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전달상관식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원형휜-원형관 열교환기에 대한 자연대류 열전달상관식 (Natural Convection Correlation of Circular Finned Tube Heat Exchanger)

  • 강희찬;장현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747-752
    • /
    • 2008
  •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or the 7 kinds of circular finned tube heat exchangers. Empirical correlation was suggested at the range of 3,500

일체형원자로내 가압기 습식단열재 열전달 특성 연구

  • 강한옥;서재광;강형석;조봉현;이두정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380-385
    • /
    • 1997
  • 일체형원자로에서 일차측 압력은 질소와 증기의 분압에 따라 스스로 작동하는 자기가압기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1차계통내 용해된 질소의 양과 압력변화의 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가압기를 냉각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습식단열재(wet thermal insulation)와 냉각튜브(cooling tube)가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가압기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식단열재의 기본적인 열전달 특성과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분석하였다 전산유체코드를 사용해 단열재내치 온도 및 유동 분포를 계산하였고 기존의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열전달상관식을 이용해 단면충의 개수에 대한 민감도 계산, 돌출지점을 통한 열전도, 열전달 계수의 오차가 설계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 PDF

수평관내 3성분 혼합냉매의 강제대류비등 열전달 (Forced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for a ternary refrigerant mixture inside a horizontal tube)

  • 오종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912-920
    • /
    • 1999
  • The forced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R-407C were measured inside a horizontal tube 6.0mm I.D. and 4.0m long.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creas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heat flux at constant mass flux. Because nucleation was completely suppressed in the two-phase flow region with high quality,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 forced convective evaporation were higher than those in nucleate boiling region.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R-407C were about 30 percent lower than the pure refrigerant correlation, due to mass transfer resistance at the gas-liquid interface. However, the total experimental data shows an agreement with the predicted data for ternary refrigerant mixtures with a mean deviation of 30%.

  • PDF

순수 및 혼합냉매의 유동증발 열전달 상관식 (Correlation of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in a Horizontal Tube for Pure Refrigerants and Refrigerant Mixtures)

  • 신지영;김민수;노승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54-266
    • /
    • 1996
  •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pure refrigerants(R22, R32, R125, R134a, R290, and R600a) and refrigerant mixtures(R32/R134a and R290/R600a) are measured experimentally and compared with several correlations. Convective boiling term of Chen's correlation predicts experimental data for pure refrigerants fairly well(root-mean-square error of 12.1% for the quality range over 0.2). An analysis of convective boiling heat transfer of refrigerant mixtures is performed for an annular flow to study degradation of heat transfer. Annular flow is the subject of this analysis because a great portion of the evaporator in refrigeration or air conditioning system is known to be in the annular flow regime. Mass transfer effect due to composition difference between liquid and vapor phases, which is considered as a driving force for mass transfer at interface, is included in this analysis. Correction factor $C_F$ is introduced to the correlation for the pure substances through annular flow analysis to apply the correlation to the mixtures. The flow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e calculated using the correlation considering nucleate boilling effect in the low quality region and mass transfer effect for nonzazeotropic refrigerant mixtures.

  • PDF

수평 직사각 덕트 내 임계점 부근 물의 대류열전달 특성 (Convective Heat Transfer to Water near the Critical Region in Horizontal Rectangular Ducts)

  • 이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5호
    • /
    • pp.477-485
    • /
    • 2012
  • 수평 덕트 내 임계점부근의 유체 유동 및 열전달특성은 중력과 함께 임계영역에서의 열역학 및 전달 물성치의 많은 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 직사각 덕트 내 임계점부근의 물에 대한 대류열전달특성을 전산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부적인 열전달계수와 유속, 온도, 그리고 물성치분포를 포함한 대류열전달특성에 대해 임계점 근접효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벽으로부터의 열전달에 따른 유체 밀도감소로 덕트 내 유동방향으로의 유속증가와 함께 유체가 액체에서 기체 같은 상태로 천이하는 형태의 유동장특성을 보여준다. 덕트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래면 각각의 국부적인 열전달계수분포에 큰 차이가 있으며 준임계점 온도부근에서 난류전달특성의 향상으로 열전달계수의 최대치에 이르게 된다. Nu 수는 덕트 내 압력과 종횡비에 영향을 받으며 임계압에 가까워질수록 최대 Nu 수는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와 함께 기존의 열전달상관식을 통한 결과와 예측된 Nu 수 분포를 비교하였다.

