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중 변동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새해기상도 - 2017년 거시경제 전망

  • Min, Seong-Hwan;Gang, Du-Yong
    • The Optical Journal
    • /
    • s.167
    • /
    • pp.19-23
    • /
    • 2017
  • 최근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내수는 설비투자가 부진한 반면 건설투자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체 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민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출은 전년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 중이나, 금년들어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출 부진에 따른 성장 둔화를 건설투자가 보전하는 구조로, 경제성장의 건설투자 의존이 심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7년 세계경제는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전년보다 소폭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권의 경우 비교적 꾸준하고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나, 중국은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전망이다. 유가는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OPEC의 감산 합의 등으로 2017년 중 평균 배럴당 50달러 내외로 높아질 전망이며, 원/달러 환율은 연중 비교적 높은 변동성을 보이겠지만, 연평균 기준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1,150원대)이 예상된다. 2017년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겠지만, 2016년 경제성장을 견인해 온 건설투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구조조정 등이 민간소비 증가를 제약하면서 전년보다 약간 낮은 2.5% 내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비로는 상${\cdot}$하반기 비슷한 성장이 예상되지만, 전년 패턴의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비 성장률은 소폭의 上低下高 흐름이 예상된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신정부의 정책 기조와 연준의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둔화 폭 확대 가능성 등이,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제와 구조조정 여파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유가 반등에 따른 소득 증가세 둔화, 가계부채 부담, 구조조정 여파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년보다 소폭 낮은 연간 2% 내외의 증가세가 예상된다. 설비투자는 수출 부진의 완화에 힘입어 소폭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는 전년의 높은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건설규제 등에 따라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수출은 세계경제의 소폭 개선과 유가 반등에 따른 단가 하락세 진정 등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나, 매우 완만한 흐름이 예상된다. 2017년 수출은 2.1%, 수입은 3.6% 증가하면서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857억 달러의 흑자를 보일 전망이다.

  • PDF

A Study on Korean Pungsu as an Adaptive Strategy (환경 적응 전략으로서의 풍수지리 연구)

  • Ock, Ha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761-768
    • /
    • 2007
  • Humans have been searching for more comfortable places for centuries. The comfort concept which is related with vitality in Pungsu is closest to science. The comfort concept was introduced as being based upon measurable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actions. Two classification nomograms, the comfort index and the wind effect index were identified. The Pungsu concept can be applied in America, and one of them is North Cemetery located in the town of Hampton in northeastern Connecticut not far from Storrs campus,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human reaction to comfort not only physiologically but also individually is various in various climate region.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more comfortable places or to make up for less comfortable places with Pungsu as the adaptive strategy for the comfort.

Reproductive Characteristic of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통영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의 산란 특성)

  • Baeck, Gun-Wook;Jeong, Jae-Mook;Park, Joo-Myun;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3 no.4
    • /
    • pp.300-304
    • /
    • 2011
  •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Chaenogobius gulosus was examined using 333 specimens collected monthly between October 2008 and September 2009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oung, Korea. Specimens ranged from 2.0 to 12.6 cm in standard length (SL).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was highest in February and decreased until April, with the spawning season lasting from December to April. The monthly ratio of female to mal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chi}^2$-test, p>0.05). The size at 50% maturity for females was 7.9 cm SL. Fecundity ranged from 1,112 to 6,059 eggs, with a mean of 3,011 eggs.

Season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Inchon Dock, an Artificially Closed Marine Embayment Facing the Yellow Sea, Western Korea (인천항 선거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 KIM, SE-WHA;LEE, JIN HWAN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4
    • /
    • pp.376-382
    • /
    • 1994
  • Season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Inchon Dock, an artificially closed marine embayment has been studied.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989 to December 1991 at four stations in the dock and compared with that at a single station in neighbouring waters of the Yellow Sea. Copepods dominated both in and outside of the dock all the year round, except in late autumn and early winter when protozoans outnumbered. dominant species were Oithona davisae, Acartia bifilosa, Paracalanus crassirostris, Noctiluca scintillas and Tintinnopsis tubulosa. A sharp decline in the abundance was observed in summer 1990 in the dock apparently due to oxygen deficiency (anoxic condition). Although no distinct deference in the abundance of zooplankton was observed between populations in and outside of the dock except in summer 1990, waters out of the dock showed to have a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throughout the year. Moreover, four species of copepods, Centropages abdominalis, Pseudodia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 and T. spinicaudatus occurred solely at the outside of the dock.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wo Dominant Paracalanids 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Brackish and Coastal Waters from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요각류 곁노벌레과(Paracalanidae) 2종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분포 특성)

