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직다중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Minimum Dilution of Vertical Multijet Discharging into Stagnant Water (정지수체로 방류된 연직다중\ulcorner㈏\ulcorner최소희석률)

  • Kim, Hong-Sik;Seo, Il-Won;Yu, Dae-Yeong;Seo, Yo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53-162
    • /
    • 1999
  • In this study, mixing and dilu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multijet discharged by multiport diffuser into stagnant water a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of multiport diffuser performed in the three dimensional flume are as follows. As far as merging process of multiport diffuser is concerned, merging starts at about z/l = 3 although merging length is dependent upon stability condition and thereafter lateral temperature distribution becomes gradually uniform which is typical distribution of plane jet. Analyses of experimental data for minimum dilution show that characteristics of minimum dilution are described based on three regions which are jet region where momentum is dominated, intermediate region, and plume region where buoyancy is dominated. Minimum dilution coefficient in plume region of multiport diffuser obtained in this study is 15% higher than that of plane diffuser. This is because individual jet of multiport diffuser entrains more ambient water before merging is occurred, and therefore dilution increases.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Through Vertical Lift Gate (연직수문의 퇴적토 배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Ji Haeng;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5 no.4
    • /
    • pp.276-284
    • /
    • 2018
  • In order to analyze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knickpoint migration, sediment transport length, and sediment transport weight through the under-flow type vertical lift gate,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and dimens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correlations between Froude number and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were schematized. The multiple regression formulae for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with non-dimensional parameters were suggeste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of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appeared high as 0.618 for knickpoint migration, 0.632 for sediment transport length, and 0.866 for sediment transport weight.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hydraulic characteristic equations, 95% prediction interv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easured and the calculated by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and it was determined that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RMSE (root mean square), and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are appropriate, for the accuracy analysis related to the prediction on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kickpoint migration, sediment transport length and weight.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Vertical lift Gates with Sediment Transport (퇴적토 배출을 수반한 연직수문의 수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Seung Jea;Lee, Ji Haeng;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5 no.4
    • /
    • pp.246-256
    • /
    • 2018
  • In order to analyz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coefficient, hydraulic jump height, and hydraulic jump length, accompanied sediment transport, in the under-flow type vertical lift gate,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and dimens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correlations between Froude number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were schemati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ediment transport; the correl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non-dimensional parameters was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formulae were developed. I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ccompanied the sediment transport, by identifying the aspect different from the case that the sediment transport is absent, we verifi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ables that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suggested and each determination coefficient appeared high as 0.749 for discharge coefficient, 0.896 for hydraulic jump height, and 0.955 for hydraulic jump length.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hydraulic characteristic equations, 95% prediction interv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easured and the calculated by regression equations, and it was determined that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RMSE (root mean square), and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are appropriate, for the accuracy analysis related to the prediction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coefficient, hydraulic jump height and length.

Measurement of Yellow Sand Aerosols Using a Multi-channel LIDAR System During ACE-Asia IOP at Kosan Jeju (ACE-Asia 집중관측기간중 다중채널 라이다를 이용한 제주고산에서의 황사관측)

  • ;;Y.Iwasaka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81-282
    • /
    • 2001
  • 동북아 지역 특히 중국대륙의 경제발전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증가는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을 방출하고 있다. 한반도에 도달하는 황사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대기오염물질은 장거리로 이동되어 인접국가의 환경 및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인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의 물리적ㆍ화학적 성분 및 이동 경로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라이다를 사용하면 지상에서 60km까지의 대기에어로졸 연직분포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ACE-Asia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 다중채널 라이다 시스템을 제주도 고산 관측소에 설치하여 2001년 3월부터 운영 중에 있다. (중략)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Ocean Tidal Current Considering Sea Bottom Topography (해저지형을 고려한 조류유동의 수치해석)

  • B.S. Yoon;.H. R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1
    • /
    • pp.70-82
    • /
    • 1995
  • A multi-layer simulation program is developed to estimate the ocean current considering sea bottom geometry. The so-called $\sigma$ coordinate system is introduced in vertical direction to describe sea bottom topography more accurately and effectively. Leapfrog scheme combined with Euler backward scheme is used to reduce computation error which may be possibly accumulated in time evolution by Leapfrog scheme alone. In this paper, very simple examples of rectangular basins with various bottom geometries were taken and the effect of sea bottom geometry on vertical structure of the ocean tidal current and its dire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comparisons between the present three dimensional calculation in which bottom topography is directly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two dimensional calculation in which depth average concept is employed, it was found that magnitude of surface current and its direction could be largely affected by the sea bottom topography, particularly in shallow region with complex bottom shape.

