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소 발생

Search Result 32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istance to Penetration of Harmful Ions in Surface Coatings Material Containing Organic Corrosion inhibitor (유기계 방청제를 혼입한 표면피복재의 유해이온 침투저항에 관한 실험적 연구)

  • Ryu, Hwa-Sung;Shin, Sang-Heon;Lee, Han-Se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2
    • /
    • pp.157-166
    • /
    • 2017
  • In general, carbonation and chlorine ions are the most harmful causes of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Recently, a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the corrosion of rebar in concrete containing chloride by impregnating a Surface coating material with a inhibitor. In this study, accelerated carbonation and differential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DTA) and CASS tes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coatings containing Organic Corrosion inhibitors which are excellent in corrosion inhibition and fix degradation causes $CO_2$ and $C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G-DTA analysis and accelerated carbonation showed that $CO_2$ was directly reacted with amine derivative in concrete by the incorporation of Organic Corrosion inhibitor. In other words, $CO_2$ was immobilized and carbonation inhibition effect was confirmed. In addition, in the CASS test, the specimen coated with the Surface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Organic Corrosion inhibitor with $Cl^-$ fixing property showed no corrosion until the 28th day and had excellent performance in preventing corrosion of a rebar by the chloride ion.

Evaluation of the corrosion property on the welded zone of seawater pipe by A.C shielded metal arc welding (교류 피복아크 용접에 의한 해수 배관 용접부위의 부식 특성 평가)

  • Jeong, Jae-Hyun;Kim, Yun-Hae;Moon, Kyung-Man;Lee, Myeong-Hoon;Kim, Jin-Gye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8
    • /
    • pp.877-885
    • /
    • 2013
  • A seawater pipe of the engine room in the ships is being surrounded with severely corrosive environments caused by fast flowing of the seawater, containing aggressive chloride ion and high conductivity etc.. Therefore, the leakage of the seawater from its pipe have been often occurred due to its local corrosion by aggressive chloride ions. Subsequently, its leakage area is usually welded by AC shielded metal arc welding with various electrodes. In this study, when the sea water pipe is welded with several types of electrodes such as E4301, E4311, E4313 and E4316, a difference of the corrosion resistance on the welding metal zones was investigated using an electrochemical method, observing microstructure, measuring polarization behaviors and hardness. The weld metal zone welded with E4313 electrode exhibited the lowest value of hardness compared to other weld metal zones. In addition, its zone indicated also the best corrosion resistance than those of other weld metal zones. Furthermore, all of the weld metal zones revealed a relatively better corrosion resistance than those of the base metal zones. and also showed higher hardness than the base metal zon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Cement Raw Material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Pond Ash (화력 발전소 매립 석탄회의 화학성분 분석을 통한 시멘트 원료 활용 가능성 연구)

  • Lee, Jae-Seung;Noh, Sang-Kyun;Suh, Jung-Il;Shin, 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6
    • /
    • pp.180-188
    • /
    • 2020
  • To replace Japanese coal ash used in the domestic cement production and to recycle large quantities of domestic pond ash,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technologies for quality control of cement by using the domestic pond ash. Thu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pond ash as a raw material for cement was investigated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analysis. As a result, most of the domestic pond ash contained slightly more Fe2O3, chloride, and unburned carbon contents than Japanese coal ash.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chloride were considerably low in the pond ash that was transferred to fresh water or collected from surface of landfill area. However, sinc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oal ash had relatively high SO3 contents causing durability problems of cement, it was not suitable for use as a raw material for cement. Thus, to replace Japanese coal ash with the domestic pond as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adjustment of mixture proportion of cement raw materials and the process of removing chloride in the pond ash.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Distribution and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in Ununiformed Soils Through Laboratory Column Tests (실내주상실험에 의한 불균일한 토양의 입도와 수리분산기작의 상관성 연구)

  • Kang, Dong-Hwan;Chung, Sang-Y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6
    • /
    • pp.28-34
    • /
    • 2006
  • Laboratory column tests using $Cl^-$ tracer were conducted to study the correlation of soil particle distribution and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with three kinds of ununiformed soil samples, in which the ratio of gravel and sand versus silt and clay is 24.5 for S-1 soil, 4.48 for S-2 soil, and 0.4 for S-3 soil. Chloride breakthrough curves with time were fitted with gaussian functions.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chloride were converged to 1.0 after 0.7 hours for S-1, 6.3 hours for S-2, and 389 hours for S-3. Average linear velocity,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were calculated by chloride breakthrough curves.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s were $1.20{\times}10^{-4}\;m^2/sec$ for S-1, $8.87{\times}10^{-7}\;m^2/sec$ for S-2, and $1.94{\times}10^{-9}\;m^2/sec$ for S-3. Peclet numbers calculated by the molecular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and the mean grain diameters of soils were $2.59{\times}10^2$ for S-1, $6.27{\times}10^0$ for S-2, and $1.35{\times}10^{-4}$ for S-3. Mechanical dispersion was dominant for the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of S-1. Both mechanical dispersion and molecular diffusion were dominant for the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of S-2, but mechanical dispersion was ascendant over molecular diffusion. Hydrodynamic dispersion in S-3 was occurred mainly by molecular diffusion. When plotting three soils on the graph of $D_L/D_m$ versus Peclet number produced by Bijeljic and Blunt (2006), the values of $D_L/D_m$ for S-1 and S-2 were more than 2.0 order compared to their graph. S-3 was not plotted on their graph because the Peclet number was as small as $1.35{\times}10^{-4}$.

