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표지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Sediment Transport using Radioisotope Tracer (방사성동위원소 추적자를 이용한 표사이동 추적실험)

  • Choi Byung-Jong;Jung Sung-Hee;Kim Jong-Bum;Lee Jong-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3
    • /
    • pp.162-170
    • /
    • 2004
  • On the basis of the radiotracer technology and the related equipments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its industrial application through the nuclear long-term research project, a radiotracer study on sediment transport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radiotracer technology for a coastal environment. The crystalline material doped with iridium having a similar composition and specific gravity as those of the bedload sand collected from the research area was produced by the oxide-route method. A radioisotope container was specially designed to inject the radiotracer from 1 m above the sea bedload without radioactive contamination during the transport from the nuclear reactor at KAERI. The position data from the DGPS and the radiation measurement data were collected concurrently and stored by means of the application software programmed with the LabVIEW of the National Instrument. The position data was reprocessed to represent the real position of the radiation probe under water and not that of the DGPS antenna on board. The time dependenc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ediment was studied in the area through three tracking measurements after the iridium glass was injected. This trial application showed the potential of the radiotracer technology as an important role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ghthouse Synchronous Control System (등대 동기 제어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이태오;윤희철;진성호;임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48-351
    • /
    • 2003
  • 항로표지(Aids to Navigation)란 빛, 형상, 색채, 전파, 음향 등으로 안전한 항로를 표시하여 선박 항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설치하는 시설이다. 특히, 등대(Lighthouse)는 항로표지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선박이 육지나 주요 변침점(Turning Point) 또는 선박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안에 설치하거나 항만의 소재, 항구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치한 구조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입ㆍ출항에 관련하여 선박의 안전을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등대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한 등대 동기 제어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등대 동기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컨트롤 박스)와 소프트웨어(제어 프로그램)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하드웨어 모듈은 등대와 선박의 입ㆍ출항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관제소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등대의 점멸등 제어를 위한 제어부와 등대와 관리 시스템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마이크로컨트롤러의 한 종류인 PIC(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시스템 운영자가 등대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항로표지용 플라스틱 부표의 특성 분석

  • Kim, Jong-Uk;Han, Ju-Seop;Jo, Gyeong-Ju;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3-265
    • /
    • 2011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표류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변화하는 해양교통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부표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경량화, 내부식성, 저비용 등 장점으로 정온도가 유지되는 항내나 내륙수로 등에서 국제적으로 항로표지용 부표로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부표의 국외 개발 동향, 제조 방법 및 시제품의 특성 평가를 통한 기술 향상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강관등표 도장방식 연구

  • Gwak, 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88-91
    • /
    • 2018
  • 국내 연안에 설치된 항로표지(등부표,등대 등) 대부분이 철근 콘크리트 형식으로 제작 설치 되어 있다. 초기 구조물 제작시 파손 및 전단, 염해에의 한 콘크리트의 부식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일반적인 색상표시 도장방식으로 마감처리 하여 설치 하였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파손, 도장부의 탈락으로 인하여 매년 유지보수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식진행 후 현장여건상 보수도장이 취약하고 보수 후에도 내구성 부족(방오수명 2년~3년)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항로표지의 신규 설치시 강관조 형식의 설계적용이 요구되며 강관조의 가장 큰 취약점인 부식(녹)에 대한 방오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 설치된 해상 금속구조물의 경우 보수작업시 장비반입, 작업시간, 작업여건 등이 비말대, 간만대에 따라 변동 하므로 원칙적인 보수가 불가능한 상황에 있다. 그러므로 초기 제작시 부식에 대한 방오도장이 시행 되어야 한다. 기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등표는 원칙적인 구조보강 검토 후 염해, 중성화 방지 도장을 시행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The Present Condition Consideration of Consevation and Management on Light house and Light beacon Cultural Assets -Focused on Incheon Regional Maritime Affairs- (등대.등표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현황 고찰 -인천지방해양항만청을 중심으로-)

  • Shin, Dae-Woong;Park, Byung-Tae;Yu, Hye-Ran;Kwon, Ki-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27-428
    • /
    • 2013
  • The Lighthouses and light beacons are representative structures of Aids to Navigation(AtoN) facilities. Incheon had been the region where they were constructed actively in early moden era. This study is targeting the lighthouse and light beacon which are managed by Regional Maritime Affairs. They will be organized by the research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 for long-term preservation on the objects that has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will be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 PDF

A Realization on Interface Module & Communications Protocol of AtoN AIS (AtoN AIS의 인터페이스 모듈 및 통신프로토콜 구현)

