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대분포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1초

DNA 생물정보를 이용한 한국산 자리돔과 어류의 분류 및 분자계통학적 위치 (Species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 of Korean Damselfishes (Pomacentridae: Chrominae) Based on DNA Bioinformation)

  • 고정락;박영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4-285
    • /
    • 2007
  • 자리돔과(Teleostei: Pomacentridae) 어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산호해역의 해양생물 군락을 이루는 주요구성 어류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본과에 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genus Chromis와 Dascyllus 2속을 대상으로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자계통분석에서 일본산 D. aruanus는 계통도상에서 폴리네시아산 D. aruanus와 함께 유집되었고, 우리나라의 Chromis fumea는 호주의 C. nitida와 함께 유집되었으며, 두 종간의 유전적 거리를 표시하는 P 값은 0.047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우리나라의 C. notatus는 뉴칼레도니아산 C. flavomaculata와 함께 유집되었는데, 특히 제주의 D. melanurus와 인도-태평양의 D. melanurus 사이에는 유전자 염기서열의 차이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두 지역의 D. melanurs와 인도네시아의 D. melanurus간에는 한개의 염기서열 차이가 있었다. 일본산 Dascyllus aruanus의 염기서열은 폴리네시아산 Dascyllus aruanus와 2개의 염기서열 차이가 있었고, 한국산 Chromis fumea와 C. notatus 사이에는 다소 많은 수의 염기서열 차이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 도입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DNA의 염기서열 정보 및 분석은 이 유전자가 종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집단의 구분 및 확인을 위한 DNA 바코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이 흰쥐의 IgE 생성 및 비장림프구 아군분포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IgE production, splenic helper and suppressor T lymphocytes in mice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 민득영;류재숙;신명헌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31-238
    • /
    • 1993
  • 폐흡충 피낭유충을 BALB/c 마우스에 경구 감염시킨 후 마우스를 시기별(3일, 1주, 2주, 3주, 4주, 5주, 7주, 9주, 13주 및 23주)로 희생시켜 말초혈액내 호산구수와 혈청내 IgE 항체가를 측정하는 한편 비장 림프구를 분리하여 림프구 아군(helper T, cytotoxic / suppressor T, pan T)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를 결합시켜 EPICS C fluorocytometer로 분석하였다. 폐흡충에 대한 혈청내 총 IgE 항체가는 감염 3주부터 증가되어 감염 4주에 높게 증가되었으며 13주 이후 23주까지 높은 항체가가 유지되었다. 말초혈액내 호산구수는 감염 2주 부터 증가되어 감염 9주에 $664.1/\textrm{mm}^3$으로 가장 증가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여 23주에는 정상보다 약간 증가되었다. 폐흡충을 감염시키고 감염 3일, 1주, 2주, 3주, 4주, 7주 및 23주에 T 림프구 아군을 분석한 결과 L3T4 helper T 림프구와 Lyt-2 cytotoxic / suppressor T 림프구의 비율은 감염 군에서 감염 초기에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y 1.2 pan T 림프구의 비율은 감염 2주와 4주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05) 7주 이후에는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마우스의 폐흡충감염에서 특이 항원이나 마이토젠의 자극이 없이는 비장킬프구의 아군분포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각된다.

  • PDF

EOF와 SVD을 이용한 아프리카 지역에서 관측된 OMI HCHO 자료의 검증 (Validation of OMI HCHO with EOF and SVD over Tropical Africa)

  • 김재환;백강현;김소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7-430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NASA에서 제공되는 operational OMI HCHO 관측 값에서 에러를 발견하여, 월평균 HCHO 자료의 시계열에 4 차 다항식을 피팅함으로써 구한 배경 모수화(parameterization)값을 이용하여 OMI HCHO 자료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후의 OMI HCHO는 동태평양과 서태평양 지역에서 -1.48%, 0.65%/year 경향성을 보였으며 이 수치는 GOME(-0.99%, 1.1%/year)과 SCAIMACHY(-0.92%, 0.03%/year)의 경향성과 유사한 결과이며 적절하게 비정상적인 배경 HCHO 농도의 증가가 제거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자료의 검증과 분석은 EOF와 SVD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아프리카 지역에서 다양한 위성 관측 값과의 (HCHO, CO, $NO_2$ 그리고 firecount) 시공간 변동성의 일치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아프리카에서 MOPITT CO, OMI $NO_2$, SCIAMAHCY 그리고 OMI HCHO의 EOF와 SVD 분석 결과는 생태계화재(biomass burning)의 시공간 변동성 분포와 매우 높은 일치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OMI HCHO 관측 값은 화재가 가장 강하게 발생하는 지역의 풍하측에서 최대 값이 보이며, 화재 발생이 가장 높은 1월에 다소 낮은 HCHO 값이 보이는 등 시공간적으로 생태계 화제 분포와 차이를 보인다. 이것의 원인으로 우리는 이 지역의 열대우림의 식물활동(biogenic activity)영향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biomass burning 에어로졸에 의한 잘못된 AMF 계산이 OMI HCHO 산출에 사용됨으로써 발생한 오차라는 것을 밝혔다. AMF와 관련된 오차가 적절하게 보정된다면, 아프리카 지역의 HCHO 시공간 변동성은 생태계 화제의 변동성을 따를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계적 기법이 위성 자료를 평가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경북 울진등에서의 폐흡충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urvey of Paragonimus westermani in Ulchin County, Kyoungpook Province, Korea)

