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대야

Search Result 2,8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건강한 여름나기, 열대야 숙면 방법

  • Lee, Seon-Jin
    • 건강소식
    • /
    • v.32 no.8
    • /
    • pp.24-25
    • /
    • 2008
  • 열대야는 하루 최저 기온이 25도를 넘는 것으로 낮에 달구어진 지표면의 열기가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일어난다. 열대야에서는 인체의 중추신경계가 흥분해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자주 깨며 이 때문에 다음날에 졸리고 피로한 '수면지연증후군'이 나타나기 쉽다. 무더운 여름 밤, 열대야 속에서 쾌적하게 잠자고 건강을 유지하는 특별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treme rainfall based on movements for tropical storm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의 열대폭풍으로 인한 극한강우와 이동에 따른 특성 분석)

  • Young Hoon Song;Jae Yeol Song;Hyung Ju Kim;Eun-Su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6-276
    • /
    • 2023
  • 미국의 열대저기압(tropical cyclone)은 강풍, 폭우, 해일 등의 위험을 동반하는 기후와 관련된 자연재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열대저기압이 동반하는 강우는 해안과 내륙지역에서의 홍수로 이어지며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의 주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열대저기압이 동반하는 강우와 해안지역에서 열대저기압의 이동 특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열대폭풍(tropical storm)은 열대저기압에 비해 바람세기의 등급은 낮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강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남동부에서 1979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생한 열대폭풍이 동반한 극한강우와 열대폭풍의 이동 특성을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열대폭풍 보다 높은 등급의 사상에 대한 이동 경로, 거리, 속도 등의 자료를 얻기 위해 HURDAT2를 이용하고, 열대폭풍의 이동과 중심반경에 따른 강우자료를 얻기 위해 NLDAS-2와 시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도를 기준으로 과거기간(1979-2000년)과 현재기간(2000-2021년)에 대하여 열대폭풍의 해안과 내륙지역 이동에 따른 극한강우의 경향성과 변동추세 및 강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열대폭풍의 이동에 따른 극한강우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Recent Changes of Tropical Night Phenomenon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열대야 현상 발생의 시.공간적 특징과 최근의 변화)

  • Choi, Cwangyong;Kwon, Won-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6 s.111
    • /
    • pp.730-747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recent changes of tropical night phenomenon(TN) occurring through nighttime stages in South Korea. Frequencies of daily TN at different times of night are extracted from long term(1973-2004) 6 hourly nighttime(9PM and 3AM)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data at 61 weather stations. Temporally, the occurrences of TN are more pronounced in the evening(9PM) and during the Changma Break period(late July - early August). Spatially, the TNs in the evening frequently occur in the urbanized inland cities at low latitudes due to urban heat islands, whereas the TNs in the middle of night(3AM) or at dawn frequently appeared along the coastal areas within 30km from ocean due to the thermal inertia of ocean. By contrast, the evening(dawn) TN is not seen in the highlands whose elevation is greater than 800m(300m) along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idges due to temperature lapse rates with height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the impacts of human or physical climatic factors, such as latitude, elevation, proximity to ocean, and population density, are diverse on the frequencies of TN according to nighttime stages. Recent temporal changes of the late Changma period and intensified urbanization during the 1990s have increased the occurances of TN in urban areas. Therefore, strategies to mitigate the increasing urban TN should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Trend of heat wave events in South Korea using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일 최저 기온을 이용한 한국의 폭염사상 추세)

  • Kim, Ryoungeun;Won, Jeongeun;Lee, Jungmin;Choi, Jeonghyeon;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4
    • /
    • pp.344-353
    • /
    • 2019
  • Heat waves are a global phenomenon that exacerb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heat exposure and cause fatal human injur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ropical night, one of the forms of heat wa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trend of tropical night in Korea is changing. From 1973 to 2018, we analyzed the temporal changes of the six tropical nights using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at 60 ASOS stations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rom these analyzes, 10 sites were selected as attention sites for tropical nights: Incheon, Gangneung, Cheongju, Jeonju, Gwangju, Jangheung, Yeosu, Geoje, Gumi, Yeongdeok. The severe sites for tropical nights were identified as 14 sites including Hongcheon, Yangpyeong, Suwon, Wonju, Boryeong, Daejeon, Buan, Jeongeup, Mokpo, Geochang, Miryang, Pohang, Jeju, and Seogwipo. At the severe sites identified, special tropical night measures will need to be established.

