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최대홍수계열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Probability Flood Discharge (확률홍수량 산정에 관한 방법론적 비교연구)

  • Yoon, Sun-Kwon;Oh, Tae-Suk;Moon, Young-Il;Kye, De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17-1021
    • /
    • 2009
  • 일반적인 설계 홍수량 산정 절차는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유역의 수문자료 중 홍수량 자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강우빈도해석을 실시하고, 만약 홍수량 자료가 존재한다면 유출을 통계분석하여 홍수빈도 해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1999$^{\sim}$2008년까지 수위-유량 관측을 실시하여 유출자료를 비교적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서울시 관내 지방하천인 우이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작성하여 과거 호우사상을 토대로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으며, 최적화된 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청관할 서울지점 시간강우관측 자료를 입력 자료로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모의된 홍수량계열과 관측유량계열을 사용하여 연최대홍수계열을 구축한 후 홍수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확률강우량-단위도' 방법에 비하여 불확실성이 제거된 확률홍수량 추정치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Peak Flow in Ungaged Watershed from Daily Flow (일유량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유역의 첨두홍수량 추정)

  • Lee, Jeong Eun;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1-401
    • /
    • 2017
  • 일반적으로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시단위의 연최대홍수량 계열을 이용하여, 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기록기간을 가진 양질의 시유량 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외에서는 최근에도 일유량 자료로부터 첨두유량을 추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구분되어진다. 첫 번째는 유역 특성인자를 이용하여 일유량과 첨두유량의 관계를 도출하는 방법이며, 두 번째는 연속 일유량으로부터 첨두유량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유량으로부터 첨두유량을 추정하는 방법론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실제 국내 다목적댐 유역의 연최대 홍수사상을 중심으로 일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추정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대부분 일단위 기반인 장기유출모형의 홍수빈도분석을 위한 자료확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홍수빈도 측면에서 일단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장기유출모형 결과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design flood derived b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금강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 Da Ye Kim;Seung Jin M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4-104
    • /
    • 2023
  • 최근 2017년 청주, 천안의 홍수, 2020년 용담댐 상류와 대청댐 상류의 홍수, 2022년 청주의 도시침수를 비롯한 서울 도심의 침수피해와 같은 홍수 발생은 지역의 국민들에게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히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치수의 목적을 달성하고 경제적으로 적절한 규모의 수리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 하천의 주요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설계홍수량의 제시는 반드시 필요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특히 해당 지점의 수리시설물은 점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적용하나, 관측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점에 위치한 수리시설물은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홍수량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한 수위관측소의 선정은 금강유역 80개 수위관측소 중 장기간 연최대홍수량 자료가 있고 유량자료의 연결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46개수위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46개 수위관측소의 연최대홍수량 계열을 대상으로 동질성, 독립성 및 이상치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세 가지 검정 모두 적절한 수위 관측소 지점은 36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36개 수위관측소의 기본통계치(평균, 표준편차, 분산, 왜곡도 및 첨예도)를 산정한 후 3변수 Gamma 분포 계열인 GEV, GLO, GPA의 확률 분포를 적용하였다. 확률 분포별 매개변수는 전산화를 통해 L-모멘트의 차수를 0~4까지 변화시켜 LH-모멘트법에 적용하였다. LH-모멘트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 분포들의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지역빈도분석을 위해 36개 수위관측소를 K-Means clustering 방법을 통해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LH-모멘트의 적정차수와 확률 분포에 따른 점빈도분석(지점 대상)과 지역빈도분석(지역 대상) 결과인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으며,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홍수량간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리구조물 설계 시 안정적인 조건 제시 및 관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방재대책 수립 시 경제·사회적 요소를 반영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probabilistic flood at Ungauged Locations by development of index flood frequency curves (지표홍수 빈도곡선의 개발에 의한 미 계측지점의 확률 홍수량 추정)

  • Yoon, Yong-Nam;Shin, Chang-Kun;Jang, Su-Hy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52-105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홍수량 실측지점의 연최대 홍수량 자료 계열을 빈도 분석하여 지표 홍수량 빈도 곡선을 작성하고, 연 평균 홍수량과 유역 특성 인자간의 상관관계식을 유도하여 미계측 지점의 연평균 홍수량에 상응하는 확률 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대상유역은 홍수자료가 풍부하고 신뢰성 있는 한강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역의 홍수량은 댐 건설로 인하여 댐 건설 이전의 홍수량에 비하여 줄어들기 때문에 실측 유량자료의 빈도해석을 통한 홍수량 산정시에는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 건설의 영향으로 유역의 조건이 변경됨에 따라 유량자료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한강유역의 홍수빈도 분석시 최적 확률분포형은 Gumbel 분포형으로 채택되었으며, 비 확률홍수빈도곡선을 작성한 결과 유역면적가 단위홍수량 상관성은 0.83정도로 모두 상관성을 보였으며, 지점별 주요지형인자와 연평균홍수량은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연평균홍수량과 주요지형인자간의 회귀분석을 동하여 산정된 홍수량과 기존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수록되어 있는 계획홍수량을 비교검토 하였다.