  • PDF

수질모의에 필요한 수체자료의 취득방안

  • Lee, Yo-Sang;Kang, Sung Da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34-1438
    • /
    • 2004
  • 저수지 수질모형의 기초자료로서의 수체의 수리학적 인자는 물리적인 자료이므로 많은 실측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료의 취득을 위하여 수체의 수심을 측정하고, 대상구역의 수계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수체를 분할하여 각 구간별 수체 중심, 특성길이, 연직 및 수평 단면적, 수표면적, 수체적, 수로경사 등을 구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자료의 취득은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하여 조사지점이 조밀하지 못하거나 계간방법이 개발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실제값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에 개발된 다중 음향탐사기 (MBES)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하상에서 반사한 파의 시간을 측정하고 거리로 환산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것으로 여러 지점의 수심을 동시에 스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MBES는 수신기의 지향각이 존재하므로 파의 반사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단일 음향측심기는 측선을 따라 수심을 측정하므로 조사간격이 넓어 정확한 수로정보를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나 MBES는 수체 전체를 $1\times1m$$4\~5$ 번의 측정하고, 변화가 심한 호저면에서도 수심오차 $5\~8 cm$의 고분해능을 갖는다. 이를 이용하면 하상의 수심에 내한 3차원의 연속분포를 생성하고, 하상의 지형적인 특징을 조사${\cdot}$ 분석할 수 있으며 하상의 성상과정에 관한 기초자료로도 활용한 수 있다. 수체정보를 산정할 때 단일 음향측심법은 간접적으로 자료를 취득하므로 주관적인 견해 및 큰 오차를 내포하고 있으나, MBES는 Hypack Max를 이용하여 구획한 구간에 따른 수표면적과 연직단면적 및 수체적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측정한 자료의 raw data를 이용하면 각 구간에 대한 무게중심을 구하여 중점으로 사용 가능하고, 종방향의 구축을 산정하여 수로의 깊이 및 중심간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 PDF

레이더를 이용한 남서해안의 호우 사례 특성 분석

  • Park, Gyun-Myeong;Park, Geun-Yeong;Ryu, Ch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99-101
    • /
    • 2007
  • 비종관 관측자료인 기상위성 및 레이더 분석자료에서 위성영상에서 볼 수 있는 서해남부 해상의 스콜라인 형태의 강한 대류운을 무안-진도 레이더 반사도에 의한 수평 및 연직 구조로 살펴보았는데 특히 발달한 대류운 영역이 보다 상세한 반사도 차이로 나타나고, 40 dBZ 이상 강한 반사도 셀이 고도 6km, 20km 정도의 수평규모를 갖는 여러 대류운시스템이 합쳐진 다중세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용 X-대역 무안 레이더 반사도 분포를 보면 사이트 주면에 강한 dBZ의 대류운이 자리하고 있어 발달한 강수입자에 의한 감쇄효과 때문에 북서방향과 남서방향의 강한 대류운들이 약하게 잘못 관측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지만 S-대역 진도 레이더는 발달한 강수 입자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유의 강한 반사도를 제대로 관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태풍에 의한 직${\cdot}$간접적인 호우, 장마전선의 활성화에 따른 집중호우를 동반하는 중규모대류운시스템에 대해 정확히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관측자료 분석을 통해 중규모대류운시스템을 발달${\cdot}$유지시킬 수 있는 기구의 존재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레이더 반사도와 3차원 바람장 그리고 마이크로강우레이더와 광학강우강계에 의한 연직 구름계와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강수특성 등 섬세하고 다양한 비종관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집중호우를 유발하는 중규모대류운시스템의 강수 구조와 특성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Multi-Level H2O/CO2 Profile Measurement System (다중 수증기/이산화탄소 프로파일 관측 시스템의 원리와 활용)

