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근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에서 레이저와 단극성 전기소작기를 이용한 갑상피열근신경 절제술 1예 (A Case of Thyroarytenoid Myoneurectomy Using LASER and Monopolar Electrical Device in Spasmodic Dysphonia)

  • 이소정;정수연;정성민;김한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2-135
    • /
    • 2019
  • Spasmodic dysphonia is a focal laryngeal dystonia that results in involuntary spasms during speech. The etiology of spasmodic dysphonia is not yet defined, but it is presumed to be a neurological abnormality of central nervous system motor function.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pasmodic dysphonia is botulinum toxin injection directly at the laryngeal muscles. However botulinum toxin injection requires repeated procedures. Many different kinds of surgical treatments have been introduced but the recurrence rate is still high. So we performed myomectomy with LASER and neurectomy with specially designed electrical surgical knife which can cut recurrent laryngeal nerve branch selectively with its noble curved section. We report a case of a 43-year-old male patient with spasmodic dysphonia treated by thyroarytenoid myoneurectomy.

생체 발성 모형에서 갑상피열근과 윤상갑상근의 기본주파수 조절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Fundamental Frequency Control Between Thyroarytenoid Muscle and Cricothyroid Muscle: In Vivo Canine Model)

  • 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0-70
    • /
    • 1993
  • 발성시 기본주파수의 조절은 윤상갑상근과 갑상피열근의 적절한 수축 작용에 의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윤상갑상근의 기능은 자세히 알려져 있는데 반하여, 갑상피열근의 기능은 현재까지 생체 발성 모형이 개발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었기에, 저자들은 갑상피열근 기능 검사를 위한 생체 발성 모형을 고안하였다. 개의 갑상연골에 창문을 만들어서, 반회신경의 마지막 분지인 갑상피열 분지를 확인, 절단하고 전극으로 자극하도록 하였다. 유발된 음성에 대한 갑상피열근 수축의 효과는 성역의 결정에 중요한 결정 요소로 작용되며, 가성 (falsetto) 영역에서 갑상피열근의 수축은 기본주파수 하강을 초래하고, 지성 (modal) 영역에서는 반대로 기본주파수가 상승되었다. 한편, 갑상피열근의 자극에 따라 성문하압은 증가되고 성문개대율 (OQ) 은 감소되었다.

  • PDF

제주 지방에서 당근 재배품종의 특성평가 (Evaluation of Commercial Varieties of Carrot in Jeju Island)

  • 박용봉;김용덕;문정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4-148
    • /
    • 2002
  • 국내산 ‘하파’외 4품종과 일본산 ‘Kaneko외 9품종을 2000년 8월 2일에 일반농가포장에 파종하였다. 국내산과 일본산 비교 재배하여 이 지역에 가장 적합하고 우수한 품질의 당근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장, 엽수 및 엽중은 국내산인 경우 고정종인 ‘중앙’이 각각 60.7 cm, 9.3매, 72.9 g로 가장 우수하였고 교배종에서는 ‘부러운’이 각각 60.3 cm, 8.9매, 65.42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산중 근경, 근장 및 근중은 교배종, 고정종 모두에서 ‘비바리’가 52mm, 15.7cm, 275 g으로 우수하였으며 일본산인 경우 교배종은 ‘Sei’이 56 mm, 14.6 cm, 319 g으로 양호하였고 고정종은 ‘Tokai’가 가장 우수하였다. 상품수량은 국·내산에서 ‘하파’(5,472 kg/10a), 일본산은 ‘Kaneko’(5,736 kg/10a)가 가장 높았고 그 외의 품종들은 국내외산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열근의 발생율은 ‘부러운’이 15%정도로 높았고 고정종인 ‘중앙’이 10% 정도였다. 기근 발생율은 ‘Hidomi’가 9%로 가장 높았고 ‘Sei’과 ‘Tokai’순으로 각각 2%, 6%로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당근의 주요 상품성을 결정하는 기근과 열근의 발생율은 국내산보다 일본산이 높아 앞으로 재배법을 좀 더 개발하면 국내산 품종이 더 제주지역의 재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생육단계별 배양액농도가 비트(Beta vulgaris L. cv. Detroi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Concentrations for Each Growing Stages on Beet(Beta vulgaris L. cv. Detroit) Growth)

  • 박권우;강호민;박용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8-144
    • /
    • 1996
  • 비트 재배에 알맞은 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근비대기 개시기(직경 1cm 정도)전후에 양액 농도가 생육과 몇 가지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amazaki 상추 용액을 근비대기 전에 0.5, 1, 2, 4배, 그리고 각각을 근비대 시작 후에 0.5, 1, 2, 4배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뿌리의 무게는 초기 0.5, 1, 2배액의 경우에 후기에 4배액 처리가 좋았다. 그러나 후기 4배액 처리구에서는 뿌리의 바람들이와 열근율이 높았다. 비타민 C는 근비대 후기에 너무 높거나 낮은 농도 처리 시 낮았다. 그러나 bataxanthin과 batacyanin은 비대기 전 농도에 관계없이 후기 처리 농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따라서 비트에 가장 알맞은 농도는 초기에 1-2배액, 후기에 2배액을 쓰는 것이 좋다고 본다.

