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음성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Phonetic Properties of Prosodic Boundaries (운율 경계의 음성적 특질 연구)

  • 한선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5
    • /
    • pp.12-21
    • /
    • 1998
  • 이 연구는 몇 가지 음성적 특징들이 한국어 연속 음성에서의 운율단위의 운율 단서 로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구 단위의 운율 이론 체계에서 한국어의 운율단위를 악센트구와 억양구로 정의한 전선아(1993)의 연구 결과를 연속음성 자료에 도입하면서 운율 경계에서의 음성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악센트구와 억양구말에서는 피치 패턴 과 경계성조의 변화 뿐 아니라 단위말 음절의 길이 증가 현상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또 악센트구와 억양구초에서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의 경우, 모음 시작부에서의 성문음 화가 특징으로 나타난다. 운율 경계에서의 이런 음성적 특징들은 운율단위를 구분짓는 단서 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한국어 연속음성의 운율적 패턴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n long-term change of jitter component on continuous speech signal (음성신호의 Jitter 성분의 장시간 변화에 관한 통계적 분석)

  • Jo, Cheolwoo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2 no.4
    • /
    • pp.73-80
    • /
    • 2020
  • In this study, a method for measuring the jitter component in continuous speech is presented. In the conventional jitter measurement method, pitch variabilities are commonly measured from the sustained vowels. In the case of continuous speech, such as a spoken sentence, distortion occurs with the existing measurement method owing to the influence of prosod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ntence.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pitch fluctuations of prosody information in continuous speech. To remove this pitch fluctuation component, a curve representing the fluctuation is obtained via polynomial interpolation for the pitch track in the analysis interval, and the shift is removed according to the curve. Subsequently, the variability of the pitch frequency is obtained by a method of measuring jitter from the trajectory of the pitch from which the shift is remov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posed method, parameter valu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s are compared using samples from the Kay Pentax MEEI databas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jitter components from the continuous speech can be measured effectively by proposed method and the values are comparable to the parameters of sustained vowel from the same speaker.

A Syllabic Segmentation Method for the Korean Continuous Speech (우리말 연속음성의 음절 분할법)

  • 한학용;고시영;허강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3
    • /
    • pp.70-75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syllabic segmentation method for the korean continuous speech. This method are formed three major steps as follows. (1) labeling the vowel, consonants, silence units and forming the Token the sequence of speech data using the segmental parameter in the time domain, pitch, energy, ZCR and PVR. (2) scanning the Token in the structure of korean syllable using the parser designed by the finite state automata, and (3) re-segmenting the syllable parts witch have two or more syllables using the pseudo-syllable nucleus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capability evaluation toward the proposed method regarding to the continuous words and sentence units are 73.5%, 85.9%, respectively.

  • PDF

Automatic Segmentation Using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를 이용한 자동 음성 분할)

  • 김도한;이상운;이기정;홍재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95-798
    • /
    • 2000
  • 연속음 인식과 음성 합성을 위해서는 정밀한 음성학적 모델과 연속 음성에 적용 가능한 언어 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인식 단위, 혹은 합성 단위의 분할이 필요한데, 수동음성 분할은 일관성의 유지가 어렵고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자동 분할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자동 음성 분할 기법으로는 시간 영역이나 주파수 영역특징 벡터의 천이를 분석하는 방법과 특징 벡터간의 상관도를 구하여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는 음성의 주파수 영역의 특징을 잘 나타내며, 동일 음소 내의 상관도가 서로 다른 음소의 상관도보다 더 크고, 음소의 경계구간에서 급격한 상관도의 변화를 보인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이웃 프레임에 대한 상관도의 방향성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여 음소의 경계를 구하는 방법을 찾았다. 또한 LPC. 이득 인자만으로 묵음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렇게 하면 묵음 구간검출과 음소 경계 검출의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안한 기법으로 허용 오차 20ms 이내에서 연속음성에 대한 음소 경계 검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작업으로 행한 경계 검출 지점의 약 88%를 정확히 검출하였다.

