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전달 감소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5초

평활관에서 이산화탄소의 증발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vaporation Heat Transfer of CO2 in a Smooth Tube)

  • 이상재;최준영;이재헌;권영철
    • 에너지공학
    • /
    • 제16권4호
    • /
    • pp.181-18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증발열전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질량유속, 열유속 기리고 포화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이산화탄소의 증발 열전달계수와 압력강하를 측정하였다. 질량유속과 열유속은 기존의 실험범위보다 크게 확장하여 내경 7.75 mm, 길이 5.0 m의 수평관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장치는 시험부, 전원공급기, 히터, 칠러, 기어펌프, 유량계, 계측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었다. 건도가 증가할수록 증발 열전달계수는 감소하였으며, 이산화탄소의 증발 열전달계수는 질량유속보다 열유속에 더 민감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어진 열유속과 포화온도에 따라 증발 열전달계수의 급격한 감소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압력강하는 질량유속 증가에 대해 선형적인 증가를 보였지만 열유속 증가에 대한 압력강하의 증가효과가 크지 않았다.

채널 간격 변화에 따른 해수냉난방용 판형 열교환기의 열전달과 압력강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plate heat exchanger using at seawater air conditioning with the variation of channel spaces)

  • 김현주;이호생;윤정인;손창효;정영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704-709
    • /
    • 2014
  • 판형열교환기는 해양온도차와 해수냉난방 시스템과 같은 해양플랜트 및 화학공업의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형열교환기의 채널 간격과 같은 설계 변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형열교환기 내 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판형열교환기의 채널 간격 변화에 따른 열전달 성능을 수치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치적 분석 결과로부터 해수 유량 변화와 함께 j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판형열교환기 채널 간격 변화에 따라 유량이 증가할수록 j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유량의 증가와 함께 f factor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물측과 해수측의 열전달 특성과 압력강하 특성을 각각 더하여 비교한 결과, 열전달 성능은 2.4-2.4 mm가 가장 우수하므로, area goodness factor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복사 열전달을 고려한 자연대류 원형 히트싱크 열전달 해석 (Thermal Analysis of a Radial Heat Sink with Radiation and Natural Convection)

  • 유승환;장대석;이관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4호
    • /
    • pp.385-390
    • /
    • 2012
  • 본 연구는 LED 조명기구에 적합한 원형 히트싱크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DTRM 복사 모델을 이용하여 자연대류와 복사 열전달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고, 수치모델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휜 개수, 긴 휜 길이, 중간 휜 길이가 전체 열저항 및 복사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방사율이 증가할수록 복사 열전달의 크기는 증가하여 열저항은 감소하지만, 인자 변화에 따른 전체 열저항의 경향성은 거의 일정하였다. 원형 히크싱크의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최적화된 긴 휜의 개수는 19~28 개, 긴 휜의 길이는 히트 싱크의 반지름의 1/2 이고, 휜의 길이 비는 0.4~0.7 사이의 값을 얻었다.

고분자 물질 첨가에 의한 2상 유동의 마찰 항력 감소와 대류 열전달 특성 (The Drag Reduction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wo-Phase Flow with Polymer Additives)

  • 이동상;김재근;차경옥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71-76
    • /
    • 2000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rag reduction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in vertical downward two-phase flow with polymer additives. The drag reduction effect were analyzed by using the difference of the pressure drop between the flow with polymer additives and without i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essure drop with polymer additives is less than the pressure drop without polymer in vertical downward two-phase flow. And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h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olymer concentration in vertical downward two-phase flow.

  • PDF

타원관형 핀-관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유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for Air-Side Flow Characteristics of Fin-Tube Heat Exchangers with Oval-Tube)

  • 김승택;최윤호;김형택
    • 에너지공학
    • /
    • 제10권2호
    • /
    • pp.166-175
    • /
    • 2001
  • 핀-관 열교환기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열저항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기측 열전달 특성의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슬릿핀과 같은 핀 형상의 개선으로 인한 높은 압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타원관형 열교환기를 고려하였으며 이를 자체 개발한 3차원 비압축성 Navier-Stokes 코드를 이용하여 공기측 성능을 해석하였다. 이 코드는 시간항에 스칼라 내재적 근사분해법(scalar implicit approximate factorization)절차, 공간항에 유한체적법과 2차의 풍상차분법을 사용한다. 핀 형상이 평판핀인 타원관에 대하여 세장비가 0.3, 0.5, 0.75인 경우와 핀 형상이 슬릿핀이고 세장비가 0.5인 타원관에 대하여 공기측 유동을 해석하였으며 이를 원관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평판핀의 경우, 압력강하량은 원관과 비교하여 세장비가 작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열전달 계수는 고려한 유입속도 범위에서 원관을 기준으로 약 5%이하의 변화로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슬릿핀의 경우 역시 문제되는 높은 압력강하량은 타원관을 도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PDF

