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분 변화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7초

침강수주에서 부유된 광물성 미립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Fine-Grained Particles in Settling Columns)

  • 김종우;윤세의;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3-398
    • /
    • 2005
  • 부유된 광물성 미립자는 강, 저수지 그리고 호수의 유속 및 운송력이 감소하는 곳에서 침전되며, 다른 중금속들에 의해 오염된다. 그 실예들이 퇴적물의 준설, 수질오염, 운하 및 수공구조물의 유지관리의 문제이다. 이런 침전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선 물에 녹아있는 이온(NaOH, HCl, NaCl)의 첨가 및 밀도의 변화 아래 점착성 퇴적물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의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미립자인 점착성 퇴적물은 물리-화학적인 영향 때문에 쉽게 응집현상이 일어나며, 다른 특성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본 실험은 광물성 미립자(alumina 와 Quartz)를 가지고 담수 및 염분을 함유한 침강수주 안에서 실시되었다. 정수 중에 부유된 미립자의 침강속도는 압력센서(최대 10 mbar)로 측정되었다. 초기 농도 20,000 mg/l)까지 quartz의 침강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그 후 감소하였다. Quartz의 침강 속도는 산성에서 강한 응집현상 때문에 증가하였으며 알칼리성에서는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alumina의 침강 속도는 그 정반대의 현상을 보였다.

  • PDF

부유된 광물성 입자의 침강 속도에 관한 실험 (Experiment on Settling Velocity of Suspended Mineral Particles)

  • 김종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9호
    • /
    • pp.723-734
    • /
    • 2007
  • 본 연구는 점착성 퇴적물 예측에 가장 중요한 인자인 침강속도를 강 항만 저수지 그리고 호수에 녹아있는 이온 $(Na^+,\;Cl^-,\;OH^-,\;H^+)$의 첨가 및 밀도의 변화 아래 실시되었다. 정수 중에 부유된 미립자(alumina와 quartz)의 침강 속도는 압력센서(최대 10 mbar)로 측정되었다. 초기 농도 20 g/l에서 alumina와 quartz의 평균 침강속도는 미립자의 응집현상 때문에 최고 값을 보였으며, 이때 각각 최대 평균 침강속도는 0.185 mm/s(alumina)와 0.022 mm/s(quartz)이다. 그 후 증가된 초기농도일 경우 간섭침강 때문에 침강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증가된 염분에서 두 미립자의 평균속도는 증가하였다. 더구나 alumina의 평균 침강속도는 산성에서 감소하다가 알칼리성에서는 강한 응집현상 때문에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quartz의 평균 침강속도는 알칼리성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하계 금강하구 주변해역의 수질특성과 수질변동 요인분석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factor Analysis on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around the Keum River Estuary in Summer)

  • 권정노;김종구;유선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22
    • /
    • 2000
  • 1998년 하계(6~9월)에 금강하구 주변 해역 11개 정점을 조사하여 공간적인 수질변통 특성을 파악하고, 통계분석 기법의 하나인 요인분석을 동하여 하계 금강하구 주변해역에서의 수질변동 지배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금강하구 주변해역의 화학적산소요구량의 평균농도는 1.36mg/L, 용존무기질소의 평균농도는 28.60㎍-at/L, 용존무기인의 평균농도는 0.48㎍-at/L로 나타났으며, 주성분분석 결과 전체 수질변동의 약 43%를 차지하는 제 1주성분 요인이 담수 유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양염류와 염분의 변화로 나타나, 담수변통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척지 제염에 관한 시험(II) - 개거에 의한 제염효과 시험- (Studies on the Desalinization in Reclaimed Tide Lads (II) - by the Open Conduit-)

