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지점부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ntrol of Deck Cracking at Interior Supports of Continuous PSC-Beam Bridge (연속 PSC-Beam 교량의 지점부 균열제어)

  • 곽효경;서영재;정찬묵;박영하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2
    • /
    • pp.201-214
    • /
    • 1999
  • 이 연구는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경간 내측 지지점의 바닥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의 제어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PSC-Beam 교량은 주형인 PSC-Beam을 거치시킨후 바닥판을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이로 인하여 주형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거동차이, 주형의 연속화에 따른 거동 등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지점부에서 균열이 쉽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연속화에 따른 거동을 수치적 방법으로 해석하여 지점부 바닥판의 균열거동이 예측되었다. 이를 위하여 해석모델에는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현상인 크리프와 건조수축이 고려되었으며, 2경간 연속 PSC-Beam 교량의 거동에 영향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인자가 고려되어 해석되었다. 끝으로 콘크리트의 모델식을 이용하여 지점부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현장에서 관리가능한 방안이 수치적으로 제안되었다.

  • PDF

A Study of the Tendon Profile of a PSC Continuous Beam Able to Resist the Negative Bending Moment of Continuous Intergirders (거더 연속부의 부모멘트 제어에 효과적인 PSC 연속보의 텐던 배치에 관한 연구)

  • Kim, Eui H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6
    • /
    • pp.617-625
    • /
    • 2021
  •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ntinuous method of a domestically improved prestressed concrete (PSC) girder and the bending moment of a continuous tendon were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a continuous tendon model was proposed that can resist the negative bending moment of an intergirder. This model lowers the anchorage of the continuous tendon as far as possible under the girder, and extends the tendon section arranged under the girder. This method reduces the PS's bending moment in the middle of the span, but maximizes it in the intergirder. This continuous tendon model can offer a suitable method for continuity before manufacturing a composite, which requires a higher design bending moment in the intergirder than in the middle of the span.

Extension Techniques of Partially Recorded Stream-flow to Continuous Daily Data (부분관측된 유량자료의 연속 일유량자료로 확장법)

  • Baek, Kyong-Oh;Yim,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7-397
    • /
    • 2011
  • 2004년부터 4대강 물환경연구소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총량관리단위유역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청천(晴天)시를 중심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연중 하천유량과 수질의 연동 여부 및 변동 추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8일 간격으로 생산되는 유량은 지침의 정의와 맞물려 기준유량의 산정에 또 다른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계획수립 지침'에 따르면 '기준유량은 과거 10년간 평균 저수량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저수량이란 유량의 크기를 누가일수로서 표시하여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더 작지 않은 유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정확한 저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1년 365개 매일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8일 간격으로 유량을 측정하게 되면 1년 365개 대신 최대 45 여개의 일 유량자료만 취득 가능하므로 유황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의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계측된 유량자료가 있을 때 이를 연속적인 일유량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를 소개한다. 미 지질조사국(USGS)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 방법은 A지점(부분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결측치를 동일 유역 혹은 수문학적으로 유사한 유역의 B지점(연속계측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완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부분계측이 이루어진 날과 같은 날짜의 유량자료를 연속계측자료에서 추출한 다음 두 자료(A지점에서의 모든 유량과 B지점에서의 추출된 유량)의 상관성을 비교해 본다. 두 자료간에 상관도가 높다면 이를 잘 표현하는 방정식을 통해 A지점의 결측치를 내 외삽한다. 여기서 두 자료간 상관도를 잘 묘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소제곱법(Least Square Estimator, LSE)과 분산확장법(Maintenance of Variance Extension, MOVE)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중 동일지점에 8일 간격 부분계측 유량자료와 일 연속자료가 동시에 존재하는 곳이 6지점이 있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LSE와 MOVE의 정확도를 검증해 본 결과 MOVE가 일 연속유량 확장에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s of Interior Support of 6 Span SCP Continuous Girder Bridge (6경간 SCP 거더교의 연속화에 따른 중간 지점부 구조거동에 관한 연구)

  • Yhim, Sung-Soon;Son, Suk-Ho;Seo, Ki-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4
    • /
    • pp.135-143
    • /
    • 2004
  • In this paper, 6 span SCP continuous girder bridge's structural behavior were studied by analytic and experimental method To study structural behavior of SCP girder, we used PSC theory and steel girder theory. To examine slab concrete crack, concrete stress, and fatigue stress of steel, we achieved a static load and fatigue test. In the result, 6 span SCP girder bridge connected at the interior support about actuality bridge have enough structural capacity under service loads.

The Development of Improved Construction and Design Method on Continuous Preflex Girder Bridge (연속 프리플렉스 거더교의 개선된 시공법과 설계식의 개발)

  • Koo, Min Se;Park, Young Je;Kim, Hun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7 no.2 s.75
    • /
    • pp.183-194
    • /
    • 2005
  • In the previous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preflex composite girder bridge, we raised the inner support, and cast slab concrete innegative moment section, then lowered it to introduce compressive force in the slab. There were a few problems in the process such as the time required in raising the support and the bending of the camber. Therefore, this paper represents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preflex composite girder by only moving downward the inner and outer supports to figure out problems in previous construction method.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formula to find a proper cross section of preflex girder.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Continuous Prestressed Steel I-Girder with Section Increasement at Internal Supports (지점부 단면형고 확대를 도입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Steel I-Girder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Kyung-Min;Hong, Sung-Nam;Yang, Dong-Suk;Park, Sun-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6
    • /
    • pp.143-153
    • /
    • 2006
  • The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on improvement in flexure capacities of continuous prestressed steel I-girder with section increasement at internal supports. After tensioning, the field experiment on prestressed steel I-girder has been performed in the various aspects of prestressed I-girder introducing section increasement at internal supports, tendon profile.