  • PDF

난치성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에서 갑상피열근 절제술 및 선택적 반회후두신경 절제술 1예: 장기 추적 관찰 (A Case of Thyroarytenoid Myectomy with Selec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Section in Intractable Spasmodic Dysphonia: A Long-Term Follow-Up)

  • 이윤지;안유영;박기남;이승원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38
    • /
    • 2020
  • Spasmodic dysphonia is a disease presumed to be a form of focal laryngeal dystonia. The widely used first-line treatment is botulinum toxin injection to the thyroarytenoid muscles. In spite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is method, it has a temporary effect that lasts only several months, resulting the patients' symptom fluctuating, called 'Botox rollercoaster.' Some surgical techniques had tried, but they had shown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high rate of recurrence. We tried thyroarytenoid myectomy with selective recurrent laryngeal nerve section in a patient with intractable spasmodic dysphonia. This procedure is an alternative treatment of spasmodic dysphonia to prevent recurrence and improve symptoms. During five years of follow-up, she has shown steady quality voice without any complica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ment, this is the longest follow-up case of this operation in South Korea.

피열근에서 상후두신경에 의한 운동신경 지배

  • 김영모;조정일;한창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7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8-118
    • /
    • 1997
  • 갑상피열근이나 피열근에 대하여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이중지배(dual supply)는 오랜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피열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반회후두신경의 피열분지에 의해 지배되며 또한 상후두 신경의 내지의 일부인 ramus preforantes에 의해서도 이중지배를 받는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피열근의 운동신경지배 중 상후두신경의 역할에 대해서 적지않은 보고가 후두의 신경해부학적인 고찰 및 전기적 자극을 통한 연구에서 단지 피열근 근처에서 twig을 형성할 뿐, 직접적인 운동지배 현상은 보이지않음을 입증하여 피열근은 오직 반회후두신경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운동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저자는 양측 반회후두신경을 절단한 개 모델에서 피열근에 대하여 HRP 역행성 착색법 후 뇌간에서 살펴본 결과 후두의 운동신경원인의 핵에서 양성으로 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후두신경의 내지에 대하여 운동신경섬유의 표식자로 여겨질 수 있는 Cholineacetyl transferase(CHAT) 면역염색을 시행한 결과 피열근의 운동신경에 상후두신경이 괸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피열근에서 상후두신경에 의한 운동신경 지배 (Motor Innervation of IA Muscle by SLN : HRP Study)

  • 김영모;조정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6년도 제6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95-95
    • /
    • 1996
  • 후두근의 운동지배신경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은 윤상갑상근이 상후두신경의 의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 외에는 모든 후두내근이 반회후두신경에 의하여 지배된다는 것이다. 이중에서 갑상피열근이나 피열근에 대하여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이중지배(dual supply)는 오랜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피열근에 분포하는 신경은 반회후두신경의 피열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며 또한 상후두신경의 내지의 일부인 ramus porforantes에 의해서도 이중지배를 받는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피열근의 운동신경지배 중 상후두신경의 역할에 대해서 적지 않은 보고가 후두의 신경해부학적인 고찰 및 전기적 자극을 통한 연구에서 단지 피열근 근처에서 twig을 형성할 뿐, 직접적인 운동지배 현상은 보이지 않음을 입증하여 피열근은 오직 반회후두신경에 의하여 운동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중략)

  • PDF

야콘 유전자원 농업적 특성과 품질특성 정보 구축 (Construction of Data System on Agricultural Traits and Functional Component in Yacon Germplasms)

  • 김수정;남정환;김도연;김도연;박수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6-26
    • /
    • 2023
  • 포스트 코로나 이후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전환으로 건강먹거리인 야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야콘은 남미 안데스에서 도입된지 40여년 되었으며 달콤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을 가져 생식용과 야콘즙으로 인기있으나 현재 국내 육종된 품종이 없다. 따라서, 다양한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자원에 대한 평가를 통해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5개 자원을 대상으로 초장, 엽수, 줄기수, 생체중, 관아수량, 괴근수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RDA, 2012) 준하였다. 야콘 유전자원의 지상부 특성 결과, 초장이 92-127cm 범위를 보였으며, 줄기수는 8-12개, 경엽중은 1,433-2,855kg, 엽수는 152-195개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유전자원별 지하부 특성을 살펴보면, 유전자 원별 HY1이 관아수가 가장 많고, 관아수량도 352/10a으로 가장 무거웠다. 괴근수량을 살펴보면, HYL2가 총수량이 5,197 kg/10a, 상품수량이 4,213 kg/10a으로로 가장 많았으며, HYL3, HYL4, HYL5, HYL1 순이었다. 유전자원의 생리장해 결과를 조사한 결과, 열근 및 부패발생은 HYL1이 가장 심하였으며, HLY5가 상대적으로 약했다. 유전자원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당도는 HYL5가 12.5로 가장 높았으며, HYL1이 8.7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야콘의 인공교배 단계에서부터 육종프로그램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