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 전도율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7초

대향류확산화염에서 화염소화와 에지화염진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me Extinction and Edge Flame Oscillation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

  • 박대근;윤진한;박정;길상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4-76
    • /
    • 2009
  • 대향류확산화염에서 화염소화와 에지화염 진동 특성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된다. 이러한 특성들은 버너 직경, 버너간 거리, 전체신장율, 그리고 속도비를 변화시키며 묘사된다. 실험과 수치해석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전도열손실이 미소중력 및 중력 조건에서 화염소화와 에지화염 진동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 입증된다. 적절히 작은 버너직경을 사용한 경우에 화염 소화 모드는 4가지로 분류되며, 과다한 반경방향 열손실에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진다. 에지화염 진동은 Strouhal 수와 Peclet 수에 의해 하나의 곡선으로 잘 특성화된다.

브리지 특성이 트래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ridge's Characteristics on Tracking Phenomena)

  • 지승욱;옥경재;이춘하;이광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82-88
    • /
    • 2008
  • 본 논문은 전해액에 의해 양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브리지가 트래킹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고 있다.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589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1, 3, 5[wt%] NaCl 용액을 이용하여 KS C IEC 60112의 전극에서 트래킹 실험을 하였다. 트래킹 진전과정 중에서 브리지가 형성되었을 때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열화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해액의 전도율이 커짐에 따라 브리지에서 발생되는 줄열도 커졌다. 하지만 전해액의 기화열로 인해 전해액의 끓는점을 넘지는 못했다. 다만, 전해액의 전도율이 커짐에 따라 건조대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졌다. 따라서 다음 적하까지 보다 긴 시간동안 건조대를 유지함으로써, 방전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트래킹 진전이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린하우스 열환경 조절을 위한 파라핀계 화합물(CnH2n+2)의 잠열 축열 특성 (Latent Heat Storage Characteristics of Some Paraffins(CnH2n+2) for Thermal Environment Control of Greenhouse)

  • 송현갑;유영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84-93
    • /
    • 1996
  • Several paraffins(CnH2n +2) can be used as the thermal energy storage medium because of their large amount of latent heat and their flexibility of phase change temperature. But they have not been used in th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because their long term stability have not been verified. Paraffins(CnH2n+2) which the values of n are 23, 24, 26 and 28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And this research was peformed to apply them to the practical system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phase change cycles had no effect on their phase change temperatures. (2) According as the values of n increased from 23 to 28, the specific heats of paraffins(CnH2n+2) increased, and were in the range of 0.47 0.75 ㎉/$kg^circ C$. (3)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m were in the range of 0.14 0.17 W/$m^circ C$. and specific gravities of them were in the range of 765800 kg/m3. (4) The density of paraffins was in the range of 765 800 kg/$m^circ C$ , and the density of solid phase was larger than that of liquid phase. (5) When the number of phase change cycles was 1, 500 cycles, the latent heat of paraffins was 90% of the initial value.

  • PDF

복사열전달이 고체 추진제의 동적소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adiative Heat Flux on Dynamic Extinction in Metalized Solid Propellants)

  • 정호걸;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2-79
    • /
    • 2003
  • 고체 추진제의 소화를 위한 연소실 압력 강하시 금속입자들에 의한 복사열전달에 동적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AP:Binder의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전도열 플럭스를 구하기 위해 화염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금속입자들에 복사열 플럭스를 구하기 위해 연소흐름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소실은 크기가 무한대인 경우와 노즐에 의해 제한된 형태 두 가지를 선택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추진제 조성을 AP:Al:CTPB=76:10:14이며 최종압력 이후, 총 열 플럭스 중 복사열 플럭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5~6%정도로 나타났다. 연소실 크기가 무한대인 경우, 복사열전달을 고려한 경우의 임계 압력강하율이 복하열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45%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복사열전달이 동적소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탄소나노튜브 분말의 에너지저장 이용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 Powders to Energy Storage)

  • 안중호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7
    • /
    • 2004
  • 탄소재료는 결정구조에 따라 카본블랙(carbon black), 그라파이트(graphite), 탄소섬유(carbon fiber)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 응용 또한 광범위하다. 이는 탄소재료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열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기계적인 특성면에서도 고강도, 고탄성율을 가지고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이다. 특히 $C_{60}$(fullerene)와 탄소나노튜브(carbon naotube : CNT)등 근래 새로이 발견된 탄소물질들$^{1.2)}$ 은 그 독특한 결정구조와 성질로 인해 다양한 분야의 응용이 예상된다.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 제작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 향상

  • 이병주;정구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2-202
    • /
    • 2012
  •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현대 전자산업의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소재로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면저항이 $100{\Omega}/sq.$ 전후이며 휘거나 접히고 나아가 두루마리의 형태로도 응용이 가능한 소재를 일컫는다. 이러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 산업 및 유비쿼터스 사회의 중심이 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 신뢰성 유연성 투명 전도막 개발기술은 차세대 산업에 있어서의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및 전도성 유기고분자를 사용하여 투명 전도막을 제조하고 있으나, ITO 박막의 경우 인듐 자원의 고갈로 인한 가격상승 및 기판과의 낮은 접착력,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공정상의 문제, 산화물 특유의 취성으로 인한 유연소자로서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도성 유기고분자의 경우는 낮은 전기전도도와 기계적강도, 유기용매 처리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전기전도도와 투광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지니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재료로서 그래핀(graphene)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중심으로 하는 탄소나노재료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vapor deposition; TCVD)으로 합성된 그래핀 및 CNT를 이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래핀과 CNT합성을 위한 기판으로는 각각 300 nm 두께의 니켈과 1 nm 철이 증착된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였으며, 원료가스로는 메탄(CH4)과 아세틸렌(C2H2)등의 탄화수소가스를 이용하였다. 그래핀의 경우 원료가스의 유량, 합성온도, 냉각속도를 변경하여 대면적으로 두께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합성하였으며, CNT의 경우 합성시간을 변수로 길이 제어합성을 도모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은 식각공정을, CNT는 스프레이 증착공정을 통해 고분자 기판(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위에 순차적으로 전사 및 증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물리적 과부하를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구조적결함에 기인하는 전도성 저하를 보상하는 특징이 있어,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각각으로 제조된 유연성 투명 전도막보다 물리적인 하중이 반복적으로 인가되었을 때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40% 스트레인을 반복적으로 인가하였을 때 그래핀 투명 전도막은 20 사이클 이후에 면저항이 $1-2{\Omega}/sq.$에서 $15{\Omega}/sq.$ 이상으로 급증한 반면 그래핀-CNT 복합체 투명 전도막은 30사이클까지 $1-2{\Omega}/sq.$ 정도의 면저항을 유지하였다.

