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환경 변화

Search Result 65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hitening Event Proliferation the Coast of Jeju (제주연안에서 기후변화가 갯녹음 확산에 미치는 영향)

  • HWANG, Sung-Il;KIM, Dae-Kweon;SUNG, Bong-Jun;JUN, Sue-Kyung;BAE, Jong-Il;JEON, Byeong-H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6
    • /
    • pp.529-536
    • /
    • 2017
  • The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liferation of whiten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sea temperature rise) on the proliferation of whitening, and the reproduction and growth of crustose coralline algae, which causes the whitening, in the coast of Jeju Island. The size of the whitening-affected area in the coast of Jeju was 2,931ha in 1998 and increased to 4,541ha in 2003. The whitening occurred mainly in the southern coast of Jeju in 1998 but spread across the whole coast of Jeju by 2003, except in the coast of Jocheon-eup (eup refers to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and Gujwa-eup. The average sea water temperature in February from 1992 to 2004 was $15.1^{\circ}C$ in the whitening affected area and $13.9^{\circ}C$ in the marine forest area, showing a clear differenc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temperature in August. The long-term (37-year period) average of the sea temperature was $15.3^{\circ}C$ in the whitening affected area and $14.1^{\circ}C$ in the marine forest area, showing $1.2^{\circ}C$ higher in the whitening area. The annual rate of sea temperature rise was $0.038^{\circ}C$ in the whitening area and $0.024^{\circ}C$ in the marine forest area, indicating the higher long-term variation of sea temperature in the water affected by white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inuous increase in winter water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is expanding proliferation of whitening in the Jeju island.

Reviews on the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Application to the Sea Level Rise- (기후변화 적응방안 연구 -해수면 상승을 중심으로-)

  • Cho Kwangwoo;Maeng Jun-Ho;Kim Hae-Dong;Oh Young Min;Kim Dong-Sun;Kim Mu Chan;Yoon Jong Hw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0 no.2 s.21
    • /
    • pp.81-88
    • /
    • 2004
  • We review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the 21st climate change in an application to sea level rise.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on the coast vulnerable to the sea level rise, we have to consider the issues such as where to adapt, how to adapt, and when to adapt. The coastal target needed adaptation can be found by the evaluation of adaptive capacity of the coastal zone which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impacts and adaptive potential of the natural and socioeconomic systems in the coastal zone. Planned adaptation options to sea level ris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eneric approaches as managed retreat, accommodation, and protection In practice, the implementation of the options requires the analysis of land use, degree of vulnerability, cost and benefit, etc, and may be combination of the options rather than one approach. In terms of the response timing, the adaptation can be grouped as anticipatory and reactive ones. Generally it is more effective to consider both anticipatory and reactive adaptations at the same time for the impacts of future sea level rise. Due to the scientific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issues including sea level rise, the adaptation processes have to be designed to deal wit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information md awareness establishment, planning and design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continuity and long-term period.

  • PDF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RF Sensor (RF 센서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리 시스템)

  • Cha, Jin-Man;Park, Yeo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96-898
    • /
    • 2012
  • Recently, many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ocean resources becaus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ocean resources are increased. Underwater sensor networks have emerged as a very powerful technique for many applications, including monitoring, measurement, surveillance and control and envisioned to enable applications for oceanographic data collection, ocean sampling, environmental and pollution monitoring, offshore exploration, disaster prevention, tsunami and seaquake warning, assisted navigation, distributed tactical surveillance, and mine reconnaissance. The idea of applying sensor networks into underwater environments (i.e., forming underwater sensor networks) has received increasing interests in monitoring aquatic environments for scientific, environmental, commercial, safety, and military reasons. The data obtained by observing around the environment are wireless-transmitted by a radio set with various waves. According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medium set, some parameters restricted in observing the ocean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with the solution of power, distance, and corrosion and watertight by the seawater. The actual matters such as variety of required data, real-time observation, and data transmission, however, have not enough been improved just as various telecommunication systems on the land. In this paper, a wireless management system will be studied through a setup of wireless network available at fishery around the coast, real-time environmental observation with RF sensor, and data collection by a sensing device at the coastal areas.