  • Moon, Seong-Yong;Seo, Min-Ho;Soh, Ho-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9 no.1
    • /
    • pp.11-16
    • /
    • 2011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wo dominant paracalanids of the family Paracalanidae on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studied in the brackish and coastal waters from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Bestiolina coreana mainly occurs in a range of 29.8~31.3 psu salinity and temperature of more than about $20^{\circ}C$, while Paracalanus parvus s. l. mainly occurs in a range $17{\sim}20^{\circ}C$ temperature and more than 30 psu salinity. The fact clearly indicates that temperature and salinity was a major factors i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between these two paracalanids.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redators on Yuzu tree (Citrus Junos) (유자에서 귤응애의 천적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

  • 김규진;최덕수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9 no.1
    • /
    • pp.13-19
    • /
    • 2000
  •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ononychus citri and seasonal occurrence of its major beneficial insects in Yuzu groves (Chonnam province) from 1996 to 1998. Natural enemies against citrus red mite were 9 species including Oligota kashmirica benifica, 0. yasumatsui, Stethorus punctillum, Chrysopa pallens, Propylea japonica, Orius sauteri, Scolothrips takahashii, Amblyseius womersleyi and one unidentified species of thrips (Family: Phlaeothripidae). Among them, Oligota kashmirica benzficu and Stethorus punctillum were found to be dominant species. 0 . kushmirica henifica had 4-5 generations from middle May to middle November with peak in early September. S. punctillum had 3 generations from late May to late October with peak of late June to middle July. Population dynamics between predator ( 0 . kushmiricu benifica and S. punctillum) and prey (Panonychus citri) were quite well synchronized until September but predator density was decreased abruptly after October.

  • PDF

Future Inflow Simul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Chungju Dam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충주댐 유역의 미래 유입량 모의)

  • Park, Ji-Yeon;Shin, Ju-Young;Kim, Tae-Ri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5-125
    • /
    • 2012
  • 최근 심화되고 있는 강우의 시간적 지역적 불균형이 기후변화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강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수자원분야에서는 강우의 변동성을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중 강수량의 대부분이 홍수기에 집중되어 수자원의 총량의 27%만 사용하고 있다. 전체 수자원이용량 중 절반 이상을 댐을 통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댐 운영방법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영향으로 댐 유입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므로 장기적인 수자원을 관리를 위하여 효율적인 댐 운영을 하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으로 기후변화 영향을 받는 장기간 모의를 하게 되면 입력 자료와 매개변수, 모형구조의 불확실성 갖게 된다. 그에 반해 데이터를 통해 모형의 매개변수 값을 추정하여, 향후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는 추계학적 모형과 인공신경망모형은, 물리적인 강우-유출 모형과 비교하여 모의에 드는 시간이 적고 모형 불확실성 파악이 가능하며, 장기간 모의 시 불확실성을 줄이는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추계학적 모형은 과거의 유입량 자료만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강우량의 영향을 함께 고려한 Transfer Function Noise(TFN)모형을 통하여 장기간 모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댐으로는 한강유역 중 댐 상류유역면적이 제일 넓은 충주댐으로 선정하였다. 과거의 유입량과 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TFN모형을 구축하고, TFN과 같은 변수를 사용하여 인공신경망모형을 구축하였다. 5개의 시나리오별로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를 비교하였고, TFN모형과 인공신경망에 따라서 어떠한 양상을 갖는지 비교하였다.

  • PDF

Extension Techniques of Partially Recorded Stream-flow to Continuous Daily Data (부분관측된 유량자료의 연속 일유량자료로 확장법)

