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대분포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발육단계별 충체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Payagonimus westermani by developmental stages using immunogoldlabeling method)

  • 임한종;김수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1-14
    • /
    • 1992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이 숙주의 폐조직 내에서 성숙하는 동안 숙주에게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의 폐흡충 충체조직내 분포하는 부위와 성숙하는 동안 숙주가 생성하는 항체의 면역반응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실험고양이에 감염시키고 발육단계 별 충체와 면역항체를 얻어 조직항원과 면역항체를 반응시켜 환금입자를 표지하였다. 황금입자가 표지된 조직 항원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황금입자의 밀도에 따라 조직성분의 항원성을 측정한 결과 감염군 면역항체를 반응시킨 경우 숙주체내에서 4 주 동안 성숙한 유약성충 조직항원은 표피충의 표피합포체에 높은 밀도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8 주 이상 성숙한 충체부터 조직항원은 표피충에 환금 입자의 표지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12 주 이상 성숙한 충체 표피층은 항원성이 미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2 주 이상 성숙한 충체는 난황세포의 구성물질들에 각각 항원성이 특이하게 나타나며 유연조직의 분비과립과 맹관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 물질들은 충체의 성숙정도에 상관없이 항원성을 포함하고, 숙주가 생성하는 항체는 감염 후 12 주부터 16 주사이에 항체생성이 극대 화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전남 여수시 안도섬에서 발견된 해오말의 유전학적 관계 연구 (Phylogenesis of Halophila ovalis (R. Br.) Hook. fil. (Hydrocharitaceae) from An Island, Korea)

  • 김정배;조은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59-763
    • /
    • 2008
  • 2007년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리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종 해오말은 지리적으로 열대부터 아열대까지 넓게 분포하는 식물로서 열매를 만든다. 잎의 모양은 계란형에 가깝고, 입꼭지는 견고하고 잎을 지지하고 있다. 뿌리는 불규칙적으로 뻗어있고, 뿌리 사이로 꽃이 형성되어 있다. 잎맥은 잎의 가장자리와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ITS1과 ITS2 부위은 한국산과 일본산 해오말은 100%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고 있으나, 5.8S에서 한국산 해오말은 202 bp에서 206 bp까지 4개의 염기가 삽입된 것이 보였다. ITS 부위에 대한 한국산 해오말은 일본산과 동일한 유전적 clade을 나타내었으나, 필리핀, 호주, 베트남, 말레이시아산 해오말과는 유전적 분리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산 해오말은 일본에서 gene flow로 된 것으로 추정되며, 아열대성인 해오말이 우리나라 연안에 나타난 것은 기후변동에 의한 수온상승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파브리시우스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ptospoyidium bnileyi infection on the bursa of Fabricius in chickens)

  • 이재구;김현철;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1-188
    • /
    • 1997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갉염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리 일환으로 파브리시우스낭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경시적으로 조사하고자 150마리의 2일령 SPF 병아리 (Drkalb-Warren, Sex-Sal-Link)에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 $5{\;}{\times}{\;}10^5$를 한 번에 경구투여하였타. 분변 속의 오오시스트 배설양상은 정상적이었으며. 파브리시우스낭 지수는 전 실험기간에 걸쳐 거의 변동이 없얹다 많은 수의 원충체가 접종 후 4-16일에 이 낭상피의 미세융또 가장자리에서 관찰되었으며 많은 수의 비만세포가 출현한 다음 원충체가 급격하게 소실하염다. 원충체의 분포상황과 상피 및 인접점막 고유층의 위호산구 침윤은 일치하였다. 이 병소는 상피. 인접 점막고유층의 위호산구 침율과 점만상피 증식을 동반한 미만성 만성 표재성 화농성 파브리시우스낭영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이었다 이러한 파브리시우스낭염은 면역억제를 유발할 건으로 생각된다.

  • PDF

열대 태평양 연승어업 대상 황다랑어와 눈다랑어 어장 분포의 해황 특성 (Oceanic Characteristics of Fishing Ground for Yellowfin and Bigeye Tunas Caught by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Tropical Pacific)

  • 양원석;조규대;문대연;고정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6-204
    • /
    • 2005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onnaterre) and bigeye tuna, Tunnus obesus (Lowe) in relation to oceanic conditions such as thermal structure produced during El Nino/La Nina episod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data sets for the catches and efforts from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and for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s from the NOAA during 1982-2002 in the tropical Pacific. The high density of fishing ground appeared in the western Pacific ($5^{\circ}N-5^{\circ}S,\;160^{\circ}E-180^{\circ}W$) for yellowfin tuna and in the eastern Pacific ($5^{\circ}N-15^{\circ}S,\;130^{\circ}W-100^{\circ}W$) for bigeye tuna. yellowfin and bigeye tuna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110-250 m layer and 245-312 m layer, respectively, in the western Pacific. However, in the eastern Pacific, they were mostly caught at the 116-161 m and 205-276 m layer for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respectively. It can be suggested that bigeye tuna be distributed in the deepest layer among tunas and show a vertical size stratification. It was observed that during the El Nino events the main fishing ground of yellowfin tuna shifted from the western Pacific toward the eastern Pacific. In the eastern Pacific which showed a higher density of bigeye tuna, the vulnerability of bigeye tuna caught by deep longline increased during the El Nino events due to deepening of thermocline layer and a more intensively distribution of the fish schools in the lower layer of thermocline during the El Nino events.