Selec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Pf) malaria specific diagnosis target proteins based on bioinformatics (생명정보학 기반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 진단 타깃 단백질 선정)

  • Seo, Seung Hwan;Kim, Hak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61-62
    • /
    • 2014
  • 말라리아는 인체에 감염되는 열원충의 종류에 따라 크게 열대열 원충, 삼일열 원충, 사일열 원충, 난형열 원충으로 구분된다. 말라리아는 감염 후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므로 초기 진단을 위한 Rapid Diagnostic Test(RDT) 키트가 중요하다. 기존의 진단키트의 경우, 열대열 말라리아와 삼일열 말라리아를 동시에 검출하여 치료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구분하여 진단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RDT키트 개발을 위해, PlasmoDB에서 열대열 말라리아 항원 단백질을 얻고 BLAST를 이용하여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항원 단백질 후보군을 얻었다. 이후 감염단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SPpred에서 제공하는 protein solubility prediction을 통해 실험적으로 단백질 발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 결과, 최종적으로 histidine-rich protein II, histidine-rich protein III, glycophorin binding protein를 선정하였다. 이들 단백질을 이용한 열대열 말라리아 진단키트 제작은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적 진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Nocturnal Cold Air Flow Characteristics for Setting of Tropical Night Response Zone in Daegu (대구시 열대야 대응 구역 설정을 위한 야간 찬공기 유동성 분석)

  • SEO, Bo-Yong;LEE, Sang-Beom;GWON, Soon-Beom;CHA, Jae-Gyu;JUNG, 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3
    • /
    • pp.220-235
    • /
    • 2020
  • Heat wave generation in cities is basically affected by global warming, but it is further exacerbated by the impact of artificial heat emission and heat accumulation in the city.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urban heat waves directly affect the occurrence of tropical nights. Basically, however, the choice of countermeasures against tropical nights is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daytime heat wave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flow at nigh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ropical nigh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o suggest its spatial applicability.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low velocity, flow rate, flow direction and range) of cold air flow in Daegu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KLAM_21, a cold air flow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ld air generation and flow in the surrounding mountains of Daegu Metropolitan City was very active, but the inflow was limited to the urban area, which has tropical nights.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ow of cold air flowing from the surrounding mountains is very active in some urban areas, so it has spatial conditions that are very effective in countering tropical nights. If these spatial conditions are used for the urban planning, it will be very useful to develop countermeasures for tropical nights.

과학기술정보-열대어를 이용한 새로운 폐수처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10 s.101
    • /
    • pp.38-40
    • /
    • 1977
  • 일본열대어연구소에 의하면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수나 식품가공공장 등에서 방기되는 폐수를 열대어로 정화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폐수처리방법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널기 사용되어온 물리적, 화학적인 폐수처리방법과는 달리 열대어를 중심으로한 일종의 동식물의 천적이용이란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우기 2차 공해의 염려도 없기 때문에 금후 활성오니법(박테리아가 혜우기물을 섭취함으로써 폐수를 정수로 전환케 하는 폐수처리법)등과 같은 다른 처리방법과 함께 일본 각지로 보급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열대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하여 소개하리고 한다.

  • PDF

유입이 가능한 열대성 기생충병

  • Min, Deuk-Yeong
    • 건강소식
    • /
    • v.10 no.7 s.92
    • /
    • pp.11-15
    • /
    • 1986
  • 이미 없어진 것으로 알려졌던 열대기생충병들이 발견되어 국민보건 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금년아세안게임이나 88올림픽게임기간에 세계 각국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를 방문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그 사람들이 가지고 들어온 열대병들을 염려해야 한다.

  • PDF

열대의학과 기생충 질환

  • Chae, Jong-Il
    • 건강소식
    • /
    • v.9 no.11 s.84
    • /
    • pp.18-21
    • /
    • 1985
  • 열대의학이란 열대성 질환을 비감염성 각종 장기의 질환, 감염성질환, 독성식물 및 동물에 의한 중독질환, 영양결핍증 및 열과 관계된 질환(일사병)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특히 원충 및 요충 감염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