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VTS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255 seconds

국내 연안VTS 관제구역 및 VHF채널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Kim, Yeong-Seup;Park, Gw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76-78
    • /
    • 2014
  • 해양경찰청은 지난 '10년도 국내 연안VTS 확대구축에 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현(現) 진도 여수 연안VTS 인수 구축업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오는 7월 통영 연안VTS 센터가 경남권역 연안해역의 통항선박 안전을 위해 개국예정이다. 이에 제1단계 사업의 종료시점이 도래됨에 따라 서해권역 연안VTS 확대구축 전(前) 기 운영 중인 국 내외 연안VTS 운영방법을 토대로 해양경찰 연안VTS 관제구역과 VHF 통화 채널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향후 이용자 편의성 도모 및 해양환경 보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PDF

연안VTS 기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97-199
    • /
    • 2012
  • 우리나라 첫 연안VTS인 진도 연안VTS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고, 운영 사례를 조사하여 연안VTS기능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안VTS는 관제구역이 넓어 해상교통 특색이 장소마다 상이하며, 집중 관제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았고, 통항선박 중어선과 같은 비관제 대상 선박이 다수를 차지하여 이들의 관제가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선박 운항자의 집중도가 항내보다는 떨어지므로 인적과실에 의한 사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안VTS는 항만VTS와 같이 정보제공, 항행지원, 교통관리의 역할을 주로 하고 있지만, 수색구조 지원, 해상 보안, 해상치안 업무, 해양오염 대응, 비관제 대상 선박 업무 및 수상레저 안전관리 등의 기능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안VTS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eong-Seup;Kim, Nam-Sik;Lee, Cha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91-193
    • /
    • 2012
  • 2007년 12월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를 계기로 총리실 해양오염 관리체계 평가 결과에 따라 국토부 진도 연안VTS 해경 인수 연안VTS 신규 구축업무는 현장 집행세력을 보유한 해경에서 운영함이 타당하다고 결론, 이에 따라 전 연안 해역 효율적 관리를 위해 기존 해경 상황실과 연안VTS 통합운영으로 업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 PDF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Function of Jindo Coastal Vessel Traffic Service (진도 연안VTS의 성과 분석 및 기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eong, Jae-Yong;Jung, Ch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4
    • /
    • pp.308-315
    • /
    • 2012
  • Hebei Spirit Oil Spill that happened in 2007 had prompted the need of revisiting the coastal safety. In response to this, Korea had made an effort to implement VTS in every coastline in the country. There are a lot of theoretical studies on VTS function nowadays, but coastal VTS are less frequently studied. In this paper,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an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of Jindo Coastal VTS center were summarized and the Coastal VTS function are investigated. Jindo Coastal VTS covers relatively wide area and various places with various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s are the major navigation vessels, which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se vessels. Since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due to human error is relatively high in coastal area due to negligence tendency of crews during coastal area navigation, coastal VTS has to provide sufficient assistance to navigating vessels. Like most harbour VTS, Coastal VTS provides not only main information service, navigational assistance and traffic organization services but also various services related with advanced search-and-rescue assistance, marine national security, maritime crime prevention, oil spill response, traffic services for non-service vessel, and safety supervision for water leisure boats.

어선 특징 분석을 기반으로 한 통영연안VTS 관제구역 내 해상교통안전 증진에 관한 연구

  • 박경효;박동현;최상현;양민규;김성훈;문권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2-264
    • /
    • 2022
  • 통영연안VTS 관제구역은 남해 주요 항만으로 가기 위한 중요 길목으로서 일평균 700 척의 선박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통계 자료에 따르면, 관할 해역 전체 해양사고 중 내항 어선과 관련된 사고가 약 70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해상교통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비관제대상인 내항 어선의 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제도적, 기술적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해상교통안전 증진 방안을 살펴보았다.

