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수침입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염수침입 현상의 전기비저항 분석에 대한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 심병완;정상용;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92-96
    • /
    • 2001
  • Although the problem of seawater intrusion at the coastal aquifer was recognized before over one hundred years at the coastal aquifer, much groundwater keep on being salinitized by several reasons such as groundwater exhaustion, coastallin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lectrical soundings and geo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define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saltwater intrusion and to estimate the saltwater interface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Pusan City. The 24 points of the Schlumberger vertical electrical soundings(VES) to loom depth and the 2 lines of dipole-dipole horizontal soundings are peformed. The resistivity data have lognormal distributions. The horizontal extents of saline water intrusion were estimated from the inversion of horizontal prospecting data. Lognormal ordinary kriging is used in A-A' resistivity profiles on May and July because the data have stationary models in semivariograms. Lognormal IRF-k kriging is used for the isopleth maps using vertical resistivity data. The 10 ohm-m resistivity line on the isopleth maps of 21m, 30m, 50m, and 70m depth using resisitivity data measured in July is sifted to the east, cpomparing that of the isopleth maps measured in May. The kriged vertical and horizontal resistivity isopleth maps suggested that the geostatistical methods can be used to define the variation of earth resistivity distribution at the saltwater interface.

  • PDF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in Nakdong River Watersheds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 경향성 분석)

  • Yang, Jeong-Seok;Kim, Nam-Ki;Nam, Jae-Joon;Lee, Myung-Eun;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4-234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사상의 특성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로 인해 밝혀졌다. 이중, 강우사상의 경우 연강우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최대강우량 또는 강우강도나 강우집중률이 비교적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직접유출 부분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면서, 즉 총강우의 유역출구로 나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갈수기의 지하 및 하천수위는 예년에 비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실정이 국가지하수관측망이나 하천수위 자료로서 관측되고 있다. 이는 지하수위의 변동특성이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해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료로서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지하수 관측망 중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검토한 결과 총 43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여 암반층 36개, 충적층 19개로 관측정별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연최대, 연평균, 연최저 지하수위에 대한 경향성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t-test를 실시하였다. 연 평균지하수위를 기준으로 암반층은 27개 관측소가 하강하였고, 이 중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며 하강하는 지점은 9개로 나타났다. 충적층은 16개 관측소가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중 12개 관측소가 유의수준 5% 이내에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하강하는 경향성이 뚜렷한 지역은 지하수의 고갈과 함께 인근하천의 건천화 그리고 지반침하나 해안지방인 경우는 염수침입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이므로 향후 이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Saltwater Intrusion by Flushing Discharg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Flushing 방류로 인한 섬진강 하구부 염수침입 영향분석)

  • Noh, Joonwoo;Lee, Jin-Young;Shin, Jae-Ki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3
    • /
    • pp.325-335
    • /
    • 2011
  • Estuary i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river and ocean environment that receives the maritime and riverine influence simultaneously. Estuaries are the most productive habitats because their incoming water provides large quantities of nutrients.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the middle south of Korea, has no barrage and shows natural characteristic of estuary. However, due to dredging and reclamation the environment of the estuary has been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river mouth. In addition, increased freshwater intake in midstream of the Seomjin River results in salinity intrusion. In this paper salinity variation in downstream estuary of the Seomjin River has been simulated and tested using EFDC model. The results of simulation were compared with measured data collected at three points, Culture & Art Center, Sumjin Iron Bridge, and Mokdori, located at 9Km, 14Km, and 15.5Km respectively from downstream estuary.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contribution of the flushing discharge has been evaluated in preventing the salinity intrusion by increasing the discharge flowrates released from the Juam dam.

Mixing of Freshwater with Seawater inside Boom and Skirt System (막 구조 내부의 담수와 염수의 혼합)

  • O, Yeong-Min;Jeong, Sin-Tae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3
    • /
    • pp.299-306
    • /
    • 2000
  • Korea IS one of countries to be predicted short of water in the 21st century. The government has been investigating various alternatives to resolve the problems including construction of reservoirs. Freshwater retention techniques using boom and skirt system is one of them. It is very difficult to intake water in the estuaries of south and west coast of Korea because a big tide penetrates into an upstream river. Thus, means or retaining and keeping separate freshwater from seawater could potentially be helpful in solving the water supply problems. In this study, the proposed means to achieve freshwater retention is by use of floating boom and skirt systems. The hydraulic viability of these systems in taking advantage of natural stratification tendencies between the fresh and seawaters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hydraulic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freshwater retention capacity depends on skirt length and the opening beneath the skirt. The choice of skirt length IS very important to optimize freshwater storage because longer skirt lengths cause faster mixing and shorter lengths retain less volume. Results show that the freshwater retention volume generally increases as the length of the skirt increases. However, they show that water storage might be insufficient if skirts were either too long or too short.

