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쾌적 범위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Thermal Comfort Zone and Energy Use of Radiant Floor Heating by Residential Style and Clothing Level (생활특성과 착의량에 따른 바닥복사난방 공간의 열쾌적 범위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연구)

  • Kim, Sang-Hun;Chung, Kwang-Seop;Kim, Young-Il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1
    • /
    • pp.24-3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rmal comfort range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style and clothing level at radiant floor heating space, and compare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cost for each condition. Lower neutral point temperature has been stood for floor sitting style than chair sitting style, which appears that the thermal sensation was affected by local heat transfer between floor surface and the human body. The result of research indicates that neutral point temperature was in inverse proportion with the clothing level. It is interpreted that the increasing of clothing level results decrement of heat loss from human body, and is available to achieve same thermal comfort at lower room temperature. It was analyzed that the floor sitting style is more economical residential style than the chair sitting style, because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floor sitting style is saved by 6.0% in average to compare with that of the chair sitting style. It is analyzed that energy consumption has been decreased by 13.5% with the clothing level of 1.2 Clo than with that of 1.0 Clo, and decreased by 18.0% than with that of 0.8 Clo, which explains that the energy saving can be achieved with the variation in life habit to increase the clothing level.

Thermal Comfort Range of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by Residential Style (생활특성에 따른 바닥복사난방 공간의 열쾌적 범위에 관한 연구)

  • Kim, Sang-Hun;Chung, Kwang-Seop;Kim, You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thermal and Hydrothermal Energy
    • /
    • v.11 no.1
    • /
    • pp.7-14
    • /
    • 2015
  • This study has been purposed to provide thermal comfor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ial style of radiant floor heating space, and to compare it with the thermal comfort range at predicted mean vote. The survey for the thermal sensation vote to the subjects and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has been executed, and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physical factor and the psychological factor results lower neutral point of the floor sitting style than that of the chair sitting style.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redicted mean vote and the thermal sensation vote via survey, which appears to be caused by distin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floor radiant heating space, such as, high radiant temperature and contact thermal sensation of floor surface.

Thermal Response of College-age Korean in Summer (여름철 한국 대학생의 열적 반응)

  • 배귀남;김명호;김영일;박경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7-1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14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열환경 챔버 내에서 여름철 열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여름철 온습도 범위에 해당하는 4가지 온도와 3가지 상대습도의 조합에 의한 8가지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주위 열환경에 대한 피험자의 심리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신온냉감과 쾌적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국내 환경 실험실 연구 및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하였고, 환경 실험실 연구 수행시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Comfort Evaluation Map by the Land Cover in Yeongnam Region (영남지역의 토지피복에 따른 열쾌적성평가도 구축)

  • Kang, Dong-Hyun;Choi, Chul-Hyun;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36-1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rmal comfort in Yeongnam area using climatic data and GIS data in order to determine regions necessary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policies. The results of the calculated PET show that Daegu city is high and Bonghwa-gun is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PET was compared with the typic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PET value of rural areas such as Changnyeong-gun, Haman-gun and Goryeong-gun was high but Green space was too low compared to other rural areas. Yeongnam are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alue of PET using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more low grade areas show that green space ratio was low and facility area was high.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comfort and land cover. The thermal comfort evaluation map in Yeongnam area will be useful for urban planning in order to establish a sustainable city in climate change.

Comparing Physical and Thermal Environments Using UAV Imagery and ENVI-met (UAV 영상과 ENVI-met 활용 물리적 환경과 열적 환경 비교)

  • Seounghyeon KIM;Kyunghun PARK;Bonggeun S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4
    • /
    • pp.145-16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diurnal thermal environment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UAV)-derived physical parameters(NDVI, SVF) and ENVI-met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1%, between UAV-derived NDVI, SVF, and thermal environment elements such as S↑, S↓, L↓, L↑, Land Surface Temperature(LST), and Tmrt. In particular, NDVI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S↑, reaching a minimum of -0.52** at 12:00, and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of 0.53** or higher with L↓ at all time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f -0.61** with LST was observed at 13:00, suggesting the high relevance of NDVI to long-wavelength radiation. Regarding SVF, the results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long-wave radiative flux, depending on the SVF range. These research findings offer an integrated approach to evaluating thermal comfort and microclimates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ey can be appli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pedestrian thermal comfort.

