)은 모두 이러한 경전고적(經典古籍) 속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전저작을 학습할 때에는 그것이 표현하는 형식을 분명히 이해해야 하는데, 특히 그 가운데 문자(文字)에 대한 분명한 인지는 매우 중요하다.

  • PDF

영(營).위기(衛氣)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Study of Literature on the Ying Qi and Wei Qi)

  • 홍승원;엄정훈;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2호
    • /
    • pp.87-96
    • /
    • 2002
  • Objective : To study of Literature on the Ying Qi and Wei Qi One of thing that is among basis theory of Oriental medicine is Vital Essence, Vitality, Qi and Blood(精神氣血) justly. Results : Physiological special quality of Ying Qi(營氣) first, flows within Blood Circulation and the temper is mild and second, transform blood and grow up whole body, and follow through Pectoral Qi(宗氣). Wei Qi(衛氣) means running regeneration of material that do guard action of human body as refined nutritious substances transformed in food. Physiological special quality of Wei Qi(衛氣) first, nature is fast, smooth, and sharp. And it flows outside Blood Circulation. Second, go on muscslar gap without following through Pectoral Qi(宗氣). Ying blood(營血) flows within Blood Circulation means living body ingredient which thing reveals by circulation of the blood change phenomenon. Ying Qi(營氣) is Ying(營) in meaning which go on meridians, therefore meridians as wandering living body reaction route mean. This Ying Qi(營氣)'s physiology transform blood and grows up whole body and flows within Blood Circulation. It becomes most important ingredient of composition of blood, Wei Qi(衛氣) transforms and becomes nutrition constantly by running regeneration of material which transform in Jungcho(中焦) and spread by spreading action of upper chest exhaust in lower belly above the blader of apriority, Kidney-yang.

  • PDF

영(營)과 혈(血)에 대한 고찰 (Review on Nutrient and Blood)

  • 엄동명;송지청;정헌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53-558
    • /
    • 2010
  • Nutrient and Blood are really common conception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However, those are used in mixed. not only because of their common points but users who doesn't have clear classifications between them. Therefore, I will explain those owns by explaining origins, places of origons, pathway, circulations, organs related to them and color. In addition, I will try to explain thi things in common without conceptions of their own. As a result, the first, nutrient is what is originated from water and food at middle energizer and circulated in meridian vessel by control of spleen. The second, blood is what is originated from qi of water and food and circulated in blood vessel by control of heart and its color is red. The third, nutrient blood is what is originated from water and food or qi of water and food and circulated in meridian or blood vessel by control of spleen and heart. Also it is red and its function is nourishing human body. The name of Nutrient blood is a new term that I made and it is different from nutrient or blood. Also it is different from nutrient and blood. Nutrient blood is combination by conceptions, nutrient and blood is combination by word itself.

경맥(經脈)과 락맥(絡脈)의 순행(循行) 양식(樣式)과 영.위기(營.衛氣)의 운행(運行) 특징(特徵)의 상관성(相觀性)에 대한 고찰(考察) (The Relativity between the Circulating Pattern of the Channels, the Collaterals, and the Movement Distinction of YoungGi, and WiGi)

  • 강동윤;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30-45
    • /
    • 2006
  • Analyzed the subject of ‘To heart' meridian system(向心服系), and 'Circulating' meridian system(備環服系), and considered relativity between the circulating pattern of the channels, the collaterals and the circulating distinction YoungGi (營氣), WiGi(衛氣). The subject of 'To heart' meridian system is WiGi, and this system is similiar to the moving pattern of the fifteen major collaterals(十五絡服). The subject of 'Circulating' meridian system is YoungGi, and this system is same with the moving pattern of the twelve regular channels(十二經脈). YoungGi and WiGi have the same origin, and they are intrinsic one thing with functional ambivalency. It is WiGi, the subject of the movement of Collateral, because it is identical the moving pattern of Collaterals(絡服) and that of WiGi as the subject of the movement of Collateral. It is YoungGi, the subject of movement of Channel because it is identical the moving pattern of Channels(經服) and that of YoungGi. It can be defined that Wigi as the subject of the movement of Collateral, also YoungGi as the subject of movement of Channel, but that is from i 염 function and action, there's no need to be separated within the framework of going through Meridian. YoungSuBosa(迎隨補鴻) in acupuncture, defines its basis not only on the moving direction of YoungGi, but on combinated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s, moments, and sex. Until now it is under discussion the rights and wrongs, It's not contradictory concept between two basis of YoungSuBoSa, from the thought the distinct movement of WiGi and the circulation pattern of Collaterals have no specified directions.

  • PDF

조선시대 녹각성과 수중목책의 조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and Use of Nokgakseong and Underwater Wooden Fence)

  • 심순희;김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30-246
    • /
    • 2023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방어시설로 추정되고 있는 목책(木柵)은 조선시대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까지 군사적인 방어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城)이나 병영(兵營) 외부에 설치되는 성책(城柵), 영책(營柵)의 개념으로 정립되면서 방어를 위한 필수시설로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관방시설로 이용되었던 목책을 연구한 결과로, 녹각성(鹿角城)과 수중목책(水中木柵)의 용도와 기능 그리고 설치 방법 그리고 목책의 소재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 외적의 침략이 빈번해짐에 따라 목책은 주요 성외 방어시설(防禦施設)로써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목책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나 관방정책, 입지 환경에 따라 목책성, 녹각성 그리고 수중목책 등 다양한 유형으로 변용(變容)되어 설치되었다. 둘째, 목책은 요충지(要衝地)의 산성(山城)이나 영(營), 진(鎭), 보(堡), 성(城) 등 군사적 목적의 관방시설(關防施設)에 설치되었으며, 유사시 방어의 시급성에 따라 농번기(農繁期)를 피해 인력의 동원이 수월한 농한기(農閑期)에 맞춰 설치되었다.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조선시대 목책의 규모는 포백척(布帛尺)으로 환산한 결과 그 둘레가 4,428척(2,066m)부터 55척(25m)까지 매우 다양한 규모였다. 또한, 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었다. 셋째, 녹각성은 일반적인 목책보다 공격성을 겸비한 효율적인 전투 지원시설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녹각성기록은 세종대에 20회로 가장 많은 기록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4군 6진 지역인 평안·함길도(12) 등 변방(邊防) 험지(險地)에 주로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5세기 초반 조정에서 남해안 연해지역(沿海地域)의 해상 방어 전략을 수립하게 되면서부터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 이후 본격적으로 읍성(邑城)을 비롯한 주요 치소(治所)나 진, 보 등 여러 관방시설 주변에 왜적의 병선(兵船)을 저지하기 위한 방어시설로서 수중목책의 설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다섯째, 삼포왜란을 전후한 15세기부터 17세기 사이 남해안과 강화도에 수중목책이 설치되었다. 특히 15세기에 제포와 같은 경남 해안 요해처(要害處)에 수중목책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수중목책의 재료는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지만 이 밖에도 합다리나무, 서어나무류, 칠덩굴도 목책의 소재로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