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엽상자어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남해 정치망에서 채집한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특성 (Morphogenetic Identification of Eel's Larva (Leptocephalus) Collected by Set net in Namhae, Korea)

  • 홍창기;한경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8-135
    • /
    • 2023
  • 엽상자어(Leptocephalus)는 뱀장어목(Anguiliformes)에 속하는 어류의 자어로 5~6월에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정치망에서 멸치와 함께 어획 후 방류하지만 대부분 폐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멸치어업을 하는 정치망에서 무분별하게 포획되는 엽상자어의 종을 구명하여 수산자원보호 및 이들 자치어 생태 연구를 위한 기초 생물학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엽상자어는 5~6월에 남해의 정치망에서 채집하였으며, 외부형태와 유전학적 특성을 붕장어(Conger myriaster), 갯장어(Muraenesox cinereus) 및 뱀장어속(Anguilla) 4종의 성어와 비교하였다. 유전학적 분석은 추출한 DNA를 12s rRNA, 16s rRNA 부분단편을 PCR로 증폭하여 염기배열을 분석한 후 분자계통수를 작성하여 장어류 유생이 붕장어, 갯장어 및 뱀장어속 4종 중 어느 쪽의 성체와 클러스터 그룹화를 이루는지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엽상자어의 외부형태 계수 및 계측결과 엽상자어의 전장에 대한 머리길이의 백분비와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백분비는 붕장어와 가장 유사한 비율을 보였고, 척추골수 역시 붕장어와 가장 유사하였다. 또한 엽상자어의 유전자 분석결과는 모두 붕장어 성체와 클러스터 그룹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남해안에서 5~6월에 어획되는 엽상자어는 모두 붕장어의 자어임을 할 수 있었다.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출현한 당멸치 Elops hawaiensis (당멸치목: 당멸치과)의 엽상자어 (A Leptocephalus Larva of Elops hawaiensis (Elopiformes: Elop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고유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7-220
    • /
    • 2005
  • 2004년 8월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집어등에 의한 연안 자치어 조사과정 중에 당멸치과 (당멸치목)에 속하는 엽상자어 3개체 (표준체장 33.4~35.2 mm)를 채집하였다. 이들 엽상자어는 꼬리지느러미가 이차하고, 뒷지느러미가 작으며, 그 기점이 등지느러미 후단부 하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당멸치 Elops hawaiensis'로 동정되었다.

날붕장어(Echelus uropterus) 엽상자어의 분자동정, 개체발생 및 진화학적 고찰 (Molecular Identification, Ontogeny and Evolutionary Note of Echelus uropterus Leptocephali)

  • 지환성;이수정;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7-224
    • /
    • 2011
  • 동해에서 바다뱀과 엽상자어 7개체(TL 14.6~68.0mm)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 DNA 12S rRNA 861 bp 염기서열로 종을 동정하고, 이들의 개체발생을 기술하고, 진화적 관계를 고찰하였다. 바다뱀과 엽상자어 7개체는 날붕장어 성어와 유전거리(d=0.000)에서 잘 일치하였다. 날붕장어 엽상자어 7개체는 9개의 소낭이 항문 앞까지 존재하고, 전체 근절수가 154~158개, 전장에 대한 체고가 10% 이하이며, 흑색소포가 항문 뒤부터 꼬리지느러미 앞까지 8개 분포하는 형태적 특징을 보였다. 엽상자어의 형태 및 분자 분석결과를 통해 날붕장어는 진화학상 바다뱀아과 및 갯물뱀아과 사이에 위치하는 그룹으로 사료된다.

남해에서 채집된 바다뱀과 엽상자어(Leptocephali)의 형태 및 분자 동정 (Molecular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Ophichthid Leptocephali from the South Sea of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4
    • /
    • 2010
  • 2010년 9월 남해 상주 앞바다에서 정치망으로 바다뱀과 엽상자어 4개체(TL 109.8~129.7mm)를 채집하였다. 형태적으로 엽상자어는 8개의 소낭이 항문 앞까지 존재하고, 전체 근절수가 141~151개, 전장에 대한 체고가 10% 이하인 점, 흑색소포가 항문 뒤부터 꼬리지느러미 앞까지 8~9개 분포하는 특징에 따라 까치물뱀속(Ophichthus sp.) 어류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형태적 결과와는 달리 미토콘드리아 DNA 12S rRNA 826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엽상자어는 돛물뱀속(Pisodonophis sp.) 성어와 100% 일치하였고, 돌기바다뱀(Pisodonophis cancrivorus) 성어와는 98.1%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형태 동정결과가 분자 동정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까치물뱀속과 돛물뱀속 엽상자어기의 형태적 구분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채집된 돛물뱀속 엽상자어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나망곰치, Gymnothorax minor (뱀장어목, 곰치과) 엽상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Gymnothorax minor (Muraen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i off Jeju Island)