Particulate Matter and CO2 Improvement Effects by Vegetation-based Bio-filters and the Indoor Comfort Index Analysis (식생기반 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개선효과와 실내쾌적지수 분석)

  • Kim, Tae-Han;Choi, Boo-Hun;Choi, Na-Hyun;Jang, Eun-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7 no.4
    • /
    • pp.268-276
    • /
    • 2018
  • BACKGROUND: In the month of January 2018, fine dust alerts and warnings were issued 36 times for $PM_{10}$ and 81 times for PM2.5. Air quality is becoming a serious issue nation-wide. Although interest in air-purifying plants is growing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risk of chemical substances of regular air-purifying solutions, industrial spread of the plants has been limited due to their efficiency in air-conditioning perspective.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vegetation-based bio-filter system that can assure total indoor air volume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air-purifying plants. In order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system, time-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on air-conditioning performance, indoor air quality, and comfort index improvement effects in a lecture room-style laboratory with 16 persons present in the room. The system provided 4.24 ACH ventilation rate and reduced indoor temperature by $1.6^{\circ}C$ and black bulb temperature by $1.0^{\circ}C$. Relative humidity increased by 24.4% and deteriorated comfort index. However, this seemed to be offset by turbulent flow created from the operation of air blowers. While $PM_{10}$ was reduced by 39.5% to $22.11{\mu}g/m^3$, $CO_2$ increased up to 1,329ppm. It is interpreted that released $CO_2$ could not be processed because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not reached. As for the indoor comfort index, PMV was reduced by 83.6 % and PPD was reduced by 47.0% on average, indicating that indoor space in a comfort range could be created by operating vegetation-based bio-filters.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vegetation-based bio-filter system is effective in lowering indoor temperature and $PM_{10}$ and has positive effects on creating comfortable indoor space in terms of PMV and PPD.

특집:녹색선박 SCR시스템 기술개발 현황 - SCR 시스템 촉매 기술동향

  • Jeong, Gyeong-Yeol;Im, Byeong-Ju;Lee, Seong-Su
    • 기계와재료
    • /
    • v.24 no.2
    • /
    • pp.38-46
    • /
    • 2012
  • 인구의 증가와 급속한 산업화 그리고 편안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문명의 이기로 인한 에너지 사용량 증가는 환경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삶의 질의 향상에 따라 보다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와 인식의 변화로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각 국의 환경규제는 날로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협력이 활발해지면서 무역과 연계된 국제 환경규제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환경선진국은 이러한 환경규제를 무역장벽으로 이용하고 있어 국가의 대외경쟁력에도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오염물질 중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_2$)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다이옥신 그리고 입자상물질(PM)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은 대기 중으로 쉽게 확산되는 특성에 의해 인접한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제적인 규제대상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유엔산하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및 국제연소기구협회(CIMAC, International Council on Combustion engines)등 여러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각종 규제수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에 대한 규제강화를 위하여 새로운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을 채택, 발효하여 그 규제 범위를 넓혀감에 따라 선박에 대한 각종 환경규제가 대폭 강화되고 있어 친환경 선박 및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 글에서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그 자체로도 인체에 유해하며, 산성비, 광화학스모그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시키는 대표적인 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질소산화물 배출규제에 대한 대응기술인 선택적촉매환원법(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과 SCR 탈질시스템에 사용되는 SCR 촉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위성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에 따른 열환경 평가

