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원 폐기물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s by Self Heating (자체 연소열을 이용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재활용장치)

  • Han, Doo-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393-396
    • /
    • 2007
  • 본 논문은 음식물류폐기물의 사료화 및 퇴비화 방법이 독성, 염분, 미숙성 등의 이유로 처리 여건이 어려운 데 대하여, 자체 처리열원으로 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탈리액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2011년부터 유기성 폐기물이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탈리액의 처리문제는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함수율 95% 유지 조건은 새로운 처리비용의 증가로 이어졌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음식물류폐기물을 건조 후 자체 열원으로 사용하여 연료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탈리액 대신 경제적 효용가치가 있는 응축수를 만들어 해양투기에 의한 비용부담을 없애는 방법이며, 이전의 회분식 방법을 연속처리할 수 있도록 개량한 방법을 제시한다. 응축수는 액비로 사용가능하므로 완전 재활용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conditon of Effective Energy Recovery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by the facility using Waste / Biomass fuel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시설의 효율적 에너지회수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운전조건에 관한 연구)

  • Joo, Won Hyeog;Yeo, Woon Ho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8 no.1
    • /
    • pp.83-95
    • /
    • 2020
  • The economic issue of the period of return versus investment has emerged to efficiently utilize the thermal energy of public resource recovery facilities using waste and private thermal source facilities using BIO-SRF. Accordingly,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ressure facilities are required beyond the traditional designed,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current energy output by different heat and pressure model in domestic facilities, and calculated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order to, utilize the thermal energy producing facilities using waste and biomass fuel more efficiently, it is temperature and pressure, which will lead to more lucrative investment and return as well.

A study on Wastes Treatment by Plasma (Plasma를 이용한 폐기물처리기술)

  • Park, Hyeon-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20.1-120.1
    • /
    • 2014
  • 고온 plasma는 전자, 이온, 중성입자로 구성된 이온화된 기체로 국소열평형 상태의 구성입자가 수천도에서 수만도에 이르는 큰열용량을 갖는 불꽃형태를 이루고있다. 따라서 고온 plasma는 고온, 고열로 대상물질을 용융 또는 기화시켜 물질의 물리적상태를 변화시키는 열원역활을 하거나, 높은반응성을 갖는 입자들에 의한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반응촉매로 작용하여 고기능성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원자력, 항공우주,유가금속 재활용등의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활을 하고 있슴니다. 본 발표에서는 연구소에서 지금까지 국책과제로 수행되었던 고온 plasma을 유해폐기물(병원, 유독 액상폐기물, 군화공폐기물, 중금속 함유 폐기물, 폐 plastic 가스화 등)처리에 관한 전반적인기술을 소개하고져함.

  • PDF

Recycl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s by Cooked Oil (폐식용유를 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장치)

  • Han, Doo-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7-298
    • /
    • 2007
  • 본 논문은 가열된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음식물류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형성분을 익혀 사료, 퇴비 및 연료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소개한다. $200^{\circ}C$의 폐식용유에서 l분 이내에 완전 건조 처리되며 멸균을 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열원은 소각로 열을 재활용할 경우 경제적이다. 탈리액의 해양투기가 금지될 경우 탈리액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대안이라 여겨진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Dyeing Industrial Heat Source Waste Aggregate as Concrete Aggregate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로서 염색공단 열원 폐재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Youn, Jang-Kil;Kim, Hyo-Youl;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5 no.1 s.15
    • /
    • pp.123-129
    • /
    • 2005
  • This study is as a part of the new disposal and recycling plans of heat-resource waste of Daegu dyeing industrial center we tried to examine applicable possibility of crushed thing(waste aggregate) as aggregates for mortar and concrete. To examine applicable possibility of waste aggregate as a lightweight-aggregate for concrete and mortar, we carried this study by mainly property examination of concret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waste aggregate. We carried slump, unit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test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waste aggregate. As the result of that, if we use waste aggregate, lightweight of concrete and mortar will be possible. Specially it shows a strength improvement effect of cement hardening according to using this so it is judged that applicable possibility as aggregate for concrete and mortar is very excellent.

The Study on Application of a Heat annexation power plant Source Waste Aggregate as Concrete Aggregate (열병합발전소의 열원폐자재를 골재로 활용한 콘크리트특성에 관한 연구)