  • PDF

Point Frequency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Design Flood at Indogyo Site (한강 인도교 지점의 계획홍수량 산정을 위한 지점빈도해석)

  • Yun, Yong-Nam;Won, Seok-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4
    • /
    • pp.469-481
    • /
    • 1998
  • A point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for the Indogyo site at the Han river using 68 annual maximun flood data for the period of 1918-1992. Computed frequency discharges using the three parameter log-normal, type-I extreme value, type-III extreme value, and Pearson type-III computed as 35,500 m3/sec and 39,000 m3/sec, respectively, 33,500 m3/sec and 37,500 m3/sec of corresponding return periods are computed when the flood control effect of the dams are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ing flood discharge of 37,500 m3/sec is similar to the current design flood of 37,000 m3/sec in downstream reach of Han river, so, it could be desirable to keep the the current design flood, considering the increasing tendency of the flood due to the climate change. Keywords : frequency analysis, flood discharge, Han river.

  • PDF

The Statistical Model for Predicting Flood Frequency (홍수 빈도 예측을 위한 통계학적 모형)

  • 노재식;이길춘
    • Water for future
    • /
    • v.25 no.2
    • /
    • pp.89-97
    • /
    • 1992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statistical models for predicting flood frequency at the stage gaging stations selected by considering whether the flow is natural condition in the Han River basin. From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is statistical flood frequency models showed that is fairly reasonable to apply in practice, and also were compared with sampling variance to calibrate the statistical dfficiency of the estimate of the T year flood Q(T) by two different flood frequency models. As a result, it was showed that for return periods greater than about T=10 years the annual exceedence series estimate of Q(T) has smaller sampling variance than the annual maximum series estimate. It was showed that for the range of return periods the partial duration series estimate of Q(T) has smaller sampling varianed than the annual maximum series estimate only if the POT model contains at least 2N(N:record length)items or more in order to estimate Q(T) more efficiently than the ANNMAX model.

  • PDF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in Flood Flow by Changing Order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확률가중모멘트의 차수 변화에 따른 홍수량 변동 특성 분석)

  • Maeng, Seung-Jin;Hwang, Ju-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5
    • /
    • pp.1009-1019
    • /
    • 2009
  • In this research, various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design flood have been examined by deriving appropriate design flood, using data obtained from careful observation of actual floods occurring in selected main watersheds of the nation. 19 watersheds were selected for research in Korea.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nual rainfall were analyzed by using a moving average method. The frequency analysis was decided to be performed on the annual maximum flood of succeeding one year as a reference year. For the 19 watersheds, tests of basic statistics, independent, homogeneity, and outlier were calculated per period of annual maximum flood series. By performing a test using the LH-moment ratio diagram and the Kolmogorov-Smirnov (K-S) test, among applied distributions of Gumbel (GUM),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eneralized Logistic (GLO) and Generalized Pareto (GPA)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adequate compared with other probability distributions. Parameters of GEV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y L, L1, L2, L3 and L4-moment method based on the change in the order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Design floods per watershed and the periods of annual maximum flood series were derived by GEV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performed by using variation rate used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time for changing the design conditions to ensure the proper hydraulic structure that considers recent climate changes of the nation brought about by global warming should be around the year 2002.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a Development of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of River Floods (하천홍수량의 지역화 회귀모형개발을 위한 지역빈도해석)

  • Noh, Jae Sik;Lee, Kil C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3
    • /
    • pp.139-154
    • /
    • 1993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which predicts flood peak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gaged catchments, through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the selected stage gauging stations located on several natural rivers of Korea. The magnitude and the frequency of flood peaks with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from the flood frequency analysis on the 28 selected stage gauging stations distributed on the five major rivers of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ions from the two different flood frequency models. From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se models, it was revealed that the POT model (Peaks Over a Threshold model), which is based on the partial dura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in predicting flood peaks from short period records than the ANNMAX model (ANNual MAXimum model) which is based on the annual maximum series method. A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s for ungaged catchment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flood peaks and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s assumed to be important in runoff processes. In addition to this, the correlation diagrams are presented which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od peaks with specified recurrence intervals an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s.

  • PDF

Construction of IDF curves on the basis of observation (관측자료로 구축한 IDF곡선)

  • Kang, Hyoungseok;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5-55
    • /
    • 2022
  •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고 수자원 관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IDF (Intens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활용한다. 통상 IDF 곡선은 연최대치계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재현빈도 마다의 적절한 강우강도를 추정하여 결정한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최소 30년 이상의 정상 강우자료의 통계분석이 권장되나, 긴 재현기간의 최대강우강도는 본질적으로 확률분포 함수로부터 추정한 값이라는 한계가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종관기상관측을 통해 고해상도의 지상관측 강수자료가 장기간 누적되어 관측자료로부터 직접 최대강우강도-지속시간 사이의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홍수량 산정 표준 지침'의 확률강우 분석 결과를 오랫동안 관측된 강우자료에서 찾은 최대강우강도와의 비교가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50년 이상 강우가 관측된 24개의 지점에 대해 최대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식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추정한 IDF 곡선이 실제 관측자료에서 나타난 최대강우강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 PDF

Comparison of Design Rainfalls From the Annual Maximum and the Non-annual Exceedance Series (연최대치계열과 비연초과치계열으로부터 산정한 확률강우량의 비교·분석)

  • Park, Yei Jun;Kwon, Hyun-Han;Chung, Eun Sung;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469-478
    • /
    • 2014
  • The annual maximum series (AMS) is usually used to estimate hydrological quantiles in practice because it is simple to construct and straightforward to probabilistic interpretation. However, it is limited to use the AMS in Korea due to the lack of reliable observed data which leads to the overestimation of design rainfall and/or flood. Using the 40-year observations of rainfall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study constructed the AMS and non-annual exceedance series (NAES) after identifying the independent storm even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design rainfalls estimated from the AMS and NAES, and proposed a new method of point frequency analysis to estimate design rainfalls from the small number of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