  • Jo, Su-Jin;Kim, Hae-Dong;An, Ji-S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88-89
    • /
    • 2010
  • 최근 인간의 활동범위와 영역이 확대되고 산업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삶과 지속가능한 발전 등 도시 기후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지역으로 집중됨으로써 도시 열섬화 현상에 대한 도시환경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최근까지도 도시개발에 있어서 기능과 효율성이 우선시 되어 도시기후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과도한 냉난방을 가동하는 등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만을 행해왔다. 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열환경 구조의 변화는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피복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이렇듯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심 지표면을 덮고 있는 포장재도 변하고 있다. 대표적인 토지피복재로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등의 인공포장재, 수계, 삼림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 도심의 발달로 인해 도심의 표면은 점차 인공포장재인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덮여지고 있다. 인공포장재는 맑은 여름철 낮에 받아들인 열을 야간에도 머금고 있어 도시열섬현상의 주요원인이 된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이용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토지피복의 변화는 그 지역의 기온과 풍향, 풍속뿐만 아니라 지표온도도 변화시키므로 도시 열환경 구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는 자연 환경과 도시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른 분야로 나누어져서 다루었지만 현재 위성영상 기술의 발달로 많은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 바 도시기후변화에 더욱 직접적이고 근본적인 접근이 쉬워졌다. 원격탐사기법의 활용은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동시간대 평면적인 열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도시지역을 덮고 있는 인공자재의 존재가 도시열섬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기후변화의 문제점을 더욱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면 온도 상승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대책들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보다 세분화된 도시 열환경을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하기 위해서 토지피복별 분류를 3가지로 대구시 중구 경북대학교 부속 고등학교(이하 사대부고 지점)를 도심지역으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우포늪(이하 우포지점)을 수계지점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이하 안동지점) 지점과 대구시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팔공산 한티재 도립공원(이하 팔공지점)을 산림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대구 계명대학교 기후환경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자료로 기상요소를 분석하였으며, MODIS Terra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지표온도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또 기상요소와 지표온도를 이용해 회귀식을 도출하여 추정기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절에 따른 기온의 시간변화는 여름의 평균기온이 $25.13^{\circ}C$$24.12^{\circ}C$로 사대지점과 우포지점의 평균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심에서 발생되는 인공열의 영향으로, 우포지점은 수계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계절에 따른 풍속의 시간변화는 여름의 경우 우포지점의 풍속이 1.63m/s로 가장 높은 반면 안동지점의 풍속이 0.27m/s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의 경우 팔공지점의 풍속이 1.82m/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에 따른 지표면의 변화가 도시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또 지표면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ODIS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세 지점을 대상으로 토지피복에 따른 열환경을 평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표면 온도는 여름철 주간에 안동지점의 경우 주변지역에 비해 지표면 온도가 약 $26^{\circ}C$로 낮게 나타났으며 우포지점의 경우 수계가 가지는 열 완충능력으로 약 $27^{\circ}C$의 낮은 지표면 온도를 나타내었다. 사대지점의 경우 약 $34^{\circ}C$이상의 높은 지표면 온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표면 온도와 관측된 기온과의 회귀식을 도출하여 상관분석 한 결과, 모든 지점의 값에서 상관성 및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추정한 기온은 지표면 온도와의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패턴의 결과로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도시의 인공자재를 이용한 건축과 개발이 도시열섬현상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계획에 있어서 인공구조물에 의한 기온과 풍속이 받는 영향을 고려하여 도심의 인공구조물의 배치나 자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열교환의 방해 및 바람순환이 확보되는 구조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Visualize the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emperature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 Yoon, Min-Ho;Ahn, Tong-Mah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46-53
    • /
    • 2009
  • Urbanization brings several changes to the natural environment. Its consequences can have a direct effect on climatic features, as i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One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urban climate is the green area. In urban areas, vegetation is suppressed in order to accommodate manmade buildings and stree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green areas on the urban temperature in Seoul. The period selected for analysis was July 30th, 2007. The ground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Landsat TM satellite imagery. Land cover was calculated in terms of city area, water, bare soil, wet lands, grass lands, forest, and farmland. We extracted the surface temperature using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hen, we did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ir temperature at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Finally, we calculated the temperature decrease area and the population benefits from the green areas. Consequently, we determined that a green area with a radius of 500m will have a temperature reduction area of $67.33km^2$, in terms of urban area. This is 11.12% of Seoul's metropolitan area and 18.09% of the Seoul urban area. We can assume that about 1,892,000 people would be affected by this green area's temperature reduction. Also, we randomly chose 50 places to analysis a cross section of temperature reduction area.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boundaries of green and urban areas are an average of $0.78^{\circ}C$. The highest temperature difference is $1.7^{\circ}C$, and the lowest temperature difference is $0.3^{\circ}C$.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we can understand how green areas truly affect air temperature.

A Study on Microclimate Change Via Time Series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Centered on Dalseo District, Daegu City-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 -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 Baek, Sang-Hun;Jung, 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2
    • /
    • pp.34-43
    • /
    • 2009
  •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ays of reducing an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via an introduction of wind corridors, I conducted this study to see what influence a change in land cover arising of or going through urbanization has on wind corridors of urban space. As a target place, I chose Daegu city where is a representative extreme heat place in Korea and has been also largely expanded in size by incorporating its neighboring areas since the 1980s, expecially Dalseo District whose surface temperature gap is large. The population of Dalseo District has been sharply increased since its creation as a new administrative district in 1988. I studied on the urban microclimate change for a 20-year period by using satellite images on summer months in 1987, 1997 and 2007 in time frames. The finding of this study found that a reduction of natural land cover and an increase of artificial land cover serves as a disadvantageous factor for cold air creation and flowing and strikingly lowers the amount and height of cold air in the downtown area. It seemed that the cold air creation and flowing functions are influenced by land cover. In order to steadily create cold air and secure its flowing, it is thought that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implemented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urrounding the city. By doing so, a pleasant and healthy city could be fo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