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속강우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ing Model with Data Assimilation Technique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 개발)

  • Lee, Byong-Ju;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3
    • /
    • pp.199-20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model by linking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with ensemble Kalman filter technique. Andong dam basin is selected as study area and the model performance is evaluated for two periods, 2006. 7.1~8.18 and 2007. 8.1~9.30. The model state variables for data assimilation are defined as soil water content, basin storage and channel storage. This model is designed so as to be updated the state variables using measured inflow data at Andong dam. The analysing result from the behavior of the state variables, predicted state variable as simulated discharge is updated 74% toward measured one. Under the condition of assuming that the forecasted rainfall is equal to the measured one, the model accuracy with and without data assimilation is analyzed. The model performance of the former is better than that of the latter as much as 49.6% and 33.1% for 1 h-lead time during the evaluation period, 2006 and 2007. The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model using rainfall-runoff model linking with data assimilation process can show better forecasting result than the existing methods using rainfall-runoff model only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Research of water treatment system to reduce pollution by rainfall runoff (강우유출수 오염저감을 위한 수처리장치 개발)

  • Park, Jae-Young;Ko, Jai-Ung;;Chang, Jun-You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24-1228
    • /
    • 2005
  • 본 연구는 강우시 주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에 의해 하천으로 직유입 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을 사전에 저감시키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상화한 Pilot 규모의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Pilot Plant는 경희대학교 내 하수처리장 부근에 설치하였으며, 유입부, 사면수처리부, 평면수처리부, 유출부로 구성되며, 수처리조 내부에 다공성여재와 상부에는 식생을 조성하여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 사면수처리부는 하천의 제방사면부를 형상화 한 것으로 2:1의 구배를 가지며, 15개의 육각형 모듈을 5개씩 3계열로 배치하여 여재의 처리효율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배열하였다. 평면수처리부는 장방형의 접촉산화조로서 하부에 슬러지 침전 및 저류를 위한 hopper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수집 및 인발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역세를 위한 배관을 설치하여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의 양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처리시설물의 자연 친화성 확보 및 식생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를 위해 수처리부 상부에 식생을 조성하였다. 본 Pilot Plant의 주요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은 수처리부 내부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와 강우유출수 사이에 발생되는 침전, 여과, 흡착과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식생에 의한 영양물질 섭취 등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는 하천의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성화한 Pilot Plant에서 다양한 factor, 즉 유입수량과 농도, 다공성여재 형상 및 충진밀도 등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각각 비교, 검토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responses to rainfall in the two aquifer systems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양상 비교분석 : 강원도 원주지역과 경기도 의왕지역)

  • 이진용;이강근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1
    • /
    • pp.3-14
    • /
    • 2002
  • We analyzed hydrologic time-series data obtained from a fractured aquifer in Wonju and a porous shallow aquifer in Uiwang area. Auto-correlation, spectral density, and cross-correlation func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es. Water level at a shallow well in Wonju was weakly auto-correlated and it was sensitive to direct infiltration from rainfall through soil zone while that at a well screened in the fractured zone showed a relative stability to an outer stress (rainfall), which was derived from a delayed transmission of recharge stress through a fracture network from a remote area. Characteristics of time-series data in Uiwang area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fractured zone in Wonju. This was caused by a regional recharge from a distant area rather than a direct infiltr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a usefulness of time series analyses for identification of recharge mechanism.

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Catchment in Eoseungsaeng-oreum, Jeju Island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 -)

  • KIM, Taeho;AN, Jungg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5 no.2
    • /
    • pp.55-65
    • /
    • 2008
  • In order to examin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scoria cones in Jeju Island, hydr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basin (5.1 ha) of Eoseungsaeng-oreum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covered with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serrata. Although runoff has continuously occurred during the observed period, the baseflow gradually increased from April and decreased from October. The peak flow approximately corresponded to every rainfall events except for the rainfall events which has slight total precipitation and no previous precipitation. The experimental basin shows flash runoff response and short lag time; the mean lag time is 35.8 minutes. Although the runoff ratio of quick flow is proportional to total precipitation, the increasing rate is low and the maximum runoff ratio is 24.7%. In addition, the runoff ratio is less than 1% in 68.3% of the rainfall events, suggesting that the portion of quick flow to total precipitation is low. The rainfall events with relatively long event time demonstrated a secondary peak generated by translatory flow. The runoff characteristics seem to be related to local impermeable beds in the experimental basin.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Using a Mixed Distribution (혼합분포를 이용한 면적감소계수의 산정)

  • Yoo, Chul-Sang;Kim, Kyoung-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9
    • /
    • pp.759-769
    • /
    • 2004
  •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ology to derive the areal reduction factor (ARF) using mix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Estimation of ARFs requires using the simultaneous rainfall data over the basin, which is rarely available in general. The new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uses more available daily rainfall data during a given period, so the mix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should be introduced to explain both the rainfall intermittency and variability. This study applied the mixed gamma distribution for the derivation of ARFs for the Keum river basin, and found that the new method is easier for application as well as it provides very comparable results.