주사전자현징경 영상분석에 의한 Boophilus microplus 자충의 표면 미세구조 (Scanning Electi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ick Boophilus microplus (Canestrini, 1887) Female Specimens)

  • 강영배;장두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313-323
    • /
    • 1985
  • 우리나라 소와 양에 많이 기생 분포하고 있는 Boophilus microplus 진드기의 암놈 성충에 대한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해보고자 주사전자현미경(Model; SEM ISI-DS-130)을 사용하였으며, 영상관찰 및 사진분석 결과 얻어진 형태학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촉수는 길이보다 폭이 넓으며, 전후방으로는 단축되고, 배측방으로는 융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촉지에는 흔히 4쌍의 복내측 강모를 가지고 있다. 2. 치열에 있어서의 치식은 대부분 4/4로 표기 되지만 때때로 5/5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3. 구하편은 배방으로 향한 육각형 모양을 나타내며 잘 발달된 다공역을 볼 수 있다. 4. 자충 성충의 생식기 주변에 생식공을 향하여 펼쳐져 있는 지문양의 수많은 주름을 볼 수 있다. 5. 항문에 있어서는 잘 발달된 강모 1개씩을 가지고 있는 1쌍의 항문내엽을 특징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해수면온도의 ANOMALY에 상응하는 위성관측자료로부터 도출한 열대수증기 RESPONSE (Tropical Misture Response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s Corresponding to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 Hyo-Sang Chung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1993
  • 해수면 온도의 positive anomaly가 주로 나타나는 구역은 대기중 습기 유입이 많은 구역분만 아니라 아열대 지역의 하강 운동이 일어나는 구역의 부근에서도 나타난다. 대기중 수증기의 유입은 SST anomaly에 따라 많아지기 때문에 해수면 온도의 증가는 대기를 불안정하게 하며 습윤 공기의 발달을 촉진하는 습윤 단열한 불안정상태를 초래한다. 태평양상에서 4.0K 의SST 변화는 동태평양과 중앙태평양상에서 TOVS 수증기 채널들에 의해 관측된 휘도 온도의 10.0 K 만큰의 양의 차이를 보였으며, 적도를 따라 남태평양상의 남동쪽과 남쪽으로는 휘도 온도가 7.5 K 만큼 음의 차이를 보였다. 엘니뇨와 비엘리뇨 기간을 비교하면 중대류권 고도에서 수증기 분포를 나타내는 TOVS 적외선 채널 $11(7.3{\mu}m)$$12(6.7{\mu}m)$의 휘도 온도 차이는 태평양상에서 습윤 공기와 관련한 전대류권 순환과 역학 과정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유약함충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the young adult worm of Paragonimus westermani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권오성;이준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1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에 감염된 숙주에 대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분포하고 있는 부위를 화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IgG와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의 특이 IgG를 폐흡충 유약성충 조직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IgG를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층은 표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포함된 표피 합포체로 구성되어 기저층과 분명하게 구별되었으며 근육층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난황세포는 크기가 다양한 분비과립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조면소포체가 발달되어 있었다. 맹관의 막구조물은 잘 발달되었으며 장상피 합포체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한펀, 폐흡충에 감염된 실험동물의 특이 항체로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의 세포질에 황금입자의 매우 특이적인 표식가 관찰되었고 난황세포에서는 분필과립에 황금 입자가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맹관 상피 합포체는 미약하게 황금 표지가 되었고 맹관 막구조물과 맹관 내강에도 특이하게 황금 표지가 관찰되었지만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보다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는 폐흡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과 난황세포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형성되며 일부는 맹관 내용물에 의해 약간의 면역항체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의 우리 나라 첫 유행지 발견 보고 (The first discovery of an endemic focus of Heterophyes nocens (Heterophyidae) infection in Korea)

