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주입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ield Study on Stabilization of Landfill Gas by Air Injection Mode (공기주입방식에 의한 매립지가스 안정화에 관한 현장연구)

  • Kim, Kyung;Park, Joon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7 no.4
    • /
    • pp.63-71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ir injection mode on stabilization of landfill gas and to predict the time for landfill mining. It took 8 times longer for pulse aeration to get to aerobic condition, compared to continuous aeration. It was evaluated that continuous aeration mode is more preferable than pulse mode for rapid air exchange in landfill mining. High correlation ($r^2$ = 0.95) was found between continuous aeration time and time to maintain aerobic condition when $0.2m^3/min$ of air was continuously injected and stopped. The aerobic condition ($CH_4$ < 5%) was maintained for 1.5 times longer than aeration time.

  • PDF

Study to Reduce Sedimentation Deposit in Straight Path Manholes (중간맨홀내의 유사퇴적 저감방안 연구)

  • Song, Ju Il;Kim, Jung Soo;Rim, Chang Soo;Yoon, Sei Eu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97-97
    • /
    • 2011
  • 관로 및 맨홀에 퇴적된 유사는 우수관거의 통수능을 감소시키고 전체 우수관거 시스템의 효과를 저하시켜, 저지대 침수 및 맨홀역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관로의 최소 유속이 유지되지 않으면 오염물이 침전되고, 관로내의 유하시간이 길어져 침전물 부패로 인한 황하물질 및 악취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관로의 유사와 관련된 주된 연구는 관로내의 유사거동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맨홀에서의 유사퇴적 및 배출 등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중간맨홀을 대상으로 수리실험을 실시하고, 맨홀형태(사각형, 원형), 유사유입형태(연속주입, 일정기간주입), 유사유입량 및 맨홀내부 구조변화에 따른 맨홀내 유사퇴적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맨홀내에 퇴적된 유사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는 관거 유속을 측정하였다. 유사퇴적량을 확인한 결과 맨홀내부의 구조변화가 없는 기본형에서는 유사유입형태가 연속주입 또는 일정기간주입인지와는 관계없이 유입유사량이 증가하면 퇴적량 또한 증가하였고, 맨홀형태가 사각형 또는 원형인지와도 관계없이 맨홀내부의 유사퇴적량은 비슷하였다. 기본형과 비교하여 맨홀내부에 벤칭을 설치하였을 경우 유사퇴적량을 50 % 이상 저감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각형과 원형맨홀에서 동일하였으며 유사유입형태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지 또는 일정기간동안만 순간적으로 유입되는지와도 관계없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벤칭이 설치된 사각형 맨홀의 경우 맨홀내부에 퇴적된 유사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는 유입관거유속이 기본형과 비교하여 30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형맨홀에서는 벤칭을 설치함으로써 유사 완전배출을 위한 관거유속 또한 저감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안의 경우 사각형, 원형, 연속주입, 일정기간주입 등의 조건과 관계없이 퇴적량을 50 % 이상 저감시킬 수 있었고, 유사 완전배출을 위한 관거유속 또한 기본형과 벤칭이 설치된 맨홀과 비교하여 50 % 이상 저감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원형 맨홀의 경우 완전배출 관거유속은 벤칭설치 시와 같았지만 완전배출까지의 소요시간은 본 연구의 개선안이 현저히 짧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시안 맨홀내부 구조변화 개선안이 흐름개선과 함께 맨홀내부에 퇴적되는 유사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데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자유면대수층내 포화대와 비포화대에서의 수리분산특성 연구

  • 강동환;정상용;이민희;김병우;이승엽;손주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168-171
    • /
    • 2003
  • 연속주입추적자시험이 실시된 현장사이트의 규모는 4.5m$\times$4.5m$\times$6.0m 정도이다. 시험 사이트내에서 실시된 추적자시험은 주입공(Pl)에서 Rhodamine WT 50ppm 용액을 1.8$\ell$/min의 주입율로 6일 동안 연속적으로 주입함과 동시에 관측공(P2, P3, Il, I2, I3)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지하수를 채수하여 추적자농도를 산출하였다. 시험결과, 지하수면 하부를 포함하는 관측공(P2, P3)의 최대추적자농도는 초기주입농도의 10% 정도이며, 지하수면 상부에 위치한 지하수공(Il, I2, I3)들에서의 최대추적자농도는 초기농도의 75% 정도로서 추적자의 농도차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면대수층내에서 포화대를 포함한 관측공과 비포화대만을 포함한 관측공에서의 수리분산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한 결과, 오염물이 연속적으로 토양에 유입되는 경우 비포화대 구간에서는 이류기작에 의한 농도희석이 거의 없으므로 오염물농도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f Continuous Production of Alcohol using Biologically Sandwich-styled Immobilization Carrier (샌드위치식 고분자담체를 이용한 알코올 연속생산연구)

  • Park, Young-G.;Kim, Hee-Jung
    • KSBB Journal
    • /
    • v.23 no.3
    • /
    • pp.213-218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lcohol using immobilized carrier manufactured by polymeric materials. Fermentation runs with a crushed rice, with constituents recovered from batch culture and with ones from continuous culture were thus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immobilized carrier were governed by sandwitched synthetic polymers, the evolution of the continuous culture was steadily governed by the production of alcohol in the lag time of batch culture. The main focus was set on the enhancement of the alcohol production by an newly-developed polymeric forms. This polymeric form led to a drastic increase of the microorganism and the production cost in the continuous reactor was thereby reduced. The sandwitched polymeric-formed carrier, which was resistant to external environments, serves as an interesting alternative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biological process. These whol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aim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inuous process implied in the microorganism's build-up during cultivation of fermentation broth.