직접 수송 루프에서 아이스슬러리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ce Slurry at Direct Transportation Loop)

  • 이동원;김정배
    • 에너지공학
    • /
    • 제19권4호
    • /
    • pp.234-239
    • /
    • 2010
  • 원형 파이프를 유동하는 6.5% EG 수용액으로부터 만들어진 아이스슬러리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의 시험부는 13.84 mm 내경과 1,500 mm의 길이를 가진 동관으로 제작되었다. 아이스슬러리는 시험부 주변에 이중관 형태로 만들어진 원형관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에 적용된 IPF와 질량 유속은 각각 0 ~ 25% 그리고 1000 ~ 3,000 kg/$m^2s$의 범위이었고, 온수의 온도와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측정된 열전달량은 질량 유량과 IPF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IPF의 영향은 높은 질량 유량에서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질량유량에서는 열전달 계수의 급격한 상승이 15 ~ 20%의 IPF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열전달계수는 기존의 열전달상관식들에 의해 계산된 열전달계수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LNG 냉열활용을 위한 초저온 열교환시스템의 축소모형에서 증발 열전달 특성 (Characteristics of Evaporation Heat Transfer in a Small-Scale Cryogenic Heat Exchange System for the Utilization of LNG Cold Energy)

  • 남상철;이상천;이용원;손영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33
    • /
    • 1998
  • 본 연구는 LNG냉열활용을 위해 초저온 열교환시스템을 제작하고 액화질소와 에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작동유체로 사용하여 증발 열전달 특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초저온 열교환기는 2중관식 열교환기이며, 내부관 지름이 8, 15 mm이며 길이는 6m이다. wire-coil inserts를 사용하여 열전달촉진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액화질소와 에틸렌-글리콜 수용액의 출입구 온도, 벽면온도, 유량, 압력을 측정하였고, 이를 증발 열전달계수와 누셀트수를 계산하는데 사용하였다. 열전달상관식을 누셀트수, 프란틀수와 등가레이놀즈수의 멱법칙관계로 제안하였고, 그 결과 열전달촉진관이 평활관보다 2.5 ${\~}$ 5.5배정도 열전달이 증가되었다. 이 상관식을 이용하여 LNG냉열이용을 위한 초저온 2중관 열교환기를 설계하였고, 그 결과로 제시하였다.

  • PDF

수직 원형관내 자연대류 물질전달실험에서 양극의 면적과 위치가 한계전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node Size and Position on the Limiting Currents of Natural Convection Mass Transfer Experiments in a Vertical Pipe)

  • 강경욱;정범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10
  • 수직 원형관내 자연대류에 의한 열전달량을 $Gr_H$ 수 2.1x$10^6{\sim}2x10^9$의 범위에 대해 측정하였다. 유사성 원리를 이용하여 열전달계를 물질전달계로 대체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물질전달계는 황산-황산구리 수용액의 전기도금계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층류 및 난류에 대한 수직평판에 대하여 개발된 자연대류 열전달상관식과 비교한 결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Gr_H$$10^9$이상의 난류 영역에서는 수직관내에서 경계층간 간섭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직관에서의 실험결과가 수직평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일치는 유사성 실험의 유용성을 증명한다. 3가지 다른 형태의 양극과 6가지 다른 기하구조를 사용하여, 양극의 면적과 위치가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예상된 바와 같이 양극의 면적과 위치는 대부분의 경우 한계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다 복잡한 실험에 있어서 양극의 크기와 위치를 지정하는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