  • PDF

Th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with Limited word (제한된 단어를 갖는 우리말 연속 음성 인식)

  • 김석동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87-90
    • /
    • 1998
  • 이 논문에서 우리는 대규모 어휘를 갖는 연속 음성 인식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말은 영어와 구조적으로 달라서 대용량 어휘를 갖는 연속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언어모델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 언어 모델을 우리말 문장에 적용하기 위해 신문의 사설을 3-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우리의 인식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공학 연구소에서 제공한 낭독 음성을 대상으로 인식률을 계산하였다. 589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총 20명이 발음한 3,156개의 문장에 대하여 남자 92.2%, 여자 87.9%의 인식률을 얻었다. 발음사전은 낭독음성과 신문 사설에서 추출한 10K 크기이며 uniphone의 음성모델을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Speaker Adaptation in Continuous Digits Speech Recognition (연속숫자 음성인식에서 화자 적응에 관한 연구)

  • 최광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19.2-32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반음절 단위 HMM을 이용한 연속 숫자 음성인식 시스템의 2단계로 이루어지는 화자 적응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훈련데이터의 양이 많더라도 발성속도, 발성크기 등의 화자 발성 습관에 따라 화자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불특정 화자를 대상으로 한 음성 인식에 있어서 개인차에 의한 변동을 대처하는 방법으로 유효한 음향적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스펙트럼의 동적인(Dynamic) 특성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자 적을 기법의 하나인 frequency warped spectral matching 방법을 연속숫자 음성 인식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이때 인식에 의한 적절한 화자별 스케일링 계수 선정 방법을 수행하여 오인식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Multimedi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휴대 멀티미디어 단말용 음성인식 시스템 개발)

  • 김승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59-6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Handy Combi 응용 도메인을 대상으로 한 화자독립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불특정화자가 자연스럽게 발음한 연속음성을 인식하는 기술은 펜인식 등과 더불어 멀티모달 인터페이스의 핵심 요소로서, 이동 환경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처리하는 지능형 에이전트에 구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확률분포를 가지는 Hidden Markov Model(HMM) 기반의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음성특징벡터로 MFCC를 사용하였으며, 음소 모델의 강인한 훈련을 위해 음성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tree-based clustering 방식을 도입하였다. 인식단계에서는 인식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beam-search 기법을 적용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99.7%의 어절 인식률과 98.8%의 문장 인식률을 얻었으며, 최종적인 문장의 이해도는 99% 이상이었다.

  • PDF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ntinuous speech using CHMM word spotting (CHMM Word Spotting 기법을 이용한 연속음성 인식에 관한 연구)

  • 김수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373-377
    • /
    • 1994
  •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 구성을 위한 HMM WORD SPOTTING 기법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HMM WORD SPOTTING 기법은 O(n)DP 기법와 OPDP 법이다. 인식시스템은 파라메터로 멜켑스트럼 만을 사용한 경우와 동적 파라메터인 희귀계수를 결합한 경우의 2종류이며, 인식 알고리즘은 O(n)DP 법과 유한상태 오토마타에 의해 구문제어를 실?나 ONE PASS DP 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인식 단위는 음절과 단어가 혼합된 형태이고 학습은 모두 음절단위로 실시하였으며 연속음성 25문장에 대하여 O(n)DP법과 OPDP법의 인식결과를 비교하여 연속음성 인식에 구문제어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 인식률이 O(n)DP 의 경우 각각 90.6%, 90.9%, OPDP 의 경우 각각 98.4%, 98.6%로 유한 상태 오토마타에 의한 구문제어를 이용한 평균 7.5%의 인식률이 향상되었다.

  • PDF

A Study on Syllable's and Prosodic Phrase's Boundaries in Korean Speech Signal (한국어 음성신호의 음절과 운율구 경계에 관한 연구)

  • Lee Kiyoung;Song Minsuc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61-364
    • /
    • 1999
  • 한국어의 연속 음성 인식을 위하여 운율구 단위로 경계를 검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과정의 일부로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음향 특징들을 조합하여 연속음성에서 음절 경계의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연속 음성으로부터 한국어 운율구인 강세구의 경계를 운율 특징만을 이용한 패턴 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한 것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패턴 비교 방법으로 검출한 강세구의 경계를 음절의 경계와 일치되도록 정렬해줄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Korean Spontaneous Speech Characteristics for Spoken Dialogue Recognition (대화체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한국어 대화음성 특성 분석)

  • 박영희;정민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3
    • /
    • pp.330-338
    • /
    • 2002
  • Spontaneous speech is ungrammatical as well as serious phonological variations, which make recognition extremely difficult, compared with read speech. In this pap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e analyze the transcriptions of the real conversational speech, and then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peech in the speech recognition aspect. Reflecting these features, we obtain the baseline system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The classification consists of long duration of silence, disfluencies and phonological variations; each of them is classified with similar features.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first, we update silence model and append a filled pause model, a garbage model; second, we append multiple phonetic transcriptions to lexicon for most frequent phonological variations. In our experiments, our baseline morpheme error rate (WER) is 31.65%; we obtain MER reductions such as 2.08% for silence and garbage model, 0.73% for filled pause model, and 0.73% for phonological variations. Finally, we obtain 27.92% MER for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 which will be used as a baseline for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