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탄소성해석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7초

발열 위치에 따른 잉곳의 방향성 응고 평가 (Estimation of Directional Solidification Ingot with Heating Position)

  • 전호익;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15-1920
    • /
    • 2013
  • 본 논문은 열 해석 시뮬레이션과 주조로의 구조 변경을 통한 실리콘 잉곳의 방향성 응고에 대한 연구이다. 열 해석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 용융은 유지 시간이 80분일 때 실리콘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용융 온도에 도달하였고 냉각은 상부 냉각 온도가 $1,400^{\circ}C$와 60분 냉각 시 가장 좋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웨이퍼가 기존의 상용 웨이퍼보다 결정립계에서의 에칭이 훨씬 적게 이루어졌다. FTIR 측정결과 산소와 탄소 모두 모두 임계값 이하의 불순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NAA 분석 결과 총 18가지 금속 불순물이 검출 되었지만, 농도 분포는 같은 위치에서 위와 아래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고, 어떤 특정한 위치에서 한쪽으로 집중되거나 어떤 경향성 없이 전체의 샘플의 모든 부분에서 농도가 거의 일정하게 분포를 나타냈다.

유효응력에 근거한 불포화토의 역학적 구성모델 (Constitutive Model for Unsaturated Soils Based on the Effective Stress)

  • 신호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1호
    • /
    • pp.55-69
    • /
    • 2011
  • 다양한 지반공학적 문제들에서 불포화 상태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불포화 지반의 열-수리-역학적 현상들에 대한 거동특성을 모사하기 위한 역학적 구성모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shop의 유효응력 정의에 근거한 불포화 지반의 역학적 탄소성 구성모델을 제시하였다. 유효응력에 근거한 구성관계는 유효응력과 온도를 주 변수로 증분 형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응력 갱신과 강성 텐서를 산정하였다. 개발된 구성모델을 이용하여 THM 현상을 포함하는 불포화토의 1차원 거동, 불포화토의 삼축 압축시험, 그리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시설의 완충재의 거동 특성에 관한 예제 해석을 수행하여 해의 안정성과 구성모델의 적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개발된 역학적 구성모델이 THM 현상의 매우 복잡한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불포화토의 거동 해석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조건하에서의 THM 거동 해석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캡스턴 드럼의 용접부 온도해석 (Temperature Analysis for Welding Part of Capstan Dru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옥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4호
    • /
    • pp.322-328
    • /
    • 2000
  • 남해안 연근해에서 조업하는 정치망 어선에 양망작업시 보조기계로 사용되는 캡스턴의 드럼에서 용접부 온도분포 및 구배를 해석한 결과의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용융부 근처는 냉각개시 1초 이내에 950$^{\circ}C$/sec, 10초 이내는 40$^{\circ}C$/see 정도의 급격한 냉각속도가 형성되었다. 2. 열영향부(HAZ)는 용접 후 1초가 경과할 때 370$^{\circ}C$/sec의 가열속도로 온도가 증가한 후, 이 후 25$^{\circ}C$/sec 냉각속도로 온도가 감소한다. 용접종료 10초 후 모재 내부에는 1.64$^{\circ}C$/mm, 40초가 지났을 때는 0.26$^{\circ}C$/mm 정도의 온도구배가 형성되었다. 3. 용접부 근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격심한 온도편차를 보이고 있으나 두께방향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 결과는 향후 캡스턴 드럼의 용접부 최적설계시, 탄소성 열응력 및 열변형 거동을 해석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M570-TMC 강의 고온 시 기계적 성질 및 용접접합부의 잔류응력 특징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Properties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Residual Stresses in Welded joint of SM570-TMC Steel)

  • 이진형;장경호;박현찬;이진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95-403
    • /
    • 2006
  • 최근 건설되는 강교량은 지간의 장대화 및 교량으로서의 기능은 물론이고 외적 조형미, 유지관리, 공사기간과 수명주기 비용 등을고려한 구조적 단순함을 요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극후판이나 TMCP 강과 같은 고성능 강의 사용이 요구된다. TMCP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법에 의해 제조되는 TMCP 강은 탄소당량이 적고, 조직이 미세하며, 강도 및 인성이 좋다. 최근에는 인장강도 60MPa급의 고강도 TMCP 강인 SM570-TMC 강이 개발되어 토목구조물에 일부 적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영역을 확장하려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강도 TMCP 강을 강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적 특성뿐만 아니라 용접 시 발생하는 접합부의 역학적 특징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온인장실험을 통해서 SM570-TMC 강의 고온시의 기 계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를 잔류응력 특징을 명확히 하였다.

퀜칭과정에서 상변태를 고려한 탄소성 열응력의 유한요소해석(I) -오스테나이트에서 퍼얼라이트로의 변태- (An Analysis Finite Element for Elasto-Plastic Stresses Considerating Phase Transformation at the Quenching Process(I) - From Austenite to Pearlite -)

  • 김옥삼;구본권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3-243
    • /
    • 1994
  • Constitutive relation of thermoelasto-plastic material undergoing phase transformation during quenching process were developed on the basic of continuum thermodynamics. The metallic structure, temperature and residual stresses distributions were numerically calculated by the finite element technique. The metallic structure were defined by transformation from austenite to pearlite and characterized as a fuction of thermal history and mixture rule of phase. On the distribution of thermal stress along the radial direction, axial and tangential stresses are compressive in the surface, and tential in the inner part. Radial stress is tensile in the whole body. The reversion of residual stress takes plase at 11.5~15.5mm from the center.