  • PDF

항로표지용 플라스틱 부표의 특성 분석

  • Kim, Jong-Uk;Han, Ju-Seop;Jo, Gyeong-Ju;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3-265
    • /
    • 2011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표류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변화하는 해양교통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부표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경량화, 내부식성, 저비용 등 장점으로 정온도가 유지되는 항내나 내륙수로 등에서 국제적으로 항로표지용 부표로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부표의 국외 개발 동향, 제조 방법 및 시제품의 특성 평가를 통한 기술 향상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tructure in Rip-currents (이안류 흐름의 연직분포특성)

  • Jung, Taehwa;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8-468
    • /
    • 2016
  • 3차원 동수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연안 순환에서 발생하는 이안류의 연직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안류 흐름은 변수심 위에서 발생하는 파의 쇄파와 모멘텀 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외해방향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안의 보전, 유지 및 개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난 수십년동안 이안류와 관련된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수심적분된 2차원 모델을 사용하거나 위상 평균된 3차원 모델을 사용하여 이안류 흐름이 발생할 시 유속의 3차원 분포나 각 종 물리량의 시간적인 변화 등을 모의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동수역학 모델 NHWAVE (Non-Hydrostatic WAVE model)을 이용하여 이안류의 연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이안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이안류 지형을 만들었으며 여러 지점에서 연직분포를 측정하여 수심적분된 Boussinesq 모델과 비교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치모의 수행결과, 두 모델 모두 이안류 현상을 잘 재현하였으나 Boussinesq 모델은 수평유속의 연직방향 변화를 잘 재현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파고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3차원 모델에서는 작은 순환류가 외해 영역에서 발생하였으나 Boussinesq 모델에서는 관측하지 못하였다.

  • PDF

Importance and Application of Ichnology (생흔학의 중요성 및 활용)

  • Kim, Jong-Kwan;Chun, Seung-Soo;Baek, Young-Sook;Chang, Eun-Kyong;Shin, Sun-Ja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12 no.1
    • /
    • pp.34-42
    • /
    • 2006
  • Ichnology is the study of traces made by various organisms, which includes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races, and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process, behavior of organism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based on traces and organism behavior. Ichnofacies, which is defined as the association of several traces related together with substrate characteristics and sedimentary processes, is closely related to depositional environment. Ichnology has been applied to sedimentology (to underst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al environment, sedimentation pattern and event bed), sequence stratigraphy (to recognize sequence boundaries and biostratigraphic discontinuities such as MFS, TSE and RSE), oil exploration (providing of many information without big cost) and palaeocology. Preliminary ichnological study on the Ganghwa intertidal flat shows that dominant ichofacies are changing with season and location, suggesting that their seasonal variation would be a good indicato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 of sedimentary processes, the small- scale change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such units. Ichnology on intertidal flat in western coast of Korea has a great potential to apply its results to petroleum geology as well as sedimentology.

  • PDF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Coastal Circulation Environment for Multiple Ocean Resort Complex at Yangpo Harbor (양포항 복합해양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연안유동환경 분석)

  • Kim, Pill-Sung;Lee, Joong-Woo;Kim, Ki-Dam;Kang, Suk-Jin;Lee, Hak-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56-157
    • /
    • 2009
  • 최근 경제의 발전과 근무형태의 변화로 인한 여가활동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해안지역에 관광인프라 건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의 국제적 성장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한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안된 울산과 포항사이의 양포항에 복합해양관광휴양단지 구상안에 대한 주변수역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신뢰성 있는 수치도형 구현을 위해 3차원 수치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관광휴양단지 조성시 발생하는 파동 및 유동장의 변화, 표사 및 해저지형 등의 해양환경변화를 예측하여 구상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seagrass beds, Yeoja Bay (남해 여자만 해초지의 식물플랑크톤 변동)

  • Oh, Hyun-Ju;Kim, Jeon-Bae;Lee, Sang-Y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57-158
    • /
    • 2009
  • Phytoplankton plays an important part as indicator and primary producer in marine ecosystem. Therefore, phytoplankton community appeared variously according to marine environment, so the data of nutrients, chlorophyll a, temperature, salinity, and DO were analyzed in seagrass bed of Yeoja Bay. Consequently,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were associated with investigation time and place, and see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eagrass bed.

  • PDF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 강양순;권정노;손재경;정창수;홍석진;공재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0-141
    • /
    • 2003
  • 식물플랑크톤은 여러 환경요인들의 변화와 해역의 해양학적 특성에 따라서 매우 다른 형태의 군집구조를 나타내고(Legendre and Legendre,1978), 물리적, 화학적 환경요인의 변동에 따라 종조성이나 출현수에 있어서 뚜렷한 변동을 보이므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Smayda,1978).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는 해양생태구조 파악이나 해역의 환경지표 및 효율적 해역이용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우선 파악되어야하며(Gou and Zang, 1996),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양상 및 군집구조를 환경요인과 같이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