A Study on the New Computational Methods for the Negative Moment at Column Support in PSC Flat Plate (PSC 연속 평판슬래브의 지점 부모멘트 산정법 연구)

  • 박선규;이범식;한만엽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77-186
    • /
    • 1998
  • PSC 연속 평판슬래브의 설계는 부정정 평판슬래브에 대한 정확한 해석의 어려움 등으로 등가보이론과 등가골조이론에 의한 근사식을 수정없이 사용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에 의존하고 있으나 해석결과를 간단하게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PSC 연속 평판슬래브의 부재력은 긴장재의 곡선형태에 따라 변하므로 실제 설계시 PS 긴장재의 정확한 곡선식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부착 PSC 연속 평판슬래브를 설계할 때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PS 긴장재의 기하학적 곡선형태를 결정하는 방법과, PS 긴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판슬래브의 기둥부 휨모멘트에 대하여 판이론을 기초로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으로 계산된 PSC 연속 평판슬래브에 대한 해석값과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지점 부모멘트를 비교 검토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자에게 컴퓨터의 해석결과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teel Box Girder Bridge being stressed the PS Steel Wires at the Upper Slab of the Intermediate Support (지점부 상부슬래브에 PS강선 긴장된 강 박스거더교의 구조적 특성 분석)

  • Cha, Tae-Gweon;Jang, Il-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2
    • /
    • pp.1-7
    • /
    • 2021
  • The concrete deck slab at the continuous span support of the steel box girder bridge is a structure that is combined with the upper flange. It is a structure that can cause tension cracks in the deck slab at the support causing problems such as durability degradation in long span bridges. This is because the tensile str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exceeds the design tensile strength due to the effects of dead load and live load when applying a long spa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trol tensile cracking by adding a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slab at the support and to introduce additional compressive stress. To solve this problem, a structural system of a steel box girder bridge was propose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as PS steel wire tension in the tensile stress section of the upper slab in the continuous support. The resulting structural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steel wire tension test of the actual specimen. By introducing compressive stress that can control the tensile stress and cracking of the slab generated in the negative moment through the tension of the PS steel wire, it is possible to improve structural safety and strengthen dur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steel box girder bridge.

Development of Integrated Turbidity model for Deacheong Reservoir and Downstream river. (대청호와 하류하천 통합 탁수 예측 모델 개발)

  • Jung, Yong-Rak;Chung, Se-Woong;Shin,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93-139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청호와 하류 하천을 연계하여 연속적으로 부유물질의 이송, 확산, 침강과정을 해석 할 수 있는 통합 탁수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다. 저수지와 하천을 연속적으로 모의하기 위해서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 수질 모델인 CE-QUAL-W2 (W2)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W2모델은 탁도를 모의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없기 때문에 모델 경계지점에서의 탁도-부유사(SS) 농도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연속 측정된 탁도를 SS로 변환하였고, SS를 입자크기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침강속도가 다르게 모의하였다. 모의된 SS는 다시 저수지내 관측지점의 탁도-SS 상관관계를 이용해 탁도로 변환하여 실측값과 비교하였고, 하류 하천에서 취수하는 부여 취수장의 탁도-SS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취수 원수의 탁도와 모의값을 비교하였다. 하천의 탁도는 실측값이 없는 관계로 모의된 SS를 그대로 하천의 SS 실측값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통합모델은 저수지내에서 탁도의 수심별 농도를 잘 예측하였고 입자 크기별 침강속도를 고려한 결과 기존의 단일 SS 침강속도 모델에 비해 탁도 예측 성능이 향상되었다. 모델은 강우시 하천에서 급증하는 SS의 농도 변화를 잘 예측하였고, 금강 하류에 위치한 부여 취수장의 일별 취수 원수의 탁도 시계열 변화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Analysis of Salinity Distribution at the tidal reach of Han River Using RAMS (RAMS를 이용한 한강 감조구간에서의 염도 분포 해석)

  • Seo, Il-Won;Song, Chang-Geun;Park,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89-1693
    • /
    • 2008
  • 서해안은 최대 조석 차 9 m 이상의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반일조 지역이므로 염수가 신곡수중 보까지 치고 올라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강 하구부에서의 흐름 및 염도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는 지형적 군사적 특성 상 많이 진행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천해석 프로그램인 RAMS를 적용하여 신곡수중보 하류로부터 유도지점까지의 염도 분포 및 염수 길이를 해석하고 경험식을 이용해 수치모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염수가 최상류까지 치고 올라갈 수 있는 조건으로 최대조위와 최소유량을 가지는 시점을 택해 염도분포 농도를 계산하였으며 하류단인 유도지점의 염도를 인천검조소 실측값으로부터 전이하기 위해 이송분산방정식의 연속주입 해석해를 이용하였다. 염도분포의 최선단부는 장항 IC 부근으로 최대 역류 발생 위치와 같은 지점이었으며 정상염수 쐐기 경험식에 의해 염수의 길이를 해석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