  • 주종윤;박영춘;안성훈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02-110
    • /
    • 1985
  • 경북 청진군에서의 폐흡충 침윤상을 알아보기 위해 1984년 3월부터 10월까지 폐흡충의 제 1중간숙주, 다슬기와 분포상과 이들 다슬기에서의 폐흡충 유미유충의 기생상, 제2중간숙주, 가재에서의 본충 피낭유충 기생상 및 주민들에서의 폐흡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청진군에서 7개지역의 다슬기 서식처를 발견하였으며, 이들 서식처에서의 다슬기의 분포밀도는 하서 Im2당 5∼25개, 평균 15개였으며, 이들 다슬기에서의 폐흡충 유미유충의 기생률은 매우 낮아 0.0152%였다. 폐흡충의 제2중간숙주, 가재에서의 본충 피낭유충 검출률은 18.7%(604마리중 113마리)였으며, 이중 두천계곡에서는 39.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소광계곡(21.6%), 구산계곡(5.9%) 순이었다. 청진군 주민 819명에서의 폐흡충 감염률은 25.8%였으며, 성별 감염률에 있어서 남성은 30.8%, 여성은 19.9%로써 남녀간의 유의적 차를 인정할 수 있었다(t>2). 연령군별 감염률에 있어서는 0∼9세 18.9%로 시작하여 연령이 많아질수록 그 율이 점차로 증가하여 30∼39세 군에서 37.5%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소진군에서는 폐흡충 유행지역으로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서의 폐흡충감염률은 아직도 높음을 알았다.

  • PDF

KURT 주변지역의 수리지질특성 연구 (Hydrogeological properties around the KURT)

  • 이진용;김경수;박경우;한운우
    • 지질공학
    • /
    • 제20권2호
    • /
    • pp.121-126
    • /
    • 2010
  • 현재 방사성폐기물 처분기술 개발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시설인 KURT는 부지특성조사의 일환으로 안정성 평가차원에서 확대하여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KURT 주변지역의 구성된 지질모델을 기초로 하여 부지규모의 수리지질학적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지역에 분포된 시추공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넷으로 도시한 결과 NS, NW, EW, 저경사 단열대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지질 모델의 구성요소로는 상부 토양층 및 풍화대, 저경사 단열대, 단열대로 구분되었다. 구분된 단 열대에 수리시험을 통하여 지하수가 대수층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수리전도도 및 수리경사에 영향을 미치는 단열의 크기 와 방향성에 대한 정규분포 통계 분석을 수행함으로 연구지역 내 NS 방향의 단열이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경사 단열대의 수리전도도의 값은 3.61E-07 m/s로 주요 단열대보다 큰 값을 가지며, 기반암이나 기반암에 존재하는 단열대와 수리학적 특성이 상이하다.

우리 나라에 분포하는 스파르가눔의 실험실 내 생활사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Spirometra erinacei)

