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신사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y on development of Nylon Mechanical Stretch Light Fabric (나일론 스트레치 직물 개발에 관한 연구)

  • Sim, Seung-Bum;Son, Hyun-Sik;Choi, Kwang-Seok;Lee, Young-Mi;Yang,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3-93
    • /
    • 2011
  • 스포츠웨어 바람막이용도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재는 폴리아미드계 소재이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나일론6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요구는 점점 경량화되고 있고 야외활동 증가와 더불어 착용감이 우수한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즘에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나일론6 소재를 이용하여 직물단계에서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이 발현될수 있는 나일론6 경량 Mechanical 스트레치 직물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물단계에서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이 발현될수 있는 나일론6 경량 Mechanical 직물개발을 위해 공중합 나일론6 폴리머와 일반 나일론6 폴리머를 복합방사설비를 이용하여 SIDE BY SIDE POY 26d/6f 원사를 제조한 후, Nip Belt 가연설비로 연신비, 가연 1st 히터온도, 벨트각도 조건에 따라서 제조된 4가지의 나일론6 가연사 DTY 20d/6f와 T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나일론6 가연사 DTY 20d/7f를 동일한 직물설계 조건에서 위사방향으로 제직을 실시하였다. 직물설계 조건은 경사를 나일론 DTY 20d/7f, 경사밀도는 2가지, 위사밀도 2가지으로 설계하여 제직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직물(생지)를 일반 나일론6 염색가공 공정조건으로 전처리, 염색, 가공, 코팅 공정을 거친후, 신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제직조건 및 염색가공 조건에서 제조된 직물의 신축성은 가연조건인 가연 연신비가 높고, 가연 1st 히터온도가 높은 조건에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경사밀도가 낮은 조건이 수축이 많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가연조건인 가연 연신비가 높고, 가연 1st 히터온도가 높은 조건에서 수축이 더 많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권축률이 높은 가연사 조건이 그만큼 수축이 많이 들어옴을 나타내는 결과로 사료되며, 위사밀도가 낮은 조건이 수축이 좀 더 많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위사밀도가 너무 많으면 가연사끼리 상호 수축할 수 있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로 판단된다. 전처리, 염색가공, 코팅이 완료된 최종 원단의 신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비교사로 제직된 최종 원단은 8~10%수준, 가연사 제조조건에 따른 제조된 4가지의 가연사의 신축성은 12~18%의 신축성을 보임을 알수 있었다. 향후, 제직설계 및 염색가공 조건의 다양화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PDF

The Effect of Post-Bond Heat Treatment on Tensile Property of Diffusion Bonded Austenitic Alloys (확산 접합된 오스테나이트계 재료의 인장특성에 미치는 후열처리의 영향)

  • Hong, Sunghoon;Kim, Sung Hwan;Jang, Changheui;Sah, In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12
    • /
    • pp.1221-1227
    • /
    • 2015
  • Diffusion bonding is the key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micro-channel type heat exchangers. In this study, austenitic alloys such as Alloy 800HT, Alloy 690, and Alloy 600, were diffusion bond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he tensile properties were measured up to $650^{\circ}C$. Tensile ductility of diffusion bonded Alloy 800H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ase metal at all test temperatures. While, for Alloy 690 and Alloy 600, tensile ductility of diffusion bonded specimens was comparable to that of base metals up to $500^{\circ}C$, above which the ductility became lower. The poor ductility of diffusion bonded specimen could have caused by the incomplete grain boundary migration and precipitates along the bond-line. Application of post-bond heat treatment (PBHT) improved the ductility close to that of base metals up to $550^{\circ}C$. Changes in tensile properties were discussed in view of the microstructure in the diffusion-bonded area.

Characteristics of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Film Prepared with ${\gamma}$-irradiation (방사선 처리에 의해 제조한 저분자 알긴산 필름의 특성)

  • Ha, Sang-Hyung;Kim, Byung-Yong;Rhin, Jong-Whan;Baik, Moo-Yeol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0 no.2
    • /
    • pp.111-115
    • /
    • 2007
  • To modify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 film, the gamma ray irradiation was performed, and alginate film properties such as elongation strength (ES), elongation rate (ER), water vapor permeability(WVP), and water solubility (WS) were measured. The film made from 1.75% alginate solution (w/w) with the addition of 2% CaCl$_2$ solution suggested a good application for a film preparation in that elongation strength(ES) increased 5 fold by CaCl$_2$ treatment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was decreased by 17${\sim}$22%. A solid form of alginates were irradiated with Co$^{60}$ gamma rays in the dose range of 2 to 10 kGy to make a low molecular weight alginate film, and then the intrinsic viscosit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alginates were measured. Increasing the dose range of 2 to 10 kGy produced lower intrinsic viscosity and lower molecular weight, causing the decrease in the ES and WS. However, ER increased four times compared to that of without gamma ray dose, which is an indication of the different properties of algiante film. WVP of the fil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at different doses.

Dyeability of Heat Treated Synthetic Fibers (I) -On the Basis of Polyester Filament Yarns- (열처리된 합성섬유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I)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를 중심으로-)

  • Cho Gil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10 no.1
    • /
    • pp.105-111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연신정도가 다른 완전배향사(FDY)와 부분배향사(POY)를 열처리시켜 내부구조변화를 유도한 후 염색성을 연구하였고, 염색성과의 관련성을 위해 결정화도 및 복굴절룰을 조사하였다. 열처리는 silicone oil속에서 정장상태로 실시하였으며, 시료의 염색은 Disperse Yellow 42를 이용해 무한염욕상태에서 실시하였다. 그리고, DMF를 이용해 염료를 추출시킨후 spectrophotometer 로 염료흡착량을 측정하였다. 결정화도는 밀도-결정화도 관계식으로 구하였으며, 복굴전률은 편광현미경으로 시료의 두께와 retardation을 측정한 후 계산하였다. FDY와 POY 필라멘트사의 염색성은 열처리시 감소하였으며 POY의 염색성이 FDY보다 우수했다. 결정화도는 열처리시 증가하였으며 열처리되지 않은 POY가 열처리되지 않은 FDY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다. 복굴절률은 열처리시 증가하였으며 열처리되지 않은 POY가 열처리되지 않은 FDY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열처리후에도 POY가 FDY보다 낮은 복굴절률을 나타낸 반면 결정화도는 열처리된 POY가 열처리된 FDY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염색성은 결정화도와 배향도에 부적인 상관관계 즉 결정화도와 배향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색성은 감소하는 관계를 시사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