Survey on the Statu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s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in Nationwide (우리나라 도계장 수거계육의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조사)

  • Woo, Yong-Ku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3
    • /
    • pp.186-19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hygienic status of chicken meats on the microbial levels, which were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located in the local provinces in nationwide including the JeJu island (n=15) in 1997. In particular,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jejuni, and Listeria monocytogenes, which were ret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tero-pathogens relating to food home illness from poultry, were investigated on their isolation frequency including the other pathogens related on the food-borne illness. A total of 115 processed chickens were submitted on the present study. In general, the bacterial contamination frequency showed more or less lower $(10{\sim}100 cells)$ than those of sold on the retail and super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because of lacking of cross-contamination incidences, depending on the total cells, Coliforms and Staphylococcal cells count. While, Salmonella species,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and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equency of chicken meats from slaughter houses were 58.3%, 37.4%, 43.5%, and 30.4%, in order. But the present microbial isolation data were a little lower levels than those of sold on the retail and super markets and famous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t the same period. It seemed that the cross-contamination problems (including the human, environmental and instrumental factors) during the marketing stage (after the last processing procedure; rinsing step) had the major roles on the increasing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frequency on the chicken meats after the slaughter houses.

Effect of Gaseous Chlorine Dioxide on Sterilization in Industrial Food-holding Cabinets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식품산업용 소독장에서의 살균효과)

  • Kim, Hyeon Jeong;Shin, Jiyoung;Kim, Ji-eun;Yang, Ji-yo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4 no.2
    • /
    • pp.170-177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e dioxide ($ClO_2$) o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food-holding cabinets under different exposure times. For the measuring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 6.5 L chamber and a 625 L cabinet with circulation systems were used. Two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KCTC1916 and Escherichia coli KCTC 1682) that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in the plate respectively were put into the 6.5 L chamber and the 625 L cabinet. The $ClO_2$ gas was produced by ampules. In the 6.5 L chamber, neither of the two bacteria was detected after 24 hours treatment by $ClO_2$ gas. Moreover, the deodorization rate against ammonia and phenol was 94% and 70%, respectively, but deodorization against formaldehyde was not effective. When the concentration reached maximum (6 ampule, 4.6 ppm) levels in the cabinet, it lasted for approximately 2 h and then decreased slowly. When a circulator was used, the gas concentration was very low (6 ampule, 0.8 ppm)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low. The level of reduction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2.98 log CFU/plate and 6.06 log CFU/plate, respectively, in the cabinet after 24 h without a circulator. The reduction against S. aureus KCTC1916 and E. coli KCTC1682 was 2.69 log CFU/plate and 4.41 log CFU/plate for 24 h, respectively.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7
    • /
    • pp.2-10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산업의학 - 직업성 피부질환 I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05
    • /
    • pp.16-25
    • /
    • 1997
  • 직업성 피부질환은 1988년 미국 전체 직업성 질환중 20%에 해당된다(미 노동부 자료 참고). 그 비율은 주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피부질환은 어떤 주에서는 보상되는 직업성 질환의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주에서는 농작물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이 흔하다. 접촉성 피부염은 직업성 피부질환으로 보고되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이다. 이러한 사례의 4/5는 유기용제, 절삭유, 세척유, 알칼리, 산 등과 같은 자극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은 어떤 화학물질(예를 들면, 코울 타르, 크레오소오트)과 반응하여, 이 화학물질 및 빛에 노출되는 부위에 자극성 접촉성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1/5의 사례는 에폭시 수지, 크롬, 식물 수지, 그 밖의 많은 것 등 특수 접촉 감광제와 관련될 수 있다. 강한 자극제에 노출되어 발상하는 화학적 화상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 백반과 유사한 피부탈색은 드물게 일어나며 피부 접촉을 통하여 야기하는 특수 화학물질과 관련될 수 있다. 여드름과 모낭염은 기름 및 유지들과의 피부 접촉을 통하여 생겨날 수 있다. 10대 여드름과 구별되는 염소성 여드름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여러 종류의 염화 탄화수소들(예를들면 다브롬화 디페닐, 다염화 디페닐, 디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신체적인 손상으로 반복되는 외상부위에 가골이 형성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일에 특징적인 것(예를 들면 바이올린 연주자의 목에 가골)이 소위 "직업적인 표지" 이다. 전기톱 작동 기술자, 분쇄기 작동기술자, 지하 광산 암석 천공 기술자에게서 발생하는, 손 - 팔 부위의 진동은 오랜기간 혹은 심하게 노출된 노동자에 있어서 - 손에 혈관수축질환 - 진동장애 백색 수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암은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사례가 산재 관련 기관에 보고외어 있지만, 암등록소에 보고는 불완전하며,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은 드물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률은 알 수 없다. 예방적인 방법은 개인보호구(장갑, 구두 등), 기계공학적 통제, 노동자 교육, 피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일을 맡는 노동자들의 교대와 같은 관리적인 통제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적 화상,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염, 진동장애, 직업관련성 질환(예를 들면, 건선, 단순태선, 백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성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아직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현재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Study on degradation efficiency and pathways of tetracycline by ferrate(VI) (Ferrate(VI)를 이용한 tetracycline 항생제 분해효율 및 중간생성물 연구)

