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 항로

Search Result 42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Nearshore Sediment Transport in Vicinity of Anmok Harbor, East Coast of Korea.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 김인호;이정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2
    • /
    • pp.108-119
    • /
    • 2004
  • The breakwater extension at Anmok Harbor has resulted in erosional stresses along the wide range of shorelines immediately south of the harbor. In this study, therefore, the downdrift affects caused by the breakwater extension are investigated through both analytical and numerical approaches. In addition, this study stresses the need of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for the effective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and shows through the case study of Anmok Harbor how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accomplished for the coastal zone management.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s of sediment pickup and settling due to gravity, i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model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near-bed concentration and the depth-mean concentration, which is required in estimating the settling rates.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vertical structure of concentration.

항로표지 시뮬레이터 적용을 위한 속성 분석

  • Kim, Jong-Uk;Ji, Hyeong-Min;Han, Ju-Seop;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74-376
    • /
    • 2012
  • 우리나라 항만 입출항 통항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에 따른 해양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항만 연안 해역에서의 해상교통 안전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에서 항로표지 설계와 배치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항로표지 전문 기능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주요 항로의 항로표지 설계 및 계획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항로의 항로표지 설계와 적정 배치 여부 등을 검증하고 보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하며 3차원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항로표지의 신설 및 이설에 따른 여러 가지 효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대상 해역의 특성이 고려된 다양한 해상교통환경 변화에 따른 항로표지의 신설 및 이설 효과를 선박 운항자 관점에서 검증하거나, 새로운 항만 항로 건설시 최적 항로표지 배치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항로표지용 시뮬레이터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항로표지 시뮬레이터 개발에 필요한 항로표지 관련 속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for Coastal T/S Transport Activation of Busan Port Container Cargoes (부산항 컨화물의 연안환적운송 활성화에 관한 연구)

  • Chai, Hee-Jeong;Ahn, Ki-Myung;Kim, Kwang-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3
    • /
    • pp.159-165
    • /
    • 2008
  • The coastal shipping transport for containers had been serviced by Hanjin Transpotation Co., Ltd. and Korea Express Co., Ltd. from 1995. But Korea Express Co., Ltd. and Hanjin Transpotation Co., Ltd had stopped a coastal shipping transport service routed Busan-Incheon bemuse of getting worse of operation balance in 1999 and 200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se situations, korean-flag and foreign-flag fleets are having difficulty in handling T/S cargos and in-time transport service among inter-ports in korea. As shippers also use lorry to transport their cargos than using costal shipping, it occurs increasing in national logistics' cost as well as time-consuming due to congestion on the road. Therefore, this paper identifies not anly current costal shipping transport systems but also those problems and analyses a economic effect in case of participation in the costal shipping transport service by foreign-flag vessel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해상크레인 운송선단의 안전 조종법에 관한 고찰

  • Choe, Hyeon-Cheol;Kim, S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38-39
    • /
    • 2010
  • 최근들어 항만건설 및 선박블록 운송의 증가로 대형 부선을 예인하는 예부선과 침몰 선박 인양 및 해상교량공사 등을 위한 해상크레인 운송선단의 통항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들 선박의 주 항로는 남해와 서해 연안으로, 이 지역은 도서가 산재해 있고 협수로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연안으로 근접하여 항해 시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으며, 또한 어망과 조업중인 어선들과 많이 조우하게 된다. 특히, 돌발적인 해양 기상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서 이 해역을 통항하는 예부선 및 해상크레인 선단의 조종성능이 크게 저하되어 해양사고의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상크레인의 연안해역 예항시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적절한 조종 방법을 고찰하여 안전운항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관제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기반 마련에 대한 연구

  • 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90-492
    • /
    • 2012
  • 우리나라에는 현재 항만 및 연안의 15개 VTS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안 VTS는 우리나라 연안에 추가하여 지속적으로 설치를 예정하고 있다. 이러한 VTS 시스템에 대한 H/W적 설치는 선진항만에 뒤지지 않지만, 표준화된 관제정보 제공의 부재, 운항자 및 관제사와의 위험도 견해 차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관제사별로 이러한 위험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존재하고 있어 Human Error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09년 12월 인천항 부근의 XING GANG호 충돌사고와 같은 해양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관제의사 결정을 위하여 통항 위험선박 표시 방법 시스템에 대한 구축 기반 마련 및 이에 대한 개발을 수행하여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astal Safety Facilities (연안 및 다양한 안전시설 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 Kang, Hyo-Gi;Park, Jong-Sub;Kim, Dae-Kyu;Yoon, Ki-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50-353
    • /
    • 2009
  • 본 연구는 서해안 특성에 적합한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을 마련을 위해 국내 외 도로, 해안, 항만 구조물의 안전시설기준을 비교, 분석, 정리하였다. 검토된 설계기준은 항만시설물의 안전시설 설계지침,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조경 설계기준, 도로부대시설, 도로교 설계기준, 미국 FHWA DSTA, 그리고 미국 FHWA PFG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국내의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 및 적용이 미흡한 상황에 있으며 설계외력산정 및 평가에 적절한 보정계수 및 관련 상세설계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