  • 정두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29-2034
    • /
    • 1970
  • 본 시험은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강화간척지에서 1967년부터 3년차에 걸쳐 개거의 깊이와 개거간의 거리가 제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것으로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관개용수에 의한 토양염분용탈(土壤鹽分溶脫) 깊이는, 지표하 $30{\sim}50cm$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그이하에서는 토양함수도 및 토양염도의 변화가 미소 하였다. 2. 본 간척지 토양의 지표하 30cm 이하 부터는 수직침투가 점점 감소하고, 그대신 수평으로 침투 현상이 일어 났다. 3. 각처리를 비교할 때 개거의 깊이가 제염률 및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미소하였으며, 개거간의 간격에 따라서는 고도의 유의차가 있어 실험 결과로는 깊이 0.9m, 간격 180m로 시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그러나 개거로 인한 손실면적을 고려하여 수확량을 비교할 때 깊이 0.9m 간격 36m를 시설함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빠른 염분변화가 Striped bass 잡종 (Morone Chrysops male X Msaxatilis female)의 생리적 반응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ute Change of Salinity on Physiological Response and Survival in Hybrid Striped Bass (Morone Chrysops male X Msaxatilis female))

  • 임한규;이종하;정민환;한형균;임영수;이정호;이병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6-121
    • /
    • 2004
  •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olerance limit of hybrid striped bass $(Morone\;Chrysops\;male{\times}\;M.\;saxatilis\;female),$ were investigated on salinity changes from 33 psu to 0 psu and from 0 to psu 33 psu in two separate trials, respectively. In the acute salinity decrease from sea water (33 psu) to fresh water (0 psu), plasma level of cortisol, glucose, total prote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ere not affected, however, $Na^+,\;Cl^-$ and osmol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cute salinity increase from fresh water to sea water (33 psu), plasma cortisol level did not change. Glucose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hematocrit (Hct) decreased, whereas AST, ALT, $Na^+,\;Cl^-$ and osmolality increased. The hybrid striped bass can overcome the acute changes of salinity, from 0 psu to 33 psu or from 33 psu to 0 psu, But salinity decrease stressed the fish much more than salinity increase.

서식환경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성장과 글리코겐 및 헤모글로빈량의 변화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Glycogen and Hemoglobin Content of Culture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 박미선;임현정;김평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6-185
    • /
    • 1998
  • 서식 환경 조사 결과 수온은 1992년에는 웅촌이, 1993 년에는 송도가 높았으며, 염분은 1992년 1월에서 5월을 제외하고는 송도 양식장이 더 높았다. 부유물질과 chlorophyll a 함량 및 저질내 COD는 송도가 높았고, DO, DIP, DIN 및 저질내 총황화물은 웅촌이 높았다. 피조개의 성장과 생리 상태를 분석한 결과, 성장, 연체부지수, 체내 글리코겐 함량과 헤모글로빈 함량 모두 송도의 피조개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송도의 피조개가 생식소 발달도 빨랐다. 본 시험에서 피조개 성장과 생리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환경 요인은 먹이생물의 양과 저질의 총황화물량으로 추정되었다.

  • PDF

제주도 시흥리 연안에 분포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계절에 따른 생식소발달 (Seasonal Changes in Gonad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Shi-Heung-Ri, Jeju, Korea)

  • 강도형;고티투타오;고광종;최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88
    • /
    • 2004
  • 제주도 동부연안 시흥리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월 별 생식소 발달과 산란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2001년 5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시흥리 해안에서 바지락을 채집, 분석하였다. 채집지역의 수온은 10∼27$^{\circ}C$의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은 27∼35 psu의 연중변화를 보였다. 3월에 채집된 대부분 개체들의 생식소는 미분화기와 발달기의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이 때 수온은 약 14$^{\circ}C$이었다. 6월에 채집한 개체들의 생식소는 대부분 발달기의 상태를 보였으며, 6월말부터 8월초까지 성숙하였다. 6월말부터 7월 중순까지 채집된 개체의 생식소는 발달기, 완숙기 및 부분산란기의 혼재된 양상을 띠었다. 직경이 55∼65$\mu\textrm{m}$ 범위의 성숙한 난들은 7월 중순과 8월초에 많이 관찰되었고, 연중 비만도의 평균값은 8월초에 가장 높았다. 산란은 6월말부터 부분적인 산란이 이루어져 9월까지 진행됐고, 주산란시기는 7월부터 8월까지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바지락이 수온 25∼27$^{\circ}C$ 범위인 여름철에 산란한다고 볼수 있고, 식물플랑크톤의 번성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GFRP 보강근 콘크리트 보의 휨균열 (Flexural Crack for Fiber-Reinforced-Polymer Reinforced Concrete Beams)

