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소지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26초

냉시동 조건에서 디젤 연소 특성 및 연소 개선에 대한 연구 (Improment of Diesel Combustion using multiple injection under Cold Start Condition)

  • 이행수;이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11-717
    • /
    • 2017
  • 디젤엔진은 저온 상태의 냉시동 조건에서 디젤 미립화 특성 악화로 인한 시동성 및 유해배출가스 생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냉시동 시의 연소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다단분사 전략 적용 시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냉시동성 개선을 위해 방안으로 다단분사 적용 시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적 연소 챔버 내에 설치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연소압 및 열방출율, 직접 화염 가시화기법을 적용한 화염강도를 이용하여 연소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단일 분사 대비하여 다단 분사 적용 시, 주분사에 의한 최대 연소압력 및 열방출 상승률이 증가하며, 주분사에 의한 화염 감지 기간이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파일럿 분사량 변경을 통해 분사량 증대 시 파일럿 연소에 의한 열방출 향상에 기인한 주분사에 의한 연소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사압력 증대 시 연료 미립화 개선으로 인한 연소개선을 화염 강도 증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분사량 및 분사압 증대는 벽면적심현상으로 인한 HC, CO의 배출 수준 악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실제 엔진 개발 시 이에 대한 정밀한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E-GOX 하이브리드 모터의 연소특성 및 성능 예측 기법 : Part I, 연소 특성 (Performance Prediction Method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E-GOX Hybrid Rocket Motor : Part I, Combustion Characteristics)

  • 윤창진;송나영;유우준;문희장;김진곤;성홍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7-270
    • /
    • 2006
  • Polyethylene-GOX 조합 추진제를 이용한 소형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레인 두께에 대하여 평균화된 여러 형태의 상관관계식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연료 발생율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산화제 유량율에 대하여 크게 변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델 스크램제트 엔진의 지상시험결과에 대한 전산해석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about the Ground Test Results of Model Scramjet Engine)

  • 강상훈;이양지;양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8-3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모델 스크램제트 엔진의 특성을 자세히 고찰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예측한 압력분포도는 충격파 터널을 이용한 지상시험과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연소기 내부의 정온도 및 정압력분포에 대한 분석에서 공동보염기는 국소적인 고온영역을 발생시키며, W자형 카울은 유동의 가로방향에 대해 압력불균형을 유발시킨다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연소기 내부의 초음속 연소를 증진시키는 효과로 이어졌다.

  • PDF

충격파 터널시험을 통한 스크램제트 엔진의 초음속 연소현상연구 (Investigation of Supersonic Combustion within the Model Scramjet Engine by Shock Tunnel Test)

  • 강상훈;이양지;양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07-311
    • /
    • 2008
  • 호주의 T4 충격파 터널을 이용하여 모델스크램제트 엔진의 지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조건은 마하 7.6 고도 31km로 두었으며 연료유량, 공동보염기, 카울형상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료유량에 따라 연소기 내부에서 초음속 연소 또는 열질식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공동보염기 및 W자형 카울은 연소반응을 더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aser 流速計에 依한 燃燒現象測定 (Combustion measurements by the laser doppler velocity)

  • 조경국;정인석
    • 오토저널
    • /
    • 제1권1호
    • /
    • pp.7-16
    • /
    • 1979
  • Laser는 공간적 시간적 가간섭성이 매우 우수하며 단색성, 고출력, 단시간 Pulse등의 특성을 지 니고 있어서 각종의 계측, 통신, 가공, 정보처리, 의료, 농학 등의 다방면에 널리 응용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Laser유족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측정불가능하였던 연소현상에 대 해서도 LDV를 활용하여 좋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도 연소현상에 대한 LDV의 응용은 정치 Burner화염에 한정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발전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다. 그 중에서도 밀폐연소실내에서의 화염면전후의 유속계측, 전화화염의 화염전파속도, 연소속도 등에 관한 연구, 그리고 과도적으로 변동하는 유속, 화염온도, 연소실내 압력의 동시계측에 의한 각종 상관관계연구 및 난류화염유속의 계측 등금후 LDV를 이용한 실험의 발전이 매우 기대되는 바이다.