  • 이승종;지환성;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64
    • /
    • 2013
  •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곰치과(Muraenidae) 엽상자어 2개체 (전장 36.2~69.2 mm)를 대상으로 mtDNA 12S rRNA 724 base pair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한국 통영에서 채집된 나망곰치(Gymnothorax minor) 성어와 100% 일치하였다. 나망곰치 엽상자어는 전체 근절수가 137~139개, 등지느러미 앞 근절수가 32개, 항문앞 근절수가 82~86개, 전장에 대한 체고가 10% 이상인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갯물뱀(뱀장어목: 바다뱀과)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형태 및 분자동정 (Molecular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 Muraenichthys gymnopterus (Ophichth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us Collected on Jeju island, Korea)

  • 지환성;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07-512
    • /
    • 2012
  • One leptocephalus (TL 59.9 mm) from the family Ophichthid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was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Our ophichthid leptocephalus was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Muraenichthy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157 myomeres;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located a little in front of the anus; a distinct melanophore present on the opercle; and six gut swellings present. An analysis of 886 base pairs of the 12S rRNA mtDNA sequences showed that our leptocephalus must be Muraenichthys gymnopterus, because its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an adult M. gymnopterus (d=0.001) and next to those of Muraenichthys sp. leptocephalus (d=0.034). Here, we are the first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 gymnopterus leptocephalus.

보존용액이 절화 수국 '발레나 그린'의 관상기간 연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ative Solutions on Postharvest Vase Life of Hydrangea macrophylla 'Verena Green')

  • 최지원;양해조;임수연;신일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20
  • 수국 '베레나 그린'의 줄기하단의 엽을 제거하고 5엽 상태에서 수돗물과 0.1% 크리잘 RVB에 각각 담가 4℃에서 24시간 물올림을 하고 물올림을 하고, 줄기를 60~70cm 길이로 끝을 대각선으로 절단하여 물올림용액을 채운 물 대롱을 끼운 다음 꽃을 보호하기 위한 비닐 슬리브를 씌워 유통용 종이상자에 담아 5±1℃ 냉장차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운반하였으며, 절화수명 및 관련 특성분석을 위해 평가실로 옮기기 전까지 유통용 종이상자에 담긴 상태로 저온저장고(5±1℃)에 보관하였다. 보존용액에 따른 절화특성 조사를 위해 절화를 평가실에 전시하기 전에 절화의 줄기길이를 40cm로 맞춰 절단한 뒤에 보존용액을 800 mL 채운 플라스틱 화병에 꽃아 절화 화관끼리 서로 닿지 않도록 배치하였으며 22±2℃ 실내에서 절화수명을 조사하였다. 보존용액으로 4%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1% sucrose + 250 mg/L 8-hydroxquinoline + 100 mg/L citric acid로 이루어진 용액(HQ) 그리고 시중에서 수국 절화 보존제로 판매되는 크리잘 프로 II, III와 크리잘 clear 0.5% 용액을 사용하였다. 수돗물에 물올림하였을 때 보존용액인 0.5% 크리잘 프로 II에서는 33.8일, 0.5% 크리잘 프로 III에서는 27.7~33.5일, 크리잘 클리어는 33.7일,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수돗물은 각각 26.2, 28.8일이었고, HQ 용액은 49.0일로 크리잘보다 15일, 수돗물보다 20일 절화수명이 연장되었다. 수국 '베레나 그린'의 보존용액으로 1% sucrose + 250 mg/L 8-hydroxquinoline + 100 mg/L citric acid를 사용하는 것이 관상기간을 연장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 PDF

제주도 남방해역에서 채집된 제주바다뱀(Ophichthus asakusae) 엽상자어(Leptocephalus)의 첫 형태기재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Ophichthus asakusae (Ophichthidae: Anguilliformes) Leptocephali Collected from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 지환성;최정화;최광호;이동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4-597
    • /
    • 2013
  • Two leptocephali [total length (TL) 68.2-80.5 mm] from the family Ophichthidae, collected from the waters south of Jeju Island, Korea, were identified using morphology. The two ophichthid leptocephali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genus Ophichthu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131-132 myomeres; nine gut swellings; dorsal fin origin above the middle of the body; five postanal pigments present from the anus to the caudal margin. Ultimately, both leptocephali were identified as Ophichthus asakusae, as the total number of myomeres was consistent with those of adult O. asakusae. Here, we first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 asakusae leptocephalus, and suggest diagnostic characters for leptocephali belonging to the genus Ophichthus.

한국산 여을멸과(여을멸목) 어류 1미기록종, Albula glossodonta (Forsskål, 1775) 엽상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Newly Recorded Albula glossodonta (Forsskål, 1775) (Albulidae, Albuliformes) Leptocephalus in Korea)

  • 이연명;지환성;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68-573
    • /
    • 2021
  • A single leptocephalus specimen of Albula glossodonta belonging to the family Albulidae under the order Albuliformes, wa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May 21, 2019.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A. vulpes in the number of melanophores at the base of the caudal fin. In addition, our specimen was readily distinguished from A. argentea in having no melanophores on the operculum, at the base of the dorsal fin and in front of the pectoral fin. Also it was well distinguished from A. gilberti in having no melanophores on the operculum, in front of the pectoral fin and on the lateral body. A molecular analysis based on 467 bp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16S rRNA shows that the leptocephalus is well matched to A. glossodonta adult (K2P distance=0.002).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A. glossodonta leptocephalus in the Korean waters, and propose it's new Korean name, "Nam-bang-yeoeul-m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