  • PDF

Rel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on Tidal Variation around the Yeomha Channel, Han River Estuary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변화에 따른 염분분포와 담수와의 상관관계)

  • Yoon, Byung-Il;Woo, Seu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4
    • /
    • pp.269-276
    • /
    • 2012
  • Salinity distribution in estuary and tidal river is presented by many parameters including tidal forcing, river discharge and geographical effec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linity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water-quality, ecological, and engineering viewpoint. Fiel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structure at 2 surface stations at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The results of short- and long-term salinity change according to short and long tidal variability is investigated. For analyzing the axial salinity distribution at Yeomha channel, the salinity data from NFRDI is us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 empirical equation for salt intrusion length scale, including tide, river discharge, and topographical effect is presented. As the comparison of empirical equation and existing data collected in study area, the characteristic of salt intrusion length and salinity distribution is changed by tide, fresh water, and geographical effect.

Study on for Estimation of Ecological Instream Requirement in Nakdong River (낙동강권역 생태계 필요유량 산정방법 비교 연구)

  • Park, Jung-Eun;Kim, Jeong-Kon;Jeong, Young-Won;Lee,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0-180
    • /
    • 2011
  •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유량을 의미하는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수질보전, 하천생태계보호, 하천경관보전, 염수침입 방지, 하구막힘 방지,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보호, 지하수위 유지 등을 감안하여 산정하게 된다. 하천유량 변화는 하천내 동 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고등 생물인 어류의 서식처, 산란장소 및 산란조건 등은 유량 및 수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하천구간별 어류의 서식처 유지에 적절한 수심, 유속 등 수리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유량을 산정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어류의 적절한 수생 서식환경 평가를 위해 주로 유량 점증 방법론(IFIM,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개념에 입각한 물리서식처 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13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여 어류의 물리서식처 모형과 수심-유속-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간단법을 이용하여 생태계 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어류 물리서식처 모형으로는 어류서식환경 평가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생태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량점증방법론의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 모형을 선택하였다. 현장 모니터링 및 문헌조사를 통해 각 지점별 대표어종을 선정하고, 유량, 수심, 저수로 하천단면, 하상재료와 같은 수리특성을 조사하고, 선정된 한계단면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수심-유속-유량 관계곡선을 통하여 각 지점의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최소유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지점별로 서식처 적합도 지수(HSI, Habitat Suitability Index)와 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를 산정하였으며, 이는 PHABSIM 모형의 적용에 이용되었다. 물리서식처 모형과 간단법 적용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모든 지점에서 물리서식처 모형 적용결과가 간단법에 비해 크게 산정되었는데, 이는 간단법이 성어기 서식에 필요한 최소 수리조건을 선택하였지만, PHABSIM의 경우 성어기 어류서식의 최적 수심 및 유속을 이용하여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서식과 관련된 많은 관련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어류서식처에 맞는 최적의 생태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a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K-series model (K-serise 모형을 이용한 베트남 Ca 유역의 홍수범람해석)