  • Yoo, Jae-Ill;Lee, Dong-Ho;Hong, Jin-Kyu;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1
    • /
    • pp.27-38
    • /
    • 2009
  • The multi-level profile system is designed to measure the vertical profile of $H_2O$ and $CO_2$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layer to estimate the storage effects within the plant canopy. It is suitable for long-term experiments and can be used also in advection studies for estimating the spatial variability and vertical gradients in concentration. It enables the user to calculate vertical fluxes of water vapor, $CO_2$ and other trace gases using the surface layer similarity theory and to infer their sources or sinks. The profile system described in this report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sampling system, calibration and flow control system, closed path infrared gas analyzer(IRGA), vacuum pump and a datalogger. The sampling system draws air from 8 inlets into the IRGA in a sequence, so that for 80 seconds air from all levels is measured. The calibration system, controlled by the datalogger, compensates for any deviations in the calibration of the IRGA by using gas sources with known concentrations. The datalogger switches the corresponding valves, measures the linearized voltages from the IRGA, calculates the concentrations for each monitoring level,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and stores the final data. All critical components are mounted in an environmental enclosure and can operate with little maintenance over long periods of time. This report, as a practical manual, is designed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using profile system to measure evapotranspiration and net ecosystem exchanges in complex terrain.

The development of 'night sky forecast'(별밤예보) for observatories in Chungbuk province based on KMA UM LDAPS model

  • Kwon, Sun-Beom;Jung, Byung-Woo;Heo, Bok-Haeng;Ha, Chang-Hwan;Yoon, Joh-Na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70.3-70.3
    • /
    • 2017
  • 맑은 날에도 엷은 상층운이나 난류의 방해로 관측 품질이 저해되는 등 천문 분야는 대기환경에 민감하나, 하층 대기 상태에 비중을 두는 동네예보만으로는 천문 분야의 기상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천문 관측 환경에 보다 특화된 별밤예보를 개발하여 천체 관측 가능성과 천문 관측 자료의 품질을 좌우하는 대기상태를 UM 국지모델 생산자료를 바탕으로 예보하고자 한다. 예보 요소는 하늘상태(운량), 시상(seeing), 투명도, 암도(darkness) 및 대기청명지수, 풍속, 기온, 습도이다. 대기청명지수는 일반인이 관찰하기 좋은지 여부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운량과 투명도, 암도를 종합한 지수로 10~100까지 10단계로 제공할 계획이다. 하늘상태와 풍속, 기온, 습도는 $5{\times}5km$격자마다 제공되는 기상청 동네예보에서 천문대와 가장 가까운 격자의 예보치를 추출하였다. 시상은 대기의 난류 정도에 좌우된다. 그러나 충북의 고층기상 관측자료가 없어서, 시상 예보식을 만들기 위해 UM 국지모델에서 제공하는 각 등압면의 기온과 바람벡터로부터 정적 안정도(온위 경도)와 연직 바람시어를 유도한 뒤, 다중회귀분석으로 시상 예보식을 구하였다. 또한 대기청명지수는 청주기상지청에서 관측한 운량과 밤하늘 밝기 자료를 종속변수, 별의 개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예측식을 구하였다.

  • PDF

Partial Layerwise-to-ESL Coupling Elements for Multiple Model Analysis (다중모델 해석을 위한 부분층별-등가단층 결합요소)

  • Shin, Young-Sik;Woo, Kwang-Sung;Ahn, Jae-Seok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3
    • /
    • pp.267-275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p-convergent coupling element on the basis of the ESSE(equivalent single layer shell element) and the PLLE(partial-linear layerwise element) to analyze laminated composite plates. The ESSE is formulated by the degenerated shell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assumption of the PLLE is piecewise linear variation of the in-plane displacement and a constant value of lateral displacement across the thickness. The proposed finite element model is based on p-convergence approach. The integrals of Legendre polynomials and Gauss-Lobatto technique are chosen to interpolate displacement fields and to implement numerical quadrature, respectively.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p-convergent element. For this purpose, various finite element multiple models associated with the combination of ESSE and PLLE elements are tested to show numerical stability. The simple examples such as a cantilever beam subjected vertical load and a plate with tension are adop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