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평균강우량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stimation of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소수력 자원량 산정과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 Heo, June-Ho;Park, Wan-Soon;Yun, Jung-Hwan;Jeong, Sa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2
    • /
    • pp.103-110
    • /
    • 2010
  • Small hydropower is one of the many typ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hich South Korea is planning to develop, as the country is abundant in endowed resources. In order to fully utilize small hydropower resources, there is a need for greater precision in quantifying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energy sources can be discovered using the small hydropow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has given greater precision to calculating annual electricity generation and installed capacity of small hydropower plants of 840 standard basins by inquiring into average annual rainfall, basin area and runoff coefficient, which is anticipated to promote small hydropower resources utilization. Small hydropow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also established by additionally providing base information on quantified small hydropower resources and analysis function and small hydropower generator status, rivers, basin, rainfall gauging station, water level gauging station etc., all of which were not provided by the domestic hydropower Resources Map System. Established GIS small hydropower energy system can be used to basic information for active uses of small hydropower energy which is scattered to the entire country.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 Chung, Il-Moon;Kim, Nam-Won;Kim, Ji-Tae;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Jangseong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Kim, Youn Jung;Park, Seunghyuk;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1-301
    • /
    • 2015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장성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장성군을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광주, 정읍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장성군을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5년~2013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3.0%,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19.5%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3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장성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장성군 평균 함양률은 20.3%로 산정되었다.

  • PDF

Empirical equation for estimating specific sediment of the multipurpose dams in Korea (국내 주요 다목적댐의 비퇴사량 산정을 위한 경험공식)

  • Lee, Jinwook;Paik, Kyungroc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12-427
    • /
    • 2016
  • 댐의 건설은 자연하천에서 퇴적과 침식의 유사 순환과정에 영향을 주고 저수지 퇴사(reservoir sedimentation)를 야기한다. 이러한 현상은 댐의 건설 이후 장기간 축적되면서 이수와 취수에 대한 영향을 가져오기 때문에 댐 관리와 설계를 위해 정확한 추정이 필요하다. 퇴사량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실측자료를 방법과 실제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경험공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주로 경험 공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규모 다목적댐에 적합한 비퇴사량 산정 경험 공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공식을 조사 및 검토하여 비퇴사량에 영향을 미칠 만한 여러 인자들을 선정하였다. 총 8개 국내 대규모 다목적댐의 비퇴사량 자료와 제원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인 식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 다목적댐의 비퇴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연평균 강우량(P, mm),연평균 유입량(I, cms), 유역 평균경사(S, %),저수지 길이(L, km),저수용량/유역면적(C/A, $m^3/km^2$)을 채택하였으며,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비퇴사량과 실측 비퇴사량의 상관계수와 결정계수는 각각 0.985, 0.970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다중 공선성 분석에서도 모두 일반적인 기준치를 범위 안에 존재함을 확인하면서, 선정된 독립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허나, 가용 자료의 부족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여전히 한계점이 존재한다. 충분한 비퇴사량 실측 자료가 구축된다면, 보다 신뢰도 높고 발전된 형태의 경험 공식의 제안이 가능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Gimcheon region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Park, Seunghyuk;Chang, Sun Woo;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0-410
    • /
    • 2017
  •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김천시를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9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구미, 추풍령, 거창, 상주 기상관측소와 김천, 지례, 부항1, 부항2, 선산 강우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및 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시를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8년~2015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1.2%, 증발산률은 36.3%, 함양률은 18.0%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9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김천시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김천시 평균 함양률은 18.2%로 산정되었다.

  • PDF

Planning for Securing Instreamflow of Gapcheon Stream in Daejeon (대전 갑천의 유지유량 확보 방안)

  • Noh, Jae-K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6 no.1
    • /
    • pp.87-98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ing instream flow at Gapcheon stream of Daejeon city by considering two virtual reservoirs upstream, respectively; Geum-gok reservoir and Koe-gok reservoir upstream, respectively. The paralleled and cascaded reservoir operations were performed including the existing Jang-an and Bang-dong reservoi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Bang-dong and Geum-gok cascad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instream flow of $6.83Mm^3$ was able to be supplied to downstream, and water supply indexes of Geum-gok reservoir were analyzed to have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watershed area of 403.4 mm,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rainfall of 33.0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inflow of 96.4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81.9 %, and the rate of inflow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112.3 %. Secondly, from the Jang-an and Geum-gok parallel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flow durations at Gapcheon station were analyzed to have Q95 (the 95th high flow) of $4.806m^3/s$, Q185 (the 185th high flow) of $2.217m^3/s$, Q275 (the 275th high flow) of $1.140m^3/s$, and Q355 (the 355th high flow) of $0.887m^3/s$. Thirdly, inflow to Koe-gok reservoir was simulated including the Jang-an and Bang-dong parallel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instream flow of $49.60Mm^3$ was able to be supplied from Koe-gok reservoir to downstream, and water supply indexes of Koe-gok reservoir were analyzed to have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watershed area of 246.5 mm,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rainfall of 19.4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inflow of 40.8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412.1 %, and the rate of inflow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1,189.8 %. Fourthly, daily streamflows at Gapcheon stream were simulated including outflows from Koe-gok reservoir, flow durations at Gapcheon station were analyzed to have Q95 (the 95th high flow) of $4.501m^3/s$, Q185 (the 185th high flow) of $2.277m^3/s$, Q275 (the 275th high flow) of $1.743m^3/s$, and Q355 (the 355th high flow) of $1.564m^3/s$. The conclusion appear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instream flow at Gapcheon stream from Koe-gok reservoir was more higher than that from Geum-gok reservoir.