Development and dielectric strength characteristic of high performance poly meric insulating material (고성능 고분자 절연재료의 특성평가)

  • 곽동주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6 no.1
    • /
    • pp.22-27
    • /
    • 1993
  • 초전도 기기에 사용되는 고체 절연재료는 초전도 상태에서 상전도 상태로 천이시에 발생하는 임펄스 전압의 반복과전과 대전류에 의한 전자응력하에서 그 절연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 기기의 절연재료로 유력시되고 있는 결정성 PET에 임펄스 전압이 연속 과전될 때, 이 재료의 압축응력하에서의 절연강도특성에 미치는 연속과전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PET에 호모전하가 주입되면 임펄스 절연강도가 헤테로 전하주입시 보다 약 4MV/cm정도 높다. 한편, PET에 전하주입의 효과를 억제시킨 임펄스 진성절연강도는 압축응력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최대치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며 직류 절연강도 및 호모전하 주입시의 임펄스 절연강도보다 낮다.

  • PDF

연속주조과정에서의 열유동 및 열응력 해석 기술 개발

  • 조성수;신돈수;김병조;은일상;하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12
    • /
    • 1999
  • 온도에 따라 물성치가 변화하는 재료의 열응력 예측은 연속주조공정에 의한 제품 생산에서 중요하다. 연속주조공정에서 금속이 급속히 냉각됨으로 인하여 응력이 크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금속 내부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최종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주조공정에서 양호한 주조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냉각조건 등과 같은, 주조시 수반되는 여러가지 주조결함의 원인을 제어해 주어야한다. 주조결함에는 주물 주입에 기인하는 결함과 주입 완료 후 응고과정에서 주물의 수축으로 기인하는 결함이 있다. 공기 및 가스의 포집, 개재물의 혼입 등이 전자에 속하며, 응고층 내부의 온도차, 응고수축(solidification shrinkage), 응력변형 등으로 인한 주물변형 및 표면결함 등이 후자에 속한다. 주물의 응고시에 고상화된 영역에서의 온도구배와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는 금속내부에서의 열변형으로 인한 열응력을 발생시키고, 이것은 잔류응력이나 크랙 등과 같은 최종제품의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Non-conservative Pollutant Transport Using 2-D Stream Water Quality Model (2차원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혼합거동 해석)

  • Seo, Il-Won;Song, Chang-Geun;Lee, M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41-17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2차원 수심평균된 이송분산방정식에 유한요소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치모형 구성을 위해 Galerkin법을 이용한 가중잔차법을 사용하였으며, 복잡한 하천경계를 보다 정확히 재현할 수 있도록 삼각 및 사각요소망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의대상 수질인자는 BOD, DO, 질소화합물, 인화합물, 수온, pH 및 대장균군수이며, 이 가운데 BOD와 DO는 상호 쌍을 이루는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특수한 형태이므로 별도로 취급하였다. 순간주입 및 연속주입에 의한 비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을 모의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보존성 오염물질의 확산거동과 비교하였다. 해석해를 이용해 순간주입된 오염물질의 오염운을 구하는 식을 유도하고 해석해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모형에 의한 수치해를 비교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Ethan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 fragilis by Semicontinuous Culture (반 연속식 배양에 의한 효모 K. fragilis의 알콜발효 특성에 관한 연구)

  • 허병기;류장수목영일
    • KSBB Journal
    • /
    • v.4 no.2
    • /
    • pp.185-190
    • /
    • 1989
  • Semicontinuous alcohol fermentation of Jerusalem Artichoke by K. fragilis CBS 1555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ffective dilution rate and influent sugar concentration to the ethanol concentration and alcohol productivity at steady state. When the time interval for the replacement of fresh influent with fermentation broth was less than or equal to 1 hr, the effective dilution rate was found out to be equal to the specific growth rate. Wash out was not occurred until the effective dilution rate, 0.425 hr-1, and the maximum alcohol productivity was around 5.5 g/1·hr. In this case, the effective dilution rate was 0.25 hr-1 and the influent sugar concentration was distributed from 85 g/l to 135 g/1.

  • PDF

Low-Temperature Selective Epitaxial Growth of SiGe using a Cyclic Process of Deposition-and-Etching (증착과 식각의 연속 공정을 이용한 저온 선택적 실리콘-게르마늄 에피 성장)

  • Kim, Sang-Hoon;Shim, Kyu-Hwan;Kang,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1-154
    • /
    • 2002
  • AP/RPCVD를 이용하여 $650^{\circ}C$의 저온에서 실리콘-게르마늄의 선택적 단결정 성장 (Selective Epitaxy Growth: SEG) 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iH_4$, $GeH_4$ 그리고 HCl 가스를 사용하여 잠입시간 동안 실리콘-게르마늄막을 성장시키고 연속해서 HCI 가스만을 주입하여 산화막 위에 형성되어진 작은 결정입자들을 식각하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HCl 의 식각에 의해 한 주기의 잠입기 후에도 다시 잠입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이 성장법을 통하여 한 주기의 잠업시간 동안 증착할 수 있는 두께 이상으로 실리콘-게르마늄막의 선택적 성장이 가능하였다. 이는 저온 선택적 실리콘-게르마늄 성장 시 RPCVD에서 보이는 낮은 선택성과 $SiH_4$의 짧은 장입시간으로 인해 원하는 두께까지 확보하기 힘든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선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게르마늄 증착중 주입된 HCI의 유량에 따라 잠입시간과 증착속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연속공정을 위한 식각공정은 20sccm의 HCI을 20초간 주입하여 선택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보론 불순물의 첨가가 선택적으로 성장되는 박막의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