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세대학교

검색결과 4,218건 처리시간 0.027초

Hemodynamic, Autonomic, and Vascular Function Changes after Sleep Deprivation for 24, 28, and 32 Hours in Healthy Men

  • Slomko, Joanna;Zawadka-Kunikowska, Monika;Kozakiewicz, Mariusz;Klawe, Jacek J.;Tafil-Klawe, Malgorzata;Newton, Julia L.;Zalewski, Pawel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138-114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SD) on cardiac, hemodynamic, and endothelial parameter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are sustained with increased periods of SD. The study included 60 healthy men (mean: age $31.2{\pm}6.3years$; body mass index $24.6{\pm}2.6kg/m^2$). Hemodynamic parameters, parameters of myocardial contractility,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HR) and blood pressure (BP) variability, and the sensitivity of arterial baroreflex function were evaluated.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L-arginine (L-Arg) and asymmetric dimethylarginine (ADMA) levels in reflect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ability. Measurements of cardiovascular system parameters were obtained at 9 a.m. (baseline) on the first day of the study and 9 a.m. (24-h SD), 1 p.m. (28-h SD), and 5 p.m. (32-h SD) on the second day. Blood samples for evaluating biochem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24-h SD. ANOVA Friedman's test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for time in relation to HR (${\chi}^2=26.04$, df=5, p=0.000), systolic BP (${\chi}^2=35.98$, df=5, p=0.000), diastolic BP (${\chi}^2=18.01$, df=5, p=0.003), and mean BP (${\chi}^2=28.32$, df=5, p=0.000). L-Arg and ADMA levels changed from $78.2{\pm}12.9$ and $0.3{\pm}0.1$ at baseline to $68.8{\pm}10.2$ and $0.4{\pm}0.1$ after 24-hr SD, respectively (p=0.001, p=0.004). SD in healthy men i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BP, which appear to occur after 24 hours of SD and are maintained over increasing periods of SD. The observed hemodynamic changes may have resulted due to disordered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as reflected in alterations in L-Arg and ADMA levels.

Seroepidemiology of Hepatitis Viruses and Hepatitis B Genotyp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Kwon, Jae-Cheol;Chang, Hye Young;Kwon, Oh Young;Park, Ji Hoon;Oh, In Soo;Kim, Hyung Joon;Lee, Jun Hyung;Roh, Ha-Jung;Lee, Hyun Woong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72-1078
    • /
    • 2018
  • Purpose: The Korean society has moved rapidly toward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seroprevalence of hepatitis viruses and investigate hepatitis B virus (HBV) genotypic diversity in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terials and Methods: Scree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between July 2011 and January 2017. A total of 963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lood samples were tested for hepatitis viral markers and HBV genotype. Results: Subjects' median age was 33 years (20-40 years), and they originated from nine countries including Vietnam (n=422, 43.8%), China (n=311, 32.3%), the Philippines (n=85, 8.8%), Cambodia (n=58, 6.0%), and Japan (n=39, 4.0%). About 30% (n=288) of subjects required hepatitis A vaccination. HBsAg positive rate was 5.4% (n=52). Positive HBsAg results were the highest in subjects from Southeast Asia (6.6%, n=38). Anti-HBs positive rate was 60.4% (n=582). About 34% (n=329) of subjects who were negative for anti-HBs and HBsAg required HBV vaccinations. Genotypes B and C were found in 54.6% (n=12) and 45.4% (n=10) of the 22 subjects with HBV, in whom genotypes were tested. Eight (0.8%) subjects were positive for anti-HCV. Positive anti-HCV results were the highest in subjects from Central Asia (7.9%, n=3). Conclusion: Testing for hepatitis viral marker (hepatitis A virus IgG and HBsAg/anti-HBs) is needed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Especially, HBV genotype B is different from genotype C of Koreans. Therefore, interest and attention to vaccination program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necessary for both clinicians and public health institutes.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among Women in Korea, 2005-2015