단열벽체두께가 변화되는 밀폐공간에서 복사-자연대류열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rface Radiation-Natural Convection Interactions in an Enclosure for Various Adiabatic Wall Thicknesses)

  • 권용일;유지오;권순석
    • 태양에너지
    • /
    • 제15권3호
    • /
    • pp.39-52
    • /
    • 1995
  • 본 연구는 온돌공간으로 가정한 2차원 밀폐공간에서 단열벽체두께를 변화시켜 표면복사-자연대류 열전달특성에 대해 수치해석방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복사열전달이 동반된 자연대류인 경우, 밑면의 평균Nusselt수는 벽면방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벽체의 무차원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되며 순수자연대류인 경우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 밑면의 평균Nusselt수는 단열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킴에 따라 복사열 전달을 동반하는 자연대류의 대류열전달량이 자연대류의 열전달량보다 다소 작은 값을 나타냈다.

  • PDF

출구유로 단면적이 수직 환상공간 내부의 풀비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utflow Area on Pool Boiling in Vertical Annulus)

  • 강명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4호
    • /
    • pp.377-385
    • /
    • 2013
  • 출구유로 단면적이 수직 환상공간 내부의 풀비등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유동제한장치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가열 튜브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스테인리스강이며 대기압 상태 하에 있는 물을 사용하였다. 환상공간의 하부유로 조건은 개방과 폐쇄된 경우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유동제한장치를 설치한 환상공간에 대한 결과를 유동제한장치가 없는 환상공간에 대한 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출구유로 단면적을 축소하는 것은 열전달의 감소를 초래하지만, 출구 유로가 아주 작은 경우 열전달계수가 증가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기포군집의 형성과 이동에 따른 액체교란의 차이로서 설명되며, 유동대류, 맥동류 발생, 기포 군집 하부의 미세층증발이 중요한 열전달 기구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사각관로의 축대칭 공동부에서의 열전달 (Heat Transfer in an Axisymmetric Cavity of a Rectangular Tube)

  • 박용일
    • 태양에너지
    • /
    • 제10권1호
    • /
    • pp.31-37
    • /
    • 1990
  • 사각관로의 축대칭 공동부내의 흐름에 대하이 실험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공동부의 측벽과 대향벽에서 압력과 전달계수를 측정하였다. 공동부의 길이는 80mm에서 ${\infty}$로 변화시켰을때 재부착점을 지나서 공동부의 길이를 증가시킨 경우 열전달계수는 감소하였고, 재부착점 근방에서 평균 열전달계수가 최대치가 됨을 얻었다.

  • PDF

충돌분류계에서 사다리형로드에 의한 열전달증진 효과 (Heat Transfer Enhancement by Trapezoid Rods in Impinging Jet System)

  • 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4
  • 본 연구는 2차원 충돌공기분류시스템에서 벽면분류영역의 열전달증진을 목적으로 충돌판 앞에 사다리형 로드를 설치하고 로드 사이의 피치, 노즐출구와 충돌판 사이의 거리 및 로드와 전열면 사이의 간극을 변화시키면서 이때의 열전달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의 경우에서는 정체점 이후 열전달성능이 계속 감소하지만, 로드를 설치할 경우에는 로드에 의한 난류발생, 로드측면에서의 와류생성 및 로드밑에서의 가속화 등에 의해 정체점보다 높은 열전달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로드의 피치를 변화시킨 경우, P=30 mm인 경우가 로드 직전에서의 와류 및 로드 바로 밑의 가속효과를 가장 크게 받으며 C=1 mm, H/B=2인 조건에서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에 비해 평균 62%정도의 열 전달증진 효과가 있었다.

충돌제트 천이영역에서 로드에 의한 열전달특성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y Rods in Transition Region of Impinging Air Jet)

  • 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20권2호
    • /
    • pp.96-102
    • /
    • 2011
  • 본 논문은 2차원 충돌제트 시스템에서 충돌판이 천이영역에 위치할때, 열전달성능이 감소하는 벽면분류영역의 열전달증진을 목적으로 난류촉진체인 정 4각 로드를 평판전열면 앞에 설치하고 로드와 로드사이의 피치(P)를 40 mm로 고정한 후 로드의 폭(W) 변화(4, 6, 8 mm) 및 로드와 전열면사이의 간극(C) 변화(1, 2, 4, 6 mm)에 따른 유동특성과 열전달특성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치해석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로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충돌제트 시스템에서 난류촉진체를 이용한 열전달증진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