  • PDF

LPG 압력 조정기용 다이아프램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홍;정기창;조기성;이영철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09-113
    • /
    • 1998
  • 압력조정기란 저장탱크와 용기로 부터 연소기에 공급되는 가스압력을 연소기의 압력에 맞게 조절하여 정상연소가 되도록 돕는 장치로써, 용기 및 저장탱크내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스의 조성, 온도, 소비량, 소비시간, 잔류가스량 등의 변화에 따라 감압작용과 정압작용을 동시에 하는 장치이다. LPG용 압력조정기는 일반가정용이나 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조정기로써 용량 4kg/h부터 집단공급용인 수백 키로까지의 제품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감압작용, 정압작용, 폐쇄작용을 한다. (중략)

  • PDF

SOFC 모듈평가장치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OFC stack module)

  • 최영재;이인성;전중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1.2-81.2
    • /
    • 2010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은 스택과 기계적 주변 장치인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그리고 전기적 주변장치인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되어있다. SOFC는 일반적으로 $7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열 이용 및 열 관리가 중요하다. SOFC 시스템의 MBOP에는 상온의 연료가스들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스택에 유입 시기키 위한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 등의 장치들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열관리를 위해서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치들을 한곳에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SOFC 시스템의 MBOP(Mechanical Balance of Pant) 중 고온부에 해당하는 촉매연소기, 열교환기 및 스택이 통합된 스택 모듈을 제작에 앞서 개념 검증을 위해 열교환기 및 촉매연소기로 이루어진 프로토타입(prototype)의 SOFC 모듈평가 장치를 제작하였다. 열교환기는 Plate형으로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극과 공기극 가스라인에 각각 3개씩 배치하여 스택에 유입되는 연료 및 공기가 촉매연소기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가스와 열교환되어 가열되도록 구성하였다. 촉매연소기는 honeycomb 타입의 촉매를 사용하였고, 촉매연소기로 유입되는 연료극 배가스와 공기의 균일혼합과 hot spot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SOFC 모듈평가장치는 시운전을 통해 각 장치의 성능 확인 후 반응면적이 $20{\times}20cm^2$ 인 단전지를 적층하여 연계 운전을 수행하였다.

  • PDF

FRP용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들의 연소 특성 연구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s for FRP)

  • 최원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1-57
    • /
    • 1998
  • FRP용 모재수지로 다량 사용되는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이소프탈산계, 비닐에스터계)의 내열성 및 연소특성을 열분석, 연소실험 및 SEM 관찰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열분석(TGA, D DSC) 결과 이소프탈산계 폴리에스터보다 비닐에스터수지의 내열 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실험 결과 이소프탈산계 폴리에스터는 수지에 유통이 생기면서 쉽 게 연소되었지만, 비닐에스터의 경우 연소 시 고체탄화물을 형성시켜 상대적으로 낮은 b burning rate 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가 연소될 때 많은 연기와 화염이 발생하므로 FRP 모재수지로 사용할 때 반드시 난연처리를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하 5 스크램젯 엔진 모델의 연소 시험 (Combustion Test of a Mach 5 Scramjet Engine Model)

  • 양인영;이양지;김영문;이경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14
    • /
    • 2013
  •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마하 5 스크램젯 엔진 모델에 대해 불어내기식 시험 설비를 사용해 연소 시험을 수행했다. 두 가지 모델 형상에 대해 각각 연료가 없는 경우와 두 가지 당량비로 연료를 공급한 경우를 시험했다. 모델 내부의 벽면 정압력을 측정해 시간에 대한 데이터와 시간 평균한 공간적 데이터 분포를 사용해 모델 내부의 유동과 연소 현상을 분석했다. 모델 길이가 짧은 경우는 두 가지 당량비 모두에서 초음속 연소가 일어났다. 모델 길이가 긴 경우는 낮은 당량비에서는 초음속 연소가, 높은 당량비에서는 열질식이 발생하면서 아음속 연소가 일어났다. 이 때 흡입구 불시동은 발생하지 않았다.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Forest Characteristics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on Forest Fire Burnt Area)

  • 이시영;이명욱;염찬호;권춘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2-39
    • /
    • 2009
  • 본 연구는 산불적지에서 숲 가꾸기 실행 유무와 산불위험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에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및 경북 울진지역에 총18개소의 세부조사구를 선정하여 숲 가꾸기 실행 유무, 피해수종,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율, 수관피해율, 임목밀도, 지하고, 숲 가꾸기 산물의 방치유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조사사면의 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숲 가꾸기 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24.7%인 반면, 미실행지의 편면연소율은 60.2%로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35.5% 높게 나타났고, 수종별로는 소나무가 참나무류 보다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임목고사율의 경우도 숲 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해 약 41.4%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 가꾸기 실행지의 산물들이 근접해 있는 임목이 그렇지 않은 임목에 비하여 10${\sim}$20%의 편면연소 피해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임목주변에 숲 가꾸기 산물이 있을 경우, 독립적으로 있는 임목보다 연소물량이 많아 산불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적재된 간벌목이 산림 내에 많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 가꾸기 산물을 임외로 걷어 내리거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