  • 이순형;위재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3호
    • /
    • pp.161-174
    • /
    • 1990
  • 우리 나라에서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스파르가눔의 중간숙주를 파악하고, 각 단계의 유충을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실에서 키운 물벼룩(Mesocyclops leuckarti, Eucyclops serrulatusi Moina sp.)과 참개 구리의 올챙이를 각 단계의 유충에 접촉 감염시키고, 다음 단계의 유충을 얻어 다른 숙주에 감염시켰다 각 시기에 있는 유충의 발육과 형태를 관찰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실험적으로 스파르가눔을 개와 고양이에 감염시켜 얻은 Spirometra의 충란을 증류수에서 $29^{\circ}C$로 배양한 결과 10~14일에 유충(coracidium)이 탈각 부화하였다. 이 때 광선이 탈각을 촉진하였다. Coracidium은 평균 $43.8{\times}36.9{\;}{\mu\textrm{m}}$의 크기이었고, 길이 $12.8{\;}{\mu\textrm{m}}$의 섬모로 덮혀 있었다. 2. Coracidium에 노출된 물벼룩 중에서 M. leuckarti와 E. serrulatus가 procercoid 유충을 체강에 가지고 있었 다. 감염 5일에 형태가 갖추어지고, 10일에 제 2중간숙주에 감염 력을 가지며, 한 달 이후에는 석회화되었다. 이 유충의 전단에는 미세한 소극이 밀생하여 있었고, 체내에 칼슘소구(calcium corpuscles)가 관찰되고, 후단에 cercomer가 형성되어 있었다. 3. 감염된 물벼륵과 접촉시킨 모든 올챙이의 복강에서 스파르가눔(plerocercoid 유충)이 회수되었다. 을챙이에 서 감염 후 20일에 길이 1mm이내의 서양배 형의 작은 충체가 관찰되었고, 45일에는 길이가 약 4mm정도의 유충이 회수되었다. 4. 마우스에 경구감염시킨 procercoid 유충은 감염 후 17일 및 19일에 스파르가눔으로 성장하였고 각각 5.7% 및 7.1%의 충체가 회수되었다. 5. 올챙이에서 얻은 스파르가눔을 개와 고양이에 감염시킨 결과 15~17일에 대변에서 Spirometra의 충란이 검출되 었다. 감염 후 6주에 개에서 회수한 충체는 길이가 110cm, 폭이 0.8cm이 었다. 성숙 편절의 자궁이 4~5회 의 나선형이고 한 펀절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 1 : 2.9이었다. 횡단 절편된 펀절에서 생식공과 질구가 간격을 두 고 개구하고, 음경낭과 저정낭이 하나의 낭을 형성하여 Spirometra erinacei의 기술과 일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우리 나라의 논, 저수지, 수로, 개천 등에 흔히 분포하는 담수 갑각류 중에서 M. leuckarti 와 E. serrulatus가 스파르가눔의 중간숙주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란의 배양에서부터 종숙주의 충란 배출까지 약 2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고, 우리 나라 자연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LIBERIA BUCHANAN 지역 FERRASOLS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도생육 (Characteristics of Ferralsols Soils and Rice Growth in Buchanan Region, Liberia)

  • 조국현;김광식;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8-177
    • /
    • 1997
  • 열대지방인 라이베리아 Buchanan 지역의 수도작 시범농장 건설사업의 설계 및 영농 기초자료를 제공키 위해 토양조사를 실시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도재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linthite를 갖는 Oxic B 층위가 30cm 이상이며 토양층위가 불명료하고 표토층의 유기물 함량이 낮은 Ochric A층을 나타내며 토양배수가 양호내지 약간 양호한 사양질 토양이다. 토양분류상 Ferralsols로 분류 할 수 있다. Plinthite가 균일하지는 않지만 전 층위를 통해 발견되며 공기에 노출될 경우 매우 단단해져 ironstone이 되었으며 특히 심토가 표토에 노출될 경우 수 시간 내에 매우 단단해지는 토양특성이 있다. 답작지로 개발 후 써레질이나 경운 등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다. Plinthaquox로서는 점토함량이 낮은 편인데 이는 흰개미에 의해 지표 이하의 미립질 토양이 이동하여 흰개미집을 짓는데 이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심토에는 Lateritic gravel인 Plinthite가 5~30% 가량 함유되어 있으며 기층에는 석영이 많이 함유된 Plinthite가 50% 이상이나 된다. 유효 Fe농도가 표토층에서 230~330mg/kg이고 심토층에서는 급격히 높아져 최고 2,200mg/kg까지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철분 독성이 심각하였으며 벼 재배시 벼가 수일 내에 황화현상을 일으켜 고사하였다. 흰개미집이 조사지역 내에 1ha 당 평균 14개나 분포되어 있으며, 이를 시범포 전 면적에 살포될 경우 약 1.2cm의 객토효과가 기대된다. 주변 토양보다 pH, 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염기가 현저히 높고 특히 Ca함량이 2,900mg/kg이나 되었으며 주변에 비해 매우 양호한 식생상태를 보였다. 철분독성에 대한 내성은 전반적으로 한국품종에 비해 라이베리아 품종이 강하였으며, 한국품종은 한강찰벼가, 라이베리아 품종은 Nizersail과 Suakoko 8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 시범포에서는 이 품종들이 추천되었다. 분포면적 가중평균 삼투량은 8.3mm/day이고 침입량은 2~2.5mm/hr 토양투수성이 양호한 편이다.