  • PDF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관제사 간 관제정보 교환방법에 관한 연구 -해양경찰 연안VTS 중심으로-

  • Lee, Jin-Haeng;Kim, Jin-Su;Yun, Hui-Ung;Jeon, B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85-187
    • /
    • 2013
  • "93년 국내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이 도입, '06년 진도연안VTS개국 및 '12년 여수연안VTS 개국 이후 사고 위험성이 높은 연안해역에서 선박충돌 좌초 사고 발생율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관제를 위한 시스템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나 인적 요인 중 관제사의 관제이력정보 등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은 현 VTS 시스템에서는 개발 및 도입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경찰에서는 '23년 11개소 연안VTS 센터 확대 구축되기 전에 각 VTS 센터 간 관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관제사의 현장업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경인 연안VTS 관제(예정)구역 항행 위해 요소 분석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09-211
    • /
    • 2013
  • 해양사고 예방에 대해 연안 해역이 취약함에 착안하여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연안 해상교통관제서비스(연안VTS)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인천, 평택, 대산항이 밀집되어 있는 경인 지역은 복잡한 해안 구조와 교통량이 많아 허베이스피리트호 사건과 같이 대형 해양사고에 취약한 지역으로서 안전관리를 위해 경인 연안VTS가 2017년 개국될 예정이다. 관제서비스 제공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경인 연안VTS 관제구역을 설정해 보고, 교통여건, 해상교통량, 해상교통흐름 및 해양사고 현황을 조사하여 항행 위해 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 PDF

Analysis on the navigational dangerous elements in jindo coastal VTS area to improve marine traffic system (진도 연안VTS 관제범위내 해상교통시스템 개선을 위한 항행 위해요소 분석)

  • Baek, Won-Sun;Jeong, Jae-Yong;Gim, Ok-Sok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175-176
    • /
    • 2007
  • 선박통항이 빈번하고 해상 교통밀도가 높아 해양사고가 빈번한 서남해역의 해상교통안전에 기여하고자 진도 연안VTS 센터를 구축, 2006년 7월 19일 개국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도 연안VTS 관제범위내 주변환경과 항행 위해요소 분석, 교통실태 관측조사 및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진도 연안VTS 관제범위내 해상교통시스템 개선을 위한 항행 위해요소를 제시한다

  • PDF

VTS의 효율적 조직 운영에 관한 고찰

  • Jeong, Cho-Yeong;Kim, Ju-Seong;Jeong, Jae-Yong;Kim, G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65-266
    • /
    • 2018
  • 우리나라는 1993년 포항에 최초로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을 최초 도입하여 현재 항만VTS 15개소와 연안VTS 5개소 등 총 20개의 관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VTS에 대한 시행부처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오염사고, 세월호 사고 등 대형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변경이 이루어져 왔다. 현재는 해양경찰청에서 VTS 운영에 관한 전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VTS 소관 법령은 해양수산부가 관장하고 있으며, 항만VTS의 경우 같은 업무를 수행함에도 해양경찰청 일반직공무원과 해양수산부 파견 일반직공무원으로 소속이 나누어져 있으며, 연안VTS는 대부분 경찰공무원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소속과 신분에 있어서 일원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일원화되지 못한 소속 및 신분은 인력관리, 사고대응력, 관제역량 강화에 제한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TS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기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내 외부의 환경을 분석하고 소속 및 일원화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 PDF

연안 VTS 역량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eong-Uk;Lee, Cheol-Rae;Baek, Nam-Hwan;Seong, 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00-202
    • /
    • 2012
  • 본 연구는 연안VTS의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항만VTS센터에 해양경찰청 소속 직원 파견하여 합동근무를 확대시행하고 정보제공업무 위주의 현행VTS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관제통신 미청취, 항법 미준수 선박 등에 대한 계도 단속 등 현장집행능력의 강화에 따른 현황과 성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VTS센터의 운영성과를 분석하는 방법과 파견업무 사례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집행력의 부재로 인한 긴급한 상황에 대처 능력이 미약한 집행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더불어 2차사고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관제센터에 부속된 전담선박(관제정)의 배치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