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엽록소형광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pplic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Water Stress Ranges in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수박접목묘의 건조스트레스 범위 탐지를 위한 엽록소형광 지수의 적용)

  • Shin, Yu Kyeong;Kim, Yong Hyeon;Lee, Jun Gu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8 no.4
    • /
    • pp.461-470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the drought stress in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non-destructively by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CF) imaging technique rather than the visual judgment. Six-day old watermelon seedlings were grown under uniform irrigation for 3 days, and then given drought stress. Afterward, the 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in plug tray cell unit was used to classify the drought-stress level into nine groups from D1 (53.0%, sufficient moisture state) to D9 (15.7%, extremely dry stress), and the 16 CF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re-irrigation was performed on the drought stressed seedlings(D5 - D9) to determine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recovery level, which was not confirmed by visual judgment. The kinetic curve patterns of CF in three different drought stressed seedling group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the early detection of drought stress. All the 16 CF parameter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exposure to drought stress and drastically decreased from D5 (32.1%) where the visual judgment was possible. The fluorescence decline ratio (Rfd_Lss) started to decrease from the initial drought stress level (D5 - D6), and the Maximum PSII quantum yield (Fv/F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ter extreme drought stress range (D7 - D9) by re-irrigation recovery test. Thus, Rfd_Lss and Fv/Fm parameters were finally selected as potent indicators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recovery in the initial and later stages of drought stress. Also, to the differences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individual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the drought stress level was intuitively confirmed through the im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fd and Fv/Fm can be considered as potential CF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low and extremely high drought stress, respectively. Furthermore, Fv/Fm can be considered as the best CF parameters for recovery at re-irrigation.

Comparion of Vitality among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하절기 동안 한지형 잔디 3종의 활력도 비교 분석)

  • Seok Chan Koh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4-44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골프 코스에서 하절기 고온기간에 온도의 상승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생육 장애가 심한 한지형 잔디인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3종에 대하여 엽록소형광과 엽록소지수를 측정하여 골프 코스와 스포츠 필드에서 잔디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Fo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perennial ryegrass의 경우는 하절기 초기와 후기 간의 Fo 값의 변화가 컸으며, 특히, 후기에 Fo 값은 다른 2종 월등하게 보다 높았다. Fm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하절기 후기에 증가하였으나 3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의 척도인 Fv/Fm 값은 3종 모두에서 하절기 초기에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하절기 후기에 Kentucky bluegrass와 creeping bentgrass는 perennial ryegrass에 비해 Fv/Fm 값이 다소 높아 하절기 고온에서도 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엽록소지수는 perennial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에서는 뚜렷하게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높은 양상을 보였으나, creeping bentgrass는 조사기간 내내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Kentucky bluegrass가 하절기 후기의 고온이나 빈번한 강우에 의한 습한 조건에 가장 강하고, perennial ryegrass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ossibility of Drought stress Indexing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ing Technique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고추의 엽록소 형광 이미지 분석법에 의한 한발스트레스 지표화 가능성)

  • Yoo, Sung-Yung;Eom, Ki-Cheol;Park, So-Hyun;Kim, Tae-W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5
    • /
    • pp.676-682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chlorophyll fluorescence related to drought stress comparing some parameters. Almost parameters were declined al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 on the basis of mean values of fluorescence of total leaf area. While the ratio of fluorescence intensity variable chlorophyll ($F_V$) to fluorescence intensity maximal chlorophyll ($F_M$) was not changed, the effective quantum yield of photochemical energy conversion in photosystemII (${\Phi}PSII$)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decrease ratio ($R_{fd}$) were slightly reduced, indicating inhibition of the electron transport from quinone bind protein A ($Q_A$) to quinone bind protein B ($Q_B$). Some parameters such as non-photochemical quenching rate ($NPQ_{_-LSS}$) and coefficients of non-photochemical quenching of variable fluorescence (qN) in mid-zone of leaf and near petiole zone leaf were significantly enhanced within 4 days after drought stress, which can be used as physiological stress parameters. Decrease in ${\Phi}PSII$ could was significantly measured in all leaf zones. In conclusion, three parametric evidences for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s such as ${\Phi}PSII$, NPQ, and qN insinuated the possibility of photophysiological indices under drought stress.

Differences on Growth of Two Quercus Species according to Indoor Light Intensity (자생 참나무속 2종의 실내 광량에 따른 생육 차이)

  • Park, Kyungtae;Lee, Cheol Hee;Oh, Chan-Jin;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8-5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 참나무속 2종의 몇 가지 저광량 조건하에서 생육 및 엽록소 형광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재료는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Blume)와 붉가시나무(Q. acuta Thunb.)의 2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실내 광환경조건을 조사하여 광량을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및 습도($55{\pm}3%$)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총 8주간 재배하였다. 대조구는 유리온실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된 식물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참가시나무는 50 PPFD 이하에서 전체 식물 중 50%가 잎이 마르며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PPFD에서도 25%의 잎마름이 관찰되었다. 200 PPFD는 줄기직경을 제외한 초장, 엽수, 엽장, 엽폭 및 엽록소 함량(SPAD)이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높았으며, 엽록소 형광 반응에서도 모든 측정값이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붉가시나무는 50 PPFD 이상의 광량에서는 줄기직경, 엽수, 엽장 및 SPAD가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모든 광량조건에서 초장과 엽폭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엽록소 형광 반응은 모든 광량에서 대조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10 PPFD는 초기형광값(Fo)과 비광학적 에너지의 손실(DIo/RC)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 PDF