  • PDF

북동(北東) 적도(赤道) 태평양(太平洋)(KONOD-1) 망간 단괴(団塊)의 은물조성(銀物組成), 화학분석(化學成分)과 성인(成因) (Mineralogy, Geochemistry, and Formation of Ferromanganese Nodules from the KONOD-1 Sit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강정극;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0-122
    • /
    • 1988
  • 해양연구소는 한국 해양학사상 처음으로 1983년 12월 북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리퍼톤균열대 (Clarion and Clipperton Fracture Zones) 사이에서 망간단괴와 망간각을 채취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해양조사선은 하와이대학의 KANA KEOKI호였다. 본 연구는 KONOD-1 지역에서 채취된 망간단괴와 망간각의 광물조성과 유용금속성분을 분석, 경호하였으며, 태평양 심해저 평원에서 보고된 망간만괴와 비교하였다. 한편 광물 및 금속함량을 기초하여 금속원소의 공급원과 망간단괴가 형성되는 원리를 해석하였다. 연구지역 망간단괴는 망간산화물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와 ${\delta}$-$MnO_2$로 그리고 망간각은 ${\delta}$-$MnO_2$로 조성되어 있다. 주요 금속성분의 평균함량은 Mn 21.4%, Fe 6.2%, Ni 0.9%, Cu 0.7%, 그리고 Co 0.2% 이며, 이 값은 클라리온과 클리퍼톤 균열대 지역에서 규질연니를 표층퇴적물로 하고 있는 심해저평원 망간만괴에서 보고된 값보다 적다. 그러나 망간단괴중 높은 Mn/Fe비 (평균 3.9, 최고 5.9)와 높은 Cu/Ni비 (평균 0.8, 최고 1.0)는 북태평양에서 속성작용으로 형성된 망간단괴와 일치한다. KONOD-1 지역 망간단괴의 화학적 특징은 두 종류로 대분되며, 각각의 특성은 망간단괴가 형성된 퇴적환경을 암시한다. 강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평원지역 규질연니의 현생 퇴적층위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약한 속성작용의 망간단괴는 심해저 구릉이 분포하는 지형, 즉 퇴적층이 균일하지 못한 환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 PDF

이락촌폐흡충 표피 미세구조의 발육단계별 변화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Paragonimus iloktsuenen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 이순형;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1989
  • 이락촌폐흡충(Paragonimus iloktsuenensis)의 성장 발육에 따른 표피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말똥게(Sesarma dehaani)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흰쥐 감염 후 5∼4주에 얻은 유약충 및 감염 8주에 얻은 성충을 대상으로 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은 작은 표주박 모양으로 전신이 상모양의 피극(tegumental spine)으로 덮혀 있었다.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large, non-ciliated round swelling)가 구흡반 주위에 11∼12개, 복흡반 주위에 6∼8개 배열되어 있었다. 감염 2주의 유약충은 홀쭉하고 긴 모양이었고 피극이 피낭유충 보다 덜 밀생하고 있었으며 피극 끝이 2개로 갈라진 것도 관찰되었다. 많은 제 I형 감각 유두 (ciliated knob-like papillae)가 구흡반 주위에 분포하며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복흡반 주위에서 관찰되었다. 감염 4주의 유약충은 몸체가 두꺼워졌고 표피에는 3∼5개씩 군집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구흡반 및 복홉반 주위에는 제 I형 감각 유두와 소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분포하고 있었다. 감염 8주 된 성충은 매우 두꺼운 몸체를 보였고 곰의 발톱처럼 생긴(bearfoot-like) 피극이 전신의 표피에 밀생하고 있었다. 특히 배측에는 자갈 모양의 세포 돌기(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 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고 많은 피극들이 여기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락촌폐흡충이 피낭유충에서 유약충 및 성충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표피의 형태 및 구조도 점차적으로 바뀌며 계속 분화되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경골어류 잉어과 Tiger barb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Tiger Barb, Cyprinidae, Teleostei)

  • 정한석;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63-168
    • /
    • 2011
  •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tiger barb (Puntius tetrazona Bleeker, 1855)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는 한 쌍으로 흰색의 장타원형(장축 2 cm, 단축 1 cm)이었으며,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의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매우 강하게 파란 색으로 염색되어 호염기성을 띠고 있었고, 핵막을 따라서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는 난세 포 세포질의 가장자리인 세포막 쪽에서 국한적으로 난황포들이 한 층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난막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매우 얇게 관찰되었고 인은 파란색으로 관찰되어 쉽게 구별되었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는 난황포 가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세포막에서 핵 쪽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포질의 hematoxylin 염색도는 많이 낮아졌으나 핵 주 위는 아직 염색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난막은 두꺼워졌다. 제2난 모세포는 제1난모세포 시기 때보다 더 난황포가 증식되어 세포 질 전체를 차지하고 있었다. 난자가 더 성숙함에 따라서 난황포 는 응축되어 난황괴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모든 난자형성과정중 에 유구(oil droplets)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