  • Choi, Jo-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103-1107
    • /
    • 2009
  • Lately, trend is change to concept that management traffic of ship is magnified gradually to near shore waters from harbor. Therefore, introducing the AtoN AIS technology that install AIS in the ground station, lighthouse, bouy, sea facilities etc.. that is support equipment for safety sailing of ship and safety security of harbor and ship administratio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AtoN AIS are required to efficient method. With this actuality, sea advanced nation They has been apply for developing AtoN AIS equipment that is connected equipment of technology standard in IALA. Because of it is expected to depend equipment in income, that is required to domestic technology of the AtoN AIS. This paper is targeted to development that is suitable automation AtoN AIS equipment in environmental peculiarity for construnstrunstrAtoN operating administration center. It has been realization the interface module for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s protocol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PDF

LED 등명기의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특성 변화

  • Kim, Jong-Uk;Ji, Hyeong-Min;Yu, Yong-Su;Han, Ju-Seop;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85-386
    • /
    • 2013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등 명기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로표지에 사용하는 등명기의 정기검사는 항로표지법 제31조 및 "항로표지용장비 용품검사기준(해양수산부고시 제2013-101호, 2013.5.8)"에 따라 3년 주기로 수검하여 합격품에 한하여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등명기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설치장소, 해상여건 등을 고려한 현장시험을 통하여 등명기의 사용 기간에 따른 열화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정기검사주기 및 교체 주기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ED 등 명기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사용 경과 시간에 따른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외관상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LED 등명기의 특성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표준형 등표 설계 제안

  • Baek, Wo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455-458
    • /
    • 2010
  • 동화(燈火)를 사용한 항로표지 중에서 암초나 얕은 곳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설치되는 등표의 설계시 해상에 설치되는 현장여건상 전문설계용역사에 의존하여 설계용역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설계파고가 작고 암초의 형상이 넓은 노 간출암인 경우에는 기존 설계 완료된 등표를 적용하여 시공하였을 경우 많은 국가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판단된다. 등표설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설계파고는 전국 연안의 설계파고도 작성용역을 실시하여 배부하고 설계파고에 따른 구조물 형상을 절정하기 위하여 표준형 등표 안정성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표준형 등표를 제안함으로서 현장여건이 양호 한 곳은 표준형 등표에서 제안하고 있은 표준형 등표를 적용함으로서 현장별 투입되는 설계용역 예산을 절감하고 설계용역 미 시행에 따른 사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 PDF

소형선박 계류부표 개발에 관한 기본설계 연구

  • Guk, Seung-Gi;Mun, Beom-Sik;Kim, Jeong-Rok;Lee, Dae-Hak;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404-406
    • /
    • 2012
  • 계선표지는 특수목적항로표지의 하나로 해양경찰에서는 "연안해역 거점감시를 위하여 해양경찰청 소속의 경비함정의 계선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부표"라고 정의한다. 현재 덕적도 외 33기의 계류부표를 해양경찰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150ton 이하의 소형해경함정을 계류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부표의 유지관리가 어려워 관리자에게 감시업무 이외에 과중한 업무가 부가되고, 부표의 철탑구조물의 형태로 인해 작업 중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표체가 철재로 이루어져 있어 해경함정 계류시 부표 및 함정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여 유실되거나 침몰하는 경우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해양경찰 계류부표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소형선박을 위한 계류부표 분석 및 최적화된 계류부표 설계하고자 한다. 국외 특수용도 사용부표 사례 분석 및 현재 관리자의 해양경찰의 의견을 수렴을 통해 현재 계류부표의 운영현황 및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새로운 계류부표의 기본설계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Movement Distribution of Common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여수 연안 승망 어장에서 숭어의 이동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Dong-Soo;Joo, Chan-Soon;Park, Ju-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41 no.1
    • /
    • pp.1-8
    • /
    • 2005
  • In order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movement of common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Dolsan-do, Yeosu southern sea area, the oceanographic factor such as the water temperature, isobath and tidal current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wa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common grey mullet caught by funnel net. Also, to investigate the movement direction of common grey mullet in same sea area, 160 common grey mullets of body length 22 to 51cm caught at funnel nets of the Dolsan-do southern sea area were marked and then released at 5 positions in 5 tim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water temperature at the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Dolsan-do in 2002 was ranged from 6.9 to 27.4$^{\circ}C$. The water temperature was displayed a maximum value in August to increase from March and a minimum value in February of the ensuing year to decrease from September. The catches of gray mullet caught by funnel net were generally abundant from March to September, but decreased sharply from October. The optimum range of water temperature for the funnel nets fishing was situated between 15.0 to 25.0$^{\circ}C$. 2. The isobath from 6m to 13m in coast sea set up funnel nets were densely distributed and the depth more than 14m of isobath were widely spreaded to the open sea at Dolsan-do southern sea area. 3. The tidal current of the coast sea set up funnel nets flowed southward and northward along the coast ato ebb and flood tide respectively.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to the open sea was southeast at ebb tide with the mean speed 43cm/sec, but northwest at flood with the mean speed 25cm/sec. 4. The recapture rate through the experiment duration showed 9.4%. The recapture rate in Gyedong area was very high value with 33.3% as compared with others. The movement of common grey mullet in Dolsan-do southern sea area trended toward a inner bay and north bound mai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