A Study on Regionalization of Parameters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연속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에 관한 연구)

  • Jeong, Ga-In;Kim, Tae-J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2-182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강우관측시스템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상대적으로 소규모 저수지의 경우 미계측유역의 특성을 가지며, 신뢰성 있는 강우량, 유출량, 증발량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다목적댐 유역과 같은 계측유역의 경우 상류유역의 유입량 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만 대부분의 유역의 경우 계측장비가 부족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유입량 자료를 얻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유입량 산정을 위하여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매개변수를 유역특성인자와의 상관성을 토대로 다중선형회귀분석기법(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을 적용하여 지역화(regionalization)를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양질의 유량자료가 확보된 K-water 17개 댐 유역을 대상으로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 중 2개의 댐 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간주하여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통계 지표에서 우수한 모의능력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지역화 기법을 미계측유역에 활용한다면 보다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 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로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Bayesian GLM 모형을 이용한 지역화기법을 개발하여 매개변수의 불확실성까지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Estimation Errors on Measurement with Rainfall Radar Observation Intervals (강우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강수량 오차 분석)

  • Hwang, Seok Hwan;Cho, Hyo Seob;Lee, Keon Haeng;Hyun, Myu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7-97
    • /
    • 2018
  • 기후변화로 악화되는 수문기상 환경에서 돌발홍수 예보, 짧은 지속기간(5분)의 확률강우량 생산 등을 위해서는 짧은 관측 주기의 강수량 생산 고려 필요하다. 지상강수량은 1분 간격으로 생산(기상청)하고 있으나 공간적으로 보다 정밀한 레이더 강수량은 기상청 10분, 국토교통부 2.5분 간격으로 생산하고 있는 현실이다. 연속으로 누적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계와는 달리 레이더의 관측방식은 순간 관측 방식으로 회전 속도 혹은 주기에 따라 강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홍수예보를 위한 강수관측이 주목적인 국토교통부 강우레이더의 경우 최근의 돌발홍수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단시간(2분 이내) 강수량 생산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 주기에 따른 관측 강수량 오차(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샘플링 방법을 이용하여 10분까지의 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1시간 누적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측 주기에 따른 지상강수량계(AWS)와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및 정규화오차 정확도(1-NE)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샘플링 주기의 증가에 따라 오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수량 추정의 정확도가 중요한 홍수예보를 위해서는 짧은 주기의 관측(짧은 주기의 강우량 생산)이 정확도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tion of Hydrologic Analysis System for Large Scale River (대하천 수문분석 시스템의 적용)

  • Hwang, Man-Ha;Ko, Ick-Hwan;Lee, Sang-Jin;Jeong, Woo-Chang;Mae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26-1429
    • /
    • 2005
  • 실시간 통합 물관리 운영을 위한 강우예측시스템에서 제시되는 예측강우량과 강우시나리오 및 실시간 또는 단기간(10일 이내)의 용수수요와 공급을 위한 분석 기술을 RRFS에 연계함으로써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였다. 이를 위한 기술로서 용수수요량(취수량)과 하천유황을 실시간으로 취득$\cdot$관리하기 위한 물 정보관리기술을 개발하고, 장단기 하천유량의 예측을 위한 하천의 연속 유출량 예측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모의 운영 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Short-range Rainfall Forecasting Model using Multi-layer CAPPIs (다중 레이어 CAPPI를 이용한 단시간 강우 예보모형 개선)

  • Kim, Gwang-Seob;Han, Kun-Yeun;Kim,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23-626
    • /
    • 2006
  •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제공되는 연속된 두 장의 레이더 반사도(합성 CAPPI) 자료의 최대 상관계수를 찾아 냄으로써 강수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TREC(Tracking Radar Echoes by Correlation) 기법은 동일 고도의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평방향의 2차원이며, 대류성 구름체계에서 발생되는 수직 활동을 표현할 수 없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고도의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TREC 기법을 이용한 단시간 예보모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특정고도의 레이더 반사도를 이용하여 에코를 추적하는 TREC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고도의 레이더 반사도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접근법보다 실제 강수의 움직임에 더욱 가깝도록 단시간 강우 예보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ccording to Dam Break Scenario Based on Continuous Rainfall Event (연속호우사상기반의 댐 붕괴 시나리오에 따른 최적대피소 선정에 관한 연구)

  • Kim, Kyunghun;Lim, Jonghun;Kim, Hung Soo;Shin, Soeng 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4
    • /
    • pp.433-447
    • /
    • 2023
  •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stability of existing dams due to abnormal climate and the aging of dams. Emergency Action Plans (EAPs) for reservoir or dam failure only consider a single rainfall event. Therefore, this study simulates dam failure caused by continuous rainfall events,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EAP by selecting the optimal shelters. We define a mega rainfall event scenario caused by continuous rainfall events with 500-year frequency in the Chungju Dam watershed and estimate the mega flood. The mega flood event scenario is divided into two cases: scenario A represents the flooding case caused by discharge release from a dam, while scenario B is the case of a dam break. As a result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the flooded damage area by the scenario A is 50.06 km2 and the area by the scenario B is 6.1 times of scenario A (307.45 km2). We select optimal shelters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in the city of Chungju, which has the highest inundation rate in the urban area. Seven shelter evaluation indicat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shelter selection criteria are chosen,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is used to evaluate the alternatives. As a result of the optimal shelter selection, the six shelters are selected and five are schools. This study considers continuous rainfall events for inundation analysis and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ment of the E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