  • PDF

Simulation of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제주도 하천의 SWAT모형의 적용)

  • Han, Woong-Ku;Yang, Sung-Kee;Jung, Woo-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40-1243
    • /
    • 2008
  • 제주도는 연평균 강우량이 1,975mm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총 강우량의 48.5%에 이르는 빗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대부분의 하천들은 건천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의 143개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전 하천들은 건천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주요하천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143개 하천 중 제주도 동부유역의 천미천과 북부유역의 외도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수문 기상자료(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Wind Speed, Climate, Humidity)와 지형자료(DEM(Digital Elevation Model),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위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실측 유출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유출 모의를 하였고, 유출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문관련 매개변수들의 민감도 분석을 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천미천 외도천의 유출모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제주도에 필요한 연구결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제주도 하천에 대하여 SWAT모형을 적용한 결과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향후 많은 보다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Location Benefit Analysis According to Flood Safety Increase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이용고도화 효과 분석)

  • Lee, Jin Ouk;Choi, Seung An;Kim, Hung Soo;Shim, Myu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77-783
    • /
    • 2004
  • 하천 세내지 주변은 급속한 시가지 조성과 인구밀집으로 유역의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도달시간이 짧아지고 홍수유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엘리뇨${\cdot}$라니냐 등의 이상기후로 홍수사상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면서 홍수피해도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치수사업은 다른 공공사업에 비해 경제성이 저평가 되어 투자우선순위가 밀려 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예방적 차원의 대책도 미흡하여 피해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인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치수경제성 분석에 있어 계량화하지 못하고 있는 자산이용고도화 효과를 치수안전도와 더불어 분석하고자 한다. 자산이용고도화는 치수사업 시행으로 해당지역의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가치의 상승을 말하는데, 특정지역의 자산가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시지가를 근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수사업 시행으로 인한 편익과 하천 특성에 따른 지가변동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지를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면, 자산가치의 상승을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로 나타내었다.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 잠재성과 홍수방어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홍수피해 잠재성은 도시화율에 따라 구분하였고, 홍수방어능력은 홍수량의 빈도해석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조건부 비초과확률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도시 지역(경안천, 복하천, 청미천)을 대상으로 200년 빈도의 홍수사상에 내해 10년, 50년 설계빈도로 건설된 제방의 조건부 비초과확률을 산정하여 지가변동률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조건부 비초과확률이 $10\%$ 상승했을 때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이 5배정도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다시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예측결과의 오차가 완전하게 보정되지 않으면 다음 결과에 역시 오차를 주게 되어 오차보정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퍼지제어에 사용되는 퍼지규칙의 수를 늘리고, 유입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우량과 연계한 2변수의 Fuzzy-Grey 모형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

  • PDF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oil Loss by Runoff at Inclined Upland of Maize Cultivation (옥수수 재배 경사지 밭에서 물 유출에 따른 토양유실 예측 공식)

  • Hur, Seung-Oh;Jung, Kang-Ho;Ha, Sang-Keon;Kwak, Han-Kang;Kim, Jeong-G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2
    • /
    • pp.66-71
    • /
    • 2005
  • Soil loss into stream and river by runoff shall be considere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s national land con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al equation to predict soil loss from inclined uplands of maize cultivation due to the runoff by rainfall which mainly converges on July and August. Soil loss was concentrated on May because of low canopy over an entire field in 2002 and on June and July because of heavy rainfall in 2003.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runoff and soil loss can be represented by a linear equation of y =1.5291x - 3.4933, where y is runoff ($Mg\;ha^{-1}$) and x is soil loss ($kg\;ha^{-1}$).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his equation was 0.839 (P<0.001). Therefore, the mathematical equation derived from the practical experiment at the inclined upland can be applicable to predict soil loss accompanied by runoff due to periodic rainfall converging on short periods within a couple of months.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at Pinus taeda and Pinus densiflora stands (테다소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

  • Min, Hong-Jin;Woo, Bo-M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4 no.4
    • /
    • pp.502-516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roughfall, stemflow, interception loss and net rainfall in relation to rainfall interception,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interception process at Pinus taeda stand and Pinus densiflora stand in the Research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Choosan, Kwangyang, Chollanamdo. 1. The gross rainfall during the period of field observation was 3,107.6mm(average 1,035.9mm/year). Most of the daily rainfall intensity was under 30mm, which was 90% in 1992, 81% in 1993 and 88% in 1994. 2. In this study the throughfall, stemflow, interception loss and net rainfall were expressed separately as a function of gross rainfall. The overall throughfall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field observation was 2,432.5mm(78.3%) at Pinus taeda stand and 2,699.6mm at Pinus densiflora stand, out of total rainfall of 3107.6mm. The canopy storage capacity, which was determined by the prediction equation between gross rainfall and throughfall was 1.1mm at Pinus taeda stand and 1.3mm at Pinus densiflora stand. 3. The sums of stemflow from measurement of total rainfall at Pinus taeda stand and Pinus densiflora stand was 227.3mm(7.3%) and 62.7mm(2.0%), respectively. The minimum rainfall causing stemflow was estimated as 7.2mm at Pinus taeda stand and 1.9mm at Pinus densiflora stand. 4. Interception loss accounted for 447.8mm(14.4%) at Pinus taeda stand and 345.3mm(11.1%) at Pinus densiflorra stand. 5. Net rainfall was 2,659.8mm(85.6%) at Pinus taeda stand and 2,762.3mm(88.9%) at Pinus densiflora stand. 6. The rate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ross rainfall. However, the amounts of throughfall and the stemflow were constant above 30mm at Pinus taeda stand and 50mm at Pinus densiflora stand. The rates of interception los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gross rainfall. However, the amount of interception loss was constant above 50mm at Pinus taeda stand and Pinus densiflora sta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