  • Lee Myoung-Hyol;Kim Hyo-Youl;Lim Nam-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99-104
    • /
    • 2005
  • This study is as a part of the new disposal and recycling plans of heat-resource waste of Daegu dyeing, industrial center we tried to examine applicable possibility of crushed thing(waste aggregate) as aggregates for mortar and concrete. To examine applicable possibility of waste aggregate as a lightweight-aggregate for concrete and mortar, we carried this study by mainly property examination of concret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waste aggregate. We carried slump, unit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test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waste aggregate. As the result of that, if we use waste aggregate, lightweight of concrete and mortar will be possible. Specially it shows a strength improvement effect of cement hardening according to using this so it is judged that applicable possibility as aggregate for concrete and mortar is very excellent.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Waste Sand as Concrete Fine Aggregate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폐기물 모래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윤장길;김효열;임남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20
    • /
    • 2004
  • To the development on reusing method of the heat-source waste at Daegu Bisan dyeing-complex, this study is aimed to application of it's crushing material (hereafter waste sand) as concrete fine aggrega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low and unit weight of mortar using waste sand as concrete fine aggregate are decreased. 2. At the results of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bending strength test, mortar using waste sand superior to plain mortar within 80% substitute ratio of waste sand. Because increasing rate of compressive strength is similar through increasing age, waste sand performs as filler's function of no-effect with cement only. 3. At the results of concrete application test, unit weight of concrete using waste sand is similar to plain concret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s superior to plain likewise the results of mortar test

  • PDF

The Method Research for Development of Pellet Using Suljigemi (술지게미를 이용하여 펠릿화 개발을 위한 방법 연구)

  • Noh, Seung-Hyun;Choi, Joo-Yeol;Jo, Min-Jung;Jeong, Jae-Min;Choi, Seong-Won;Lee, Jung-Yun;Lee, Jung-Bok;Kim, Dae-Ny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46.2-246.2
    • /
    • 2010
  •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 정책에 맞추어 주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전분발효 부산물인 주박(酒粕, 술지게미)을 펠릿화(pellet) 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박을 100g당 물 100ml 비율로 섞어 충분히 반죽 후 녹즙기로 압축 성형화 하는 과정을 대신 하여 주박을 뽑았다. 이 주박을 온열 건조기에서 20시간이상 건조 시키면 완성이 된다. 주박펠릿은 폐기물을 재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열량-가격대비를 비교해 보았을 때 등유 8950kcal-1000원/L, 경유 9050kcal-1433원/L, 면세경유 9050kcal-821/L, 우드 1812kcal-400원/kg, 주박 1989kcal-200원/kg으로 훨씬 저렴하며 열량도 높다. 주류업체에서 주박을 폐기물 처리하므로 가격 책정은 어렵다. $CO_2$ 발생량도 적어 온실가스를 절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청정연료이다. 또한 연료로서 운송, 저장 및 보관이 편리하다. 주류업체도 주박 처리로 인해 연간 12억 정도 사용된다. 폐기물을 에너지화 함으로써 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초기 투자 비용이나 연료비가 저렴하다. 그리고 태우고 남은 회분은 토양개량제로 다시 재활용 되기 때문에 무해백익하다. 현재 폐목재를 사용한 우드펠릿은 원료를 수입해야 한다는 점과 삼림자원의 부족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폐목재를 분쇄한 후 가공 및 성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주박이 효율성이 좋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유나 화석연료의 매장량이 고갈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주박은 술이 사라지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무궁무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류 제조시 발생하는 주박은 바로 성형 및 가공이 용이하다. 현재 주박으로 만든 펠릿은 전 세계적으로 전무하다. 막걸리 및 전통술의 특화사업으로 주박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2012년부터 해양 투기 금지로 주박 폐기물 처리가 힘들어진다. 주박 폐기물을 펠릿화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면 해결이 된다. 주박의 에너화를 통해 재생산의 열원으로 사용되고 펠릿을 연료원과 더불어 기계적인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저탄소 녹색성장인 국가 정책과 부합된 미래형 에너지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Natural Ventilation by the Caloric Values of HLW in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지하처분장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발열량에 따른 자연환기력 연구)

  • Roh, Jang-Hoon;Choi, Heui-Joo;Yu, Yeong-Seok;Yoon, Chan-Hoon;Kim, Ji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6
    • /
    • pp.518-525
    • /
    • 2011
  • In this study, the natural ventilation pressure resulting from the large altitude differenc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high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nd the caloric value of the heat emitted by wastes was calculated and based on the results, natural ventilation quantities were calculated. A high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can be considered as being operated through closed cycle thermodynamic processes similar to those of thermal engines. The heat produced by the heating of high radioactive wastes in the underground repository is added to the surrounding air, and the air goes up through the upcast vertical shaft due to the added heat while working on its surroundings. Part of the heat added by the work done by the air can be temporarily changed into mechanical energy to promote the air flow. Therefore, if a sustained and powerful heat source exists in the repository, the heat source will naturally enable continued cyclic flows of air.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quantity of natural ventilation made during the disposal of high radioactive wastes in a deep geological layer was mathematically calculated and based on the results, natural ventilation pressure of $74{\sim}183$Pa made by the stack effect was identified along with the resultant natural ventilation quantity of $92.5{\sim}147.7m^3/s$. The result of an analysis by CFD was $82{\sim}143m^3/s$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athematic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