  • PDF

確率密度函數와 電導 Prode信號에 의한 垂直二相流의 流動樣式特性 (Flow pattern characteristics in vertical two phase flow by PDF and signals from conductance probe)

  • 손병진;김인석;이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14-822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비가열수직이상유동계에서 전도Probe 를 이용하여 시간평균보이드율을 측정하여 이들로부터 통계적으로 처리된 확률밀도함 수(PDF)분포와 이와 관련된 일련의 모우멘트계산을 시도 하므로써 유동양식과 천이특 성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하였다. 또한 학계 및 산업계에서는 측정 기구의 단순화가 요구되므로 전도Probe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유동양식에 따르는 특 성을 아울러 구명하였다.

증착조건 변화에 따른 화학증착 알루미나 휘스커의 성장 및 특성변화

  • 김준규;김효준;최두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6-66
    • /
    • 2010
  • 알루미나는 높은 온도에서 열적으로 안정되고 경도가 높으며 내화학, 내마모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대비 비중이 낮아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우주항공, 국방, 원자력등 극한의 온도를 견뎌야 하는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고온구 조물로서 응용이 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나를 휘스커 형태로 만들어 세라믹 복합체에 결합 할 경우 복합체의 기지 내에서 강화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취성 파괴를 억제하고 열 전도율 저하등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 휘스커를 성장을 위하여 Al-triisoproxide계를 이용하여 화학기상증착법으로 가장 안정된 열적 특성을 가지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 변화가 일어 나지 않는 알파 알루미나 상을 가지는 알루미나 휘스커를 성장시키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증착 온도, 압력, 입력기체비등 증착 조건을 변화시켜가면서 알파 알루미나 휘스커의 성장 거동을 살펴 보았다. 증착 조건 변화에 따라 알파 알루미나는 막이 증착되는 부분과 휘스커가 성장되는 부분이 있으며 휘스커의 밀집도와 길이방향, 직경방향 성장등 여러 가지 성장 특성을 달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증착조건에 따른 알파 알루미나 휘스커 성장영역을 도식화하였다.

  • PDF

고체표면에 도포한 도료 박막의 열전도율과 열확산율의 측정법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of Thin Paint Layer Sprayed on Solid Surface)

  • 김은영;박수천;김병문;이덕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3호
    • /
    • pp.311-319
    • /
    • 1999
  • The thermal conductivity ${\lambda}_b$, thermal diffusivity ${\alpha}_b$ of the thin black paint layer sprayed on solid surface and absorptivity a for laser beam are measured by applying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of the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solids. The values of a=0.67, ${\lambda}_b=1.45W/mK$ and ${\alpha}_b=1.24{\times}10^{-6}m^2/s$ are obtained for the sprayed lay~ thickness $z_b{\fallingdotseq}40\;{\mu}m$. Furthermore, for the $z_b{\fallingdotseq}24\;{\mu}m$ thick layers which arc formed by rubbing with a glass rod after spraying, the values of a=0.73, ${\lambda}_b=1.85W/mK$. and ${\alpha}_b=1.09{\times}10^{-6}m^2/s$ are obtained. It is also shown that the present thermal diffusivity ${\alpha}_b$ for $z_b{\fallingdotseq}40\;{\mu}m$ Is about 30~80% larger than those obtained by Araki et al. for the thicker layer $z_b{\fallingdotseq}150{\sim}248\;{\mu}m$.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to the measurement of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in layer on solids.

TEST CELL에서 단기측정에 의한 열성능 평가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Test Cell Thru Short Term Measurements)

  • 전명석;윤환기;천원기;전홍석
    • 태양에너지
    • /
    • 제10권2호
    • /
    • pp.10-17
    • /
    • 1990
  • 건물의 사양으로부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열성능을 추출하는 기법과 실측 데이타로 부터 연역적인 방법에 의해 열성능을 추출하는 기법을 연합시켜 단기간의 측정에 의해 건물의 열성능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법을 Test cell에 적용하였다. 실험과정 및 자료분석은 PSTAR 기법에 따라 수행했다. 각 측정기간은 3일간으로 비거주 상태에서 측정했으며, 실내온도, 외기온, 일사량, 공급열량, 풍속, 상대습도등의 자료를 측정하여 건물의 사양에 의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재표준화에 사용했다. 아래의 3개 주요계수들이 본 분석에 의해 얻어졌다. 1) 건물 열손실계수 : BLC(표면전도율+침기에 의한 전도율); 2) 유효 건물열용량; 3) 유효 태양열 획득량. 그리고 재표준화된 식으로부터 예측된 값과 건물의 사양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예측된 값과 측정된 값과의 비교를 통해 재표준화된 식이 실제건물의 열성능을 잘 묘사함을 알 수 있었다. 장기간의 외삽으로 기후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 쾌적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