  • 채종일;남형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57-162
    • /
    • 1994
  • 전라남도 신안군 도서지역의 한 작은 해안 마을이 유해이형흡충(Heterophyes nocens)의 농후한 인체 감염 유행지임이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1989년부터 1990년에 걸쳐 마을 주민 230명 중 98명의 대변을 수집하여 셀로판후층도말법 및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을 병행하여 검사한 바 이형홉충류(heterophylds) 충란이 42명(42.9%)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충란만으로는 이형흡충류의 종(species)을 진단할 수 없어 충란 양성자들에 대해 praziquantel 10mg/kg과 하제를 투여한 후 설사변으로부터 성충을 회수하였다. 충란 양성 자 42명 중 프라지콴텔 및 하제 투여에 협력한 18명 전원으로부터 충체 회수를 완료할 수 있었고, 유해이형흡충 충체 1-1, 124마리(총 4,730마리)를 수집할 수 있었다. 감염자들은 대부 분 다른 이형흡충류(Pygidiopsts summa, Stictodora fuscatum 등) 및 큰입흡충류 (gymnophallid) 특히 Gymnophalloides seoi에 중복 감염되어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유해이형흡충은 중간숙주인 숭어. 문절망둑 등을 즐겨 생식하고 있는 우리 나라 남 해안 및 서해안의 해안 마을에 널리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CMIP6 기반 전지구 기온상승에 따른 아시아 지역 기후대 변화분석 (Analysis on Climate Zone Shifts over Asia under Global Warming using CMIP6 Projections)

  • 김정배;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37
    • /
    • 2021
  • 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 인구의 60%가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 내에는 다양한 기후대가 혼재되어 있다. 통상, 기후대는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 및 가용 수자원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지역의 기후변동성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급격한 기후대 이동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AR6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전지구 기온상승에 따른 아시아 지역의 기후대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CMIP6 GCMs 및 공유사회경제경로(SSP1-2.6 및 SSP5-8.5)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앙상블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산출하였다. 관측 및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화 이전 대비 미래 전지구 기온상승(1.5℃~5.0℃) 특성을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상세화하고, 쾨펜 기후구분법을 적용하여 기후특성에 따라 기후대를 구분하였다. 이후, 개별 전지구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아시아 지역의 기후대 분포 및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아시아 지역 전반에서 기후대 변화가 가속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모든 SSPs 및 GCMs 시나리오 하에서 동일하였다. 전지구 기온 상승폭은 SSP1-2.6 대비 SSP5-8.5 시나리오 하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1.5℃ 및 2.0℃ 기온상승 조건에 도달하는 시기도 SSP5-8.5 시나리오에서 현저히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후대 이동이 나타나는 지역은 전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 (SSP5-8.5)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변화량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동일한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는 SSP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기후대 변화 면적 및 공간적 변화패턴이 유사하였다. 기온상승에 따라 아시아 지역 내 열대기후와 건조기후 지역은 확대되는 반면, 온대 및 한랭, 극기후 지역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지구 기온상승 조건 별 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대 변화특성은 지역별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mblyomma testudinarium 진드기의 국내발견기록(國內發見記錄), 종속동정(種屬同定) 및 웅충(雄蟲)에 대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재기술(再記述) (Amblyomma testudinarium Koch, 1844: Discovery and Record in Korea, and Identification and Redescription of Male Tick)

  • 강영배;서명덕;김용희;변시열;임희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5-72
    • /
    • 1981
  • 인디아, 스리랑카, 버마, 타일랜드, 말레이지아, 인도차이나, 필리핀, 타이완 그리고 일본(日本)에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바 있는 Amblyomma testudinarium Kcoh, 1844 진드기가 금번(今番)에 우리 나라에서도 처음으로 발견(發見) 되었기에 보고(報告)한다. 제주시(濟州市)로부터 동남방(東南方) 24km 떨어진 지역(地域)인 북제주군 조천면 교래리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대원목장(牧場)에서 사육중(飼育中)인 홀스타인 육우(乳牛)로부터 채취(採取)된 미포혈(未飽血) 상태(狀態)의 웅충(雄蟲) 1마리를 검사재료(檢査材料)로하여 종속동정(種屬同定)을 하여 본 결과(結果), Amblyomma testudinarium 진드기로 밝히어 졌으며, 이에 그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을 기술(記述)하여 보고(報告)한다. 경(硬)진드기류(類)에 속(屬)하는 Amblyomma 진드기의 국내서식(國內棲息)이 확인(確認)됨에 따라, 국내(國內)에서 발견(發見) 보고(報告)된 진드기의 종류(種類)는 경(軟)진드기인 Argas속(屬), 그리고 경(硬)진드기인 Boophilus속(屬), Dermacentor속(屬), Haemaphysalis속(屬), Hyalomma속(屬), Ixodes속(屬) 등, 경(軟)진드기류(類) 1속(屬), 경(硬)진드기류(類) 6속(屬), 도합(都合) 7속(屬) 18종(種)이 기록(記錄) 되었으며, 지리적(地理的)으로 볼 때, A. testudinarium 진드기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우리 나라가 동남아세아(東南亞細亞)와 일본(日本)을 연결(連結)해 주는 교량적(橋梁的) 위치(位置)에 놓여 있다는 점(點)과 제주도(濟州道)의 자연환경(自然環境)과 기후조건(氣候條件)은 열대(熱帶) 또는 아열대(亞熱帶) 지역(地域)의 진드기 서식(棲息)에도 적합(適合)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