Growth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s of Two Camellia woody Species according to Indoor Light Intensity (실내 광량에 따른 동백나무속 목본 2종의 생육 및 엽록소 형광 반응)

  • Park, Kyungtae;Lee, Cheol Hee;Kim, Hyun Woo;Hwang, Jung In;Park, Cheol;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9-59
    • /
    • 2019
  • 본 연구는 몇 가지 광량 조건하에서 자생 동백나무속 상록활엽 목본 2종의 생육 및 엽록소 형광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실내 도입가능 여부를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재료는 2년생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Kuntze] 삽목묘와 3년생 동백나무(C. japonica L.)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내 광환경의 사전조사를 토대로 광량을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달리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광 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및 습도($55{\pm}3%$)를 통일하였다. 총 8주간 재배하였으며, 유리온실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중인 식물을 대조구로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차나무는 50 PPFD 이상의 조건에서 초장, 줄기직경, 엽수 및 엽장 등의 생육이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10 PPFD에서는 모든 식물체의 잎이 말리거나 떨어지는 등의 관상가치가 저하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광량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형광 반응은 100, 200 PPFD의 광량에서 모든 조사 항목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동백나무는 50 PPFD에서 25%의 고사율이 나타냈다. 100 또는 200 PPFD에서 전반적인 생육이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우수하였으며, 엽폭과 SPAD는 광량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100, 200 PPFD의 엽록소 형광 반응은 모든 조사 항목에서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Age on Soundness of Abies koreana Seeding (대기 온도와 연령이 구상나무 유묘의 건전도에 미치는 영향)

  • Seung-Beom Chae;Han-Na Seo;Hyo-In L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0-50
    • /
    • 202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생지에서 고사하고 있는 구상나무 유묘의 대기온도와 연령에 따라 건전도를 파악하고자 지리산 구상나무 실생묘를 대상으로 엽록소형광을 측정하였다. 2020년 7, 8, 9월에 걸쳐 월별 1회씩 연생별(1, 2, 3, 5, 6년생) 20개체를 대상으로 13시, 19시에 개체당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당시 평균대기온도는 24.6, 26.9, 20.6℃이었으며 잎을 20분간 광을 차단 후 Fv/Fm값을 측정하였다. Fo는 식물이 암적응 된 상태에서 포화광을 조사하기 직전의 형광 초기값이며, Fm은 식물이 암적응 된 상태에서 포화광을 통해 유도된 최대 형광수치를 의미한다. Fv는 Fm-Fo이며, 광화학 반응의 최대 양자수율로 식물의 잎이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하고 식물의 광합성 활성과 건전도에 대한 지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잎의 Fv/Fm값이 0.8을 기준으로 낮은 값은 광계II의 반응 중심이 손상을 잎은 경우이거나 스트레스 환경에 있는 경우이다. 13시 측정 결과 8월 측정값 중 1년생과 3년생이 0.8 이하로 측정되었고 그 외에는 전부 0.8 보다 높게 나타났다. 19시 측정 결과 8월에 1, 2, 3년생이 0.8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9월에는 1년생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0.8 보다 높게 나타났다. 1, 2, 3년생은 8월의 높은 온도에 영향을 받아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구상나무의 특성상 고온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연령이 비교적 높은 5, 6년생은 온도변화에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엽록소형광 측정의 결과를 근거로 3년생 이하의 개체는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5년생 이상의 개체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건전도가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Evergreen Hardwoods by Drying Stress (건조 스트레스가 난대 상록활엽수의 광합성 반응 및 엽록소 형광반응에 미치는 영향)

  • Jin, Eon-Ju;Yoon, Jun-Hyuk;Bae, Eun-Ji;Choi, Myung-Seo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3
    • /
    • pp.196-207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 japonica, D. morbifera, D. macropodum, I. anisatum, Q. glauca and R. indica To investigate the photosynthetic ability,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alysis, and physiological environmental. The photosynthetic rate, cancer re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rate of evaporation tended to decrease as a result of drying stress in the no-water condition for 28 days. I. anisatum, Q. glauca and R. indica showed a low rate of less than 40% until 28 days of no-treatment.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D. macropodum> D. morbifera> C. japonica> Q. glauca> M. thunbergii> R. indica> I. anisatum. Chlorophyll fluorescenc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qP, but after 28 days no $Fv/F_m$, $F_o$, $R_{fd}$, $NPQ_{_-LSS}$ can be a useful indicator for quantitative estima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marked reduction rate of PSII quantum yield ${\Phi}PSII$ in the rectified state by continuous light during the nominal adaptation period. In the case of I. anisatum, Q. glauca and R. indica If water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at intervals, it may be possible to plant trees in trees and landscape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