  • 박종섭;박영환;유영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273-276
    • /
    • 2008
  •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만으로는 부족한 인장력 강화를 위해 철근을 보강근으로 사용하여 구조물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스템 내에서 철근은 사용연한이 지날수록 염분 및 습기, 염화물 등 외부환경에 의해 부식된다. 이러한 철근의 부식은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와 수명 단축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Fiber Reinforced Polymer(FRP)를 이용하여 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보강근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FRP 보강근은 철근에 비해 고강도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부식성이기 때문에 기존 철근의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FRP 보강근은 철근에 비해 낮은 탄성계수와 부착강도로 인해 동일 하중 수준에서 철근 콘크리트보다 균열폭이 커지고 균열이 크게 진행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RP 보강근 콘크리트 보와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정적 재하 실험을 통해 보강근의 종류와 보강근의 배치, 보강비 등에 따른 균열 거동과 파괴 모드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설계기준식과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해 FRP 보강근 콘크리트의 균열평가에 대한 설계기준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김치용 간절임 배추의 저장에 관한 연구 - I. 배추의 간절임시 일어나는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변화 - (Storage of Salted Chinese Cabbages for Kimchi - I.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alting of Chinese Cabbages -)

  • 김중만;김인숙;양희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2
    • /
    • 1987
  • 김치용 간절임 배추의 적당한 염도인 3%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간절임 시간은 5%에서는 l2시간 후에도 미달되었고, 10%는 약 7시간, 15%는 약3시간, 20%에서는 약 1시간 걸렸다. 절임중 잎은 줄기보다 빠르게 탈수되었는데 10시간 후에 잎과 줄기의 수분함랑은 각각 66와 64%로 낮아졌다. 생배추의 원부피는 간절임에 의해 59.90%가 감소하였고 생배추의 내부공간율은 35.06%나 감소하였다. 수침에 의한 제염속도는 염분침투속도보다 빨랐으며 약 7%수준에서 3%수준으로 되는데 잎은 약 1.2시간 들기는 약 3시간 걸렸다. 절임중 경도는 잎과 줄기에서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생체의 경우는 내부가 높았으나 간질임한 것은 점질부위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절임 과점에서 배추중의 $K^+,\;Ca^{2+},\;Mg^{2+}$ 금속이온은 감소한 반면 $Na^+$는 크게 증가했다. 절임과정과 수세과정에서 곰팡이, 효모, 세균의 수는 각각 58%, 40%, 45%줄었다.

  • PDF

사육수의 단계적인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Mugil cephalus) 와 틸라피아(Oreochronis niloticus)의 생리적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y Mullet(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Oreochronis niloticus) by Gradual Change in Salinity of Rearing Water)

  • 허준욱;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3-292
    • /
    • 1999
  • Physiological responses (cortisol, glucose, GPT, GOT, hematocrit, sodium, chloride, potassium, total protein and osmolality),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rey mullet and Nile tilapia were tested by the gradual salinity changes for 70 days. Three different sizes of grey mullet, small (MS, $13.3\pm1.8cm$), middle(MM, $28.9\pm3.6cm$) and large (ML, $36.0\pm2.0cm$), and three different sizes of tilapia, small (TS,$16.5\pm1.7cm$), middle (TM, $20.6\pm1.8cm$) and large (TL, $27.2\pm2.7cm$)were used. Salinity of reareing water was increased $\5textperthousand$ in every 5 days until it reached at $0\textperthousa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in all size groups of grey mullet were increased at both full strength seawater (SW) and fresh water (FW) at the end. The cortisol concentrations of TM and TL groups were higher in SW than FW (0 and 70 days). The GOT values of grey mullet were lower than those of Nile tilapia. The sodium concentrations of grey mullet in SW were ranged 160~184 mEq/$\ell$, while those of Nile tilapia were the highest in the SW. No mortality was observed in MM and ML groups but survival rate of MS group was 76$\textperthousand$. Overall survival rate of Nile tilapia was lower than grey mullet. Survival rate of TS, TM and TL groups were $79\textperthousand$, $29\textperthousand$ and $55\textperthousand$,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