  • Baek, Kyong-Oh;Yim,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7-397
    • /
    • 2011
  • 2004년부터 4대강 물환경연구소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총량관리단위유역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청천(晴天)시를 중심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연중 하천유량과 수질의 연동 여부 및 변동 추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8일 간격으로 생산되는 유량은 지침의 정의와 맞물려 기준유량의 산정에 또 다른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계획수립 지침'에 따르면 '기준유량은 과거 10년간 평균 저수량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저수량이란 유량의 크기를 누가일수로서 표시하여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정확한 저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1년 365개 매일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8일 간격으로 유량을 측정하게 되면 1년 365개 대신 최대 45 여개의 일 유량자료만 취득 가능하므로 유황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의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계측된 유량자료가 있을 때 이를 연속적인 일유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를 소개한다. 미 지질조사국(USGS)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 방법은 A지점(부분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결측치를 동일 유역 혹은 수문학적으로 유사한 유역의 B지점(연속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완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부분계측이 이루어진 날과 같은 날짜의 유량자료를 연속계측자료에서 추출한 다음 두 자료(A지점에서의 모든 유량과 B지점에서의 추출된 유량)의 상관성을 비교해 본다. 두 자료간에 상관도가 높다면 이를 잘 표현하는 방정식을 통해 A지점의 결측치를 내 외삽한다. 여기서 두 자료간 상관도를 잘 묘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소제곱법(Least Square Estimator, LSE)과 분산확장법(Maintenance of Variance Extension, MOVE)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중 동일지점에 8일 간격 부분계측 유량자료와 일 연속자료가 동시에 존재하는 곳이 6지점이 있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LSE와 MOVE의 정확도를 검증해 본 결과 MOVE가 일 연속유량 확장에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use flow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emporal flow variation for securing available water (가용수량 확보를 위한 이수유량의 기간별 산정 방법 개발)

  • Lee, Eul Rae;Choi, Hyun Gu;Kim, Han Na;Lim, Ji Sang;Lee, S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2-252
    • /
    • 2017
  • 지금까지 이수유량의 산정은 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하고자 보수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해왔다. 시공간적 하천유량의 변동에도 최대 용수수요를 만족할 수 있게끔 기준갈수량을 기준으로 이수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공급의 안정성은 보장되나 연중 동일 기준을 적용하여 홍수기와 같이 물량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추가적인 유량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시 공간적인 하천유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가용수량을 확보하며 물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선행 연구인 시 공간적 유량변화를 반영한 탄력적인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설정방법에서는 홍수기/이수기, 관개기/비관개기를 고려하여 4개의 기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기/홍수기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별 변화가 큰 농업용수 사용 시기를 기준으로 관개기/비관개기만을 고려하여 이수 유량의 산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기간별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기준유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여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위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기간별 탄력적인 기준유량의 산정으로 수량확보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금호강 유역에서는 약 56.6백만$m^3$/년, 내성천 유역에서는 약 43.4백만$m^3$/년의 유량을 확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추가적인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용유량의 추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탄력적 이수유량 산정 방법을 통해 확보된 수량은 신규 수원 확보 사업의 추진 및 이를 위한 예산 확보 등의 정책적인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될 수 있으며, 또한 용수공급 안정도를 유지하면서 하천수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low flow in consideration of seasonality for efficient estimation of flow criteria for river water use permits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의 효율적 산정을 위한 계절성을 고려한 갈수량 분석)

  • Lee, Tae Hee;Jeong, Seung Gyo;Lim, Hyeok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1-401
    • /
    • 2018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시공간적으로 매우 불규칙한 강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피해 및 극심한 가뭄으로 수자원개발 및 관리 환경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의 원천이 되는 강수량의 계절별 편차가 매우 크고 연 강수량의 2/3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된다.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은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되지 않은 지점은 10년 빈도의 갈수량인 기준갈수량과 같고,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된 지점은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감한 양이다. 하지만 하천 유량의 변동성이 계절에 따라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갈수기의 한정적인 기준갈수량으로 연중 전 기간의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을 설정하면 가용한 하천수량을 과소 산정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계절성을 고려하여 기간에 맞는 기준갈수량을 산정하는 것이 안정적인 하천수의 사용과 하천관리에 필요한 유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을 검토하기 위해 지역별 계절성을 고려한 갈수량 검토를 실시하였다. 갈수량 산정을 위한 자연유량은 TANK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112개 중권역에 대해 50년 간 일별 자연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자연유량을 바탕으로 112개 중권역에 대해 유황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갈수량과 기준갈수량을 검토하였으며, 계절별 갈수량을 검토하기 위해 기간을 여름철(5~10월)과 겨울철(11~4월) 두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여름과 겨울 갈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절성 분석을 위해 세 가지 계절성 지표를 검토하였다. 첫째, 여름과 겨울 갈수량의 비율인 SR(Seasonality Ratio), 둘째, 갈수량의 평균시기를 나타내는 주기적 계절성 지수 SI(Seasonality Index), 셋째, 갈수량의 월간 분포를 나타내는 SH(Seasonality Histogram)이다. 이러한 계절성 지표를 바탕으로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여름과 겨울 갈수량의 기초가 되는 수문학적 근거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유역의 계절성 지표를 바탕으로 기간을 분리하고 기간별 갈수량 검토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하천수사용허가 기준유량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