  • Park, Kyeong Deok;Kim, Il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6-226
    • /
    • 2021
  • Tetractycline은 sulfonamides, penicilines 등과 함께 축산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생물질의 한 종류이다. 2011년 사료 내 항생제 투여를 금지한 이후 자가치료 및 예방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축의 체내로 투여되는 tetracycline는 주로 분뇨에 포함되어 배출되는데, 강우 등 물 순환에 따라 지표수 및 지하수로 이동하여 미생물에 독성을 일으키거나 내성균이 발생하기도 한다. Tetracycline 등의 항생물질 처리 방식으로 흡착 등 다양한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 중 하나인 ferrate(VI)를 이용하여 tetracycline 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ferrate(VI)는 염소산화물 및 H2O2에 비해 비교적 강한 산화력을 가지며, 처리 후 발생되는 철염(Fe3+)은 독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Ferrate(VI)는 병원균 제거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난분해성 물질과 항생물질을 성공적으로 분해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제조한 potassium ferrate(VI)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중 환경에서 tetracycline를 분해하고, 분해특성 및 중간생성물 연구를 수행하였다. Ferrate(VI)는 염기성 환경에서 tetracycline 분해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pH에 따른 tetracycline과 ferrate(VI)의 이온화가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ferrate(VI)는 pH가 낮을수록 쉽게 환원되는 특징이 있으며, 염기성으로 갈수록 안정화하여 오래 잔류하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생성물 조사 결과, ferrate(VI)와 tetracycline 사이의 분해 메커니즘은 주로 OH 라디칼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며, hydroxylation과 amino group에서의 demethylation의 형태로 발생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반응으로 benzene ring이 깨지면서 결과적으로 CO2 및 H2O 등으로 무기물화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smart meter data using dynamic time warping (Dynamic Time Warping을 이용한 수질 스마트미터 데이터 분석)

  • Lim, Soyeon;Jung, D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3-173
    • /
    • 2021
  • 현재까지 상수도관망 내 수질적 거동에 대한 분석은 (1) 네트워크 수질 모델(EPANET 수질모의 등)에 기반한 방법과 (2) 시공간적 저해상도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존 네트워크 수질 모델은 수질 사고의 복잡한 물리·화학적 거동을 상세히 모의하기 어렵다. 반면 계측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고해상도 수질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이 가능해지면서 사고의 사전감지, 발생시 즉각적 탐지 및 대응을 위한 데이터 분석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 문래동, 인천, 포항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질사고 발생 시 원인물질의 시공간적 이송 또는 전파에 대한 정보는 사고대응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본 연구는, 비정상적인 수질변화의 계통 내 전달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고해상도 수질 스마트 미터 데이터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물공급 하류방향의 수질변화 전달 시간 정량화를 위해 화음탐색법 기반 동적시간워핑(Dynamic time warping; DTW) 기술을 이용하였고, 원데이터의 전처리를 위해 이동평균필터링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A시 생산 및 배·급수과정의 감시지점에서 10초 단위로 계측된 다양한 수질변수(pH, 탁도, 잔류염소, 전기전도도, 수온 등)의 공간적 변이 전파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 및 측정 기기에 의한 이상값과 운영상황의 변화에 따라 변동한 값을 처리하기 이전의 데이터이다. 데이터 품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이상값이 발생하지 않은 기간을 파악한 후, 그 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계통 내 위계에 따라 두 지점의 측정값의 전파시간을 정량화한 결과, 지점에 따라 전파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두 지점에 적용한 결과라도 DTW를 적용하는 기간과 이동평균필터링의 크기에 따라 수질변화 전달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다변량 수질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방법의 실시간 적용을 통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달시간을 주기적, 공간적으로 갱신하여 관망 수질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