  • PDF

열전달과 열탄소성변형의 연결해석 (Coupled Analysis of Heat Transfer and Thermoelastoplastic deformation)

  • 이용기;한흥남;오규환;이동녕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54
    • /
    • 1994
  • The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upled analysis of heat transfer and thermoelastoplastic deformation. The thermoelastoplastic model is very useful for the analysis of residual stress and the analysis of thermal stress as well as the analysis of metal forming. Heat of deformation, phase transformation and contact heat transfer boundary are considered. The contact heat transfer boundary is treated by the interpolation of shape function. The analysis of deformation and the analysis of heat transfer are carried out for the could upsetting and the hot rolling. The computed results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FEM을 이용한 주조금형(鑄造金型)의 탄소성(彈塑性) 열응력(熱應力) 및 열변형(熱變形) 해석(解析) (Analysis on the Elasto-Plastic Thermal Stress and Deformation of Metal Casting Mould by FEM (Finite Element Method))

  • 김옥삼;구본권;민수홍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1-93
    • /
    • 1993
  • It is well-known that the analysis of elasto-plastic thermal stress and deformation are substantially important in optimal design of metal casting mould. The unsteady state thermal stress and de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ingot and mould have been analyzed by two dimensional thermal elasto-plastic theories.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stress and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mould are calculat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the elasto-plastic thermal stress analysis, compressive stress occurred at the inside wall of the mould whereas tensile stress occurred at outside wall. A coincidence between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is found to be fairly good, showing that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is reliable.

  • PDF

퀜칭과정에서 상변태를 고려한 탄소성 열응력의 유한요소 해석(II) -오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 (An Analysis Finite Element for Elasto-Plastic Stresses Considerating Phase Transformation at the Quenching Process(II) -From Austenite to Martensite-)

  • 김옥삼;송관흠;구본권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23
    • /
    • 1995
  • In this a set of constitutive equation relevant to the analysis of thermo-elasto-plastic materials with phase transformation during quenching process was presented on the basis of continuum thermo-dynamic. In calculating the transient thermal stresses, temperature between coolant and specimen(SM45C) surface was determined from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A calculation was made for specimen with 40mm in diameter quenched in coolant from $820^{\circ}C$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Stresses at starting point of transformation always show the maximum tensile value. Reverse of stresses takes place after completion of transformation of inner part at specimen.

  • PDF

핵융합로용 초전도 전자석 구조재의 파괴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지현;황일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52-57
    • /
    • 1997
  • 국제 열 핵융합로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의 중앙 솔레노이드(solenoid) 초전도 전자석의 피복관 (conduit) 으로서 가장 유력한 후보 재료인 니켈-철 기저 초합금에 대한 개선된 파괴역학적 거동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피로균열 성장과 파괴 인성 치의 측정이 사용되었다.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는 상용 구조해석 코드인 ANSYS 제 5.2판에 의해 초전도 전자석 피복관 재료에 대한 탄소성 파괴역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정확한 파괴 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삼차원 J 적분 인자에 의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얇은 피복관재의 경우에 절대온도 4도에서의 적합한 파괴 인성치는 실제 단면효과를 고려한 표면균열 인장시험 결과를 토대로 J 적분으로 도출한 150 MPaㆍm$^{1}$2/ 로 제시되었다.

  • PDF

고강도 알루미늄 7175 합금 링롤재의 급냉 및 응력제거처리후 잔류응력 유한요소해석 및 측정 (Analysis and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 of Al 7175 Ring Rolls after Quenching and stress Relieving)

  • 박성한;구송회;이방업;은일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4-110
    • /
    • 1997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링롤재의 급냉, 링 팽창(expansion) 및 링 압축(compression) 응력제거처리 후 잔류응력을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축대칭 열해석 및 탄소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급냉 및 응력제거처리 후 2단 과시효 처리(T73)된 링롤재에 대하여 3단계 절단법(Three step sectioning method)을 적용하여 링롤재의 두께에 따른 잔류응력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급냉 및 응력제거처리후 잔류응력 해석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링의 급냉후 원주 및 축방향의 잔류응력 해석값은 T73후 측정값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링의 내면과 외면에서 압축응력을 나타내었고 중심에서 인장응력을 나타내었다. 잔류응력은 링 팽창(T7351) 및 링 압축(T7352) 적용후 T73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축방향의 제거 효과가 원주방향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링 압축에 의한 제거효과가 링 팽창보다 크게 나타났다. 링롤재의 응력제거처리는 제거 효과 및 실용성 측면에서 링 압축 공정이 유리하며, 치수제어 및 장비용량 측면에서 링 팽창 공정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