  • Dae Eop Lee;Min Seok Kim;Jin Hyeog Park;Yeon Su Kim;Wan Sik 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2-342
    • /
    • 2023
  • 메콩강을 공유하는 6개국은 주로 강의 개발과 수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하지만, 각국의 산업화나 경제성장의 수준, 메콩강에 대한 의존도와 관심, 전략 등이 서로 달라 개발에 따른 국가 간 수자원 공유, 환경피해, 지역보존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메콩지역의 국가 중 베트남은 하천유역의 많은 부분이 국가공유하천으로 인접국가의 유역개발에 따라 다양한 물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잦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낙후된 사회인프라로 인해 이수 및 수질오염과 관련된 물 문제 역시 지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해당지역의 물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결정의 지원을 위해서는 수리·수문학적 기초 또는 상세 분석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매년 홍수와 대규모 범람, 비효율적 댐운영으로 인한 가뭄, 염수침입 등의 물 문제가 발생하는 Ca River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K-series SW 기반의 홍수범람 해석을 수행하였다. K-water에서 개발된 다양한 K-Series SW 중 연구대상유역인 Ca River 하류 유역에 대한 적용에 적합한 모형을 기존 현황조사 등을 바탕으로 1차원 하천흐름해석을 위한 K-River,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K-Flood 모형을 선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과 2013년의 홍수기를 대상으로 K-River모형을 이용하여 Ca river 하류의 수리학적 현상을 해석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K-Flood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고 실제 범람지도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결과검토를 통해 모의 결과가 수위에 대해 높은 재현성을 보이고 있으며 범람면적과 침수심의 모의결과가 실제 침수양상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Numerical Modeling for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Nakong River and Sediment Dredging Effects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낙동강 하류의 유사특성과 낙동강하구둑 준설효과에 관한 수치모의 연구)

  • Ji, Un;Julien, Pierre Y.;Park, Sangkil;Kim, Byungda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B
    • /
    • pp.405-411
    • /
    • 2008
  •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NREB) was constructed in 1987 to prevent saltwater intrusion and to provide the sustainable water supply in the upstream channel. Sediment dredging has been conducted to eliminate deposited sediments in the approached upstream channel of the NREB. Fluvial changes and sedimentation problems have been continued due to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in the watershed as well as construction of the NREB. However, the sufficient field monitoring and researches for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s have not been performed after construction of the NREB. Therefore, bed elevation changes and seasonal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the quasi-steady state model with historical field data in this study. The water surface elevation changes with and without sediment dredging opera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quasi-steady state model and finally the sediment dredging effects were evaluated.

Analysis of Density Current in the Tidal River (감조하천(感潮河川)의 하구(河口) 밀도류해석(密度流解析))

  • Suh, Seung Duk;Park, Sung Bae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4
    • /
    • pp.70-76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of the tidal river development program by grasping the diffusion between the high density-sea water and the low density-fresh water in the tidal river. The tidal range of Hyungsan river which flows at Youngil bay in Pohang was selected to analysis the phenomenon of density curr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The tide of Youngil bay was one time a day, 0.104m in high tide difference and 0.085m in mean tidy difference. The change of sea level by tide was negligible. The volume of reserved water by sea water was $2,700,000m^3$ and available water of irrigation was $1,200,000m^3$ that salt density is below $750{\mu}{\mho}/cm$ out of total volume. Salt intrusion phenomenon by density current was a little water level change, however, it become a salt wedge type by the much salt invasion during the spring tide and it makes a well-mixed type by the retreating salt wedge during the neap tide. As long as there were some density differences between sea water and fresh water, net upstream flow was existed along the bottom of water way from the estuary to the upstream channel.

  • PDF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Estimating Ground Water Level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일강우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기법 개발)

  • Park, Jae-Hyeon;Choi, Young-Sun;Park, Chang-Kun;Yang, Jung-Suk;Booh, Seong-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9-193
    • /
    • 2006
  • 대체용수원의 개발이 시급하게 대두되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한된 수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지하댐(Groundwater Dam) 건설을 이용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이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해안지역에 설치된 지하댐을 운영할 경우 지하수위 변동에 따른 염수의 침입을 고려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특히 갈수시는 지하수위 하강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지하수위는 지하댐 최적운영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특히 강우량 자료를 활용한 가뭄지수와 지하수위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면 예상 강우자료를 활용한 장래의 지하수위를 예측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지하댐 운영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와 예상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지하수위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과거 강수량의 일이동 평균값을 바탕으로 한 다항 회귀모델을 수립하여, 계절적 특성을 고려한 구간을 분리하여 적용하였다. 예측된 지하수위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측된 지하수위와 예측된 지하수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순회귀기법을 지하수위를 예측한 경우 $0.62{\sim}0.63$의 상관계수를 보인반면 다항회귀기법을 적용한 결과 $0.62{\sim}0.84$로 상관계수가 증가하였다. 대체적으로 관측된 지하수위와 예측된 지하수위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하댐 운영에 있어 최적의 취수량을 개발하기위해 일강우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위 예측기법의 활용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