  • Choi, Eunji;Lee, Yoon Young;Suh, Mina;Lee, Eun Young;Mai, Tran Thi Xuan;Ki, Moran;Oh, Jin-Kyoung;Cho, Hyunsoon;Park, Boyoung;Jun, Jae Kwan;Kim, Yeol;Choi, Kui Son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26-1033
    • /
    • 2018
  • Purpose: Consistent evidence indicates that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are low among socioeconomically deprived wome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rends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and to analyze socioeconomic inequalities among Korean women from 2005 to 2015.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an annual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were utilized. A total of 19910 women were finally included for analysis. Inequalities in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status were estimated by slope index of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dex of inequality (RII), along with calculation of annual percent changes (APCs), to show trends in cancer screening rates. Results: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increased from 54.8% in 2005 to 65.6% in 2015 and from 37.6% in 2005 to 61.2% in 2015, respectively. APCs in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were significant among women with higher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status. Inequalities by household income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uptake were observed with a pooled SII estimate of 10.6% (95% CI: 8.1 to 13.2) and RII of 1.4 (95% CI: 1.3 to 1.6). Income inequalities in breast cancer screening were shown to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with a pooled SII of 5.9% (95% CI: 2.9 to 9.0) and RII of 1.2 (95% CI: 0.9 to 1.3). Educational inequalities appeared to diminish over the study period for both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Conclusion: Our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inequalities among socioeconomically deprived women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in Korea. Especially, income-related inequalities were greater than education-related inequalities, and these were constant from 2005 to 2015 for both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Factors Associated with Lung Function Recovery at the First Year after Lung Transplantation

  • Yoon, Bo Ra;Park, Ji Eun;Kim, Chi Young;Park, Moo Suk;Kim, Young Sam;Chung, Kyung Soo;Song, Joo Han;Paik, Hyo-Chae;Lee, Jin Gu;Kim, Song Yee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88-1095
    • /
    • 2018
  • Purpose: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lung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covery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t the first year after lung transpla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lung transplantation patients between October 2012 and June 2016. Patients who survived for longer than one year and who underwent pulmonary function test at the first year of lung transplantation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recovered to a normal range of FEV1 (FEV1 ${\geq}80%$ of predicted value vs. <80%). We compared the two groups and analyzed factors associated with lung function recovery. Results: Fifty-eight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28 patients (48%) recovered to a FEV1 ${\geq}80%$ of the predicted value, whereas 30 patients (52%) did not. Younger recipients [odds ratio (OR), 0.9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7-0.98; p=0.010], longer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or use after surgery (OR, 1.14; 95% CI, 1.03-1.26; p=0.015), and high-grade primary graft dysfunction (OR, 8.08; 95% CI, 1.67-39.18; p=0.009)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 lack of full recovery of lung function at 1 year after lung transplantation. Conclusion: Immediate postoperative status may be associated with recovery of lung function after lung transplantation.

Inhibition of miR-128 Abates Aβ-Mediated Cytotoxicity by Targeting PPAR-γ via NF-κB Inactivation in Primary Mouse Cortical Neurons and Neuro2a Cells

  • Geng, Lijiao;Zhang, Tao;Liu, Wei;Chen, Yong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96-1106
    • /
    • 2018
  • Purpose: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sixth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MicroRNAs have been identified as vital play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D. microRNA-128 (miR-128) has been shown to be dysregulated in A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ole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iR-128 in AD prog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Expression patterns of miR-128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messenger RNA in clinical samples and cells were measured using RT-qPCR assay. $PPAR-{\gamma}$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ssay.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ell apoptotic rate was detected by flow cytometry via double-staining of Annexin V-FITC/PI. Caspase 3 and $NF-{\kappa}B$ activity was determined by a Caspase 3 Activity Assay Kit or $NF-{\kappa}B$ p65 Transcription Factor Assay Kit, respectively. Bioinformatics prediction and luciferase reporter assay were used to investigate interactions between miR-128 and $PPAR-{\gamma}$ 3'UTR. Results: MiR-128 expression was upregulated and $PPAR-{\gamma}$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plasma from AD patients and $amyloid-{\beta}$ $(A{\beta})-treated$ primary mouse cortical neurons (MCN) and Neuro2a (N2a) cells. Inhibition of miR-128 decreased $A{\beta}-mediated$ cytotoxicity through inactivation of $NF-{\kappa}B$ in MCN and N2a cells. Moreover, $PPAR-{\gamma}$ was a target of miR-128. $PPAR-{\gamma}$ upregulation attenuated $A{\beta}-mediated$ cytotoxicity by inactivating $NF-{\kappa}B$ in MCN and N2a cells. Furthermore, $PPAR-{\gamma}$ downregulation was able to abolish the effect of anti-miR-128 on cytotoxicity and $NF-{\kappa}B$ activity in MCN and N2a cells. Conclusion: MiR-128 inhibitor decreased $A{\beta}-mediated$ cytotoxicity by upregulating $PPAR-{\gamma}$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in MCN and N2a cells, providing a new potential target in AD treatment.

수필의 시대: 1960년대 수기, 수상, 에세이 -김형석, 안병욱, 김태길의 수필을 중심으로 (An Age of Essays: Memoirs, Philosophical essays and Essays of the 1960s)

  • 박숙자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9-44
    • /
    • 2020
  • 이 글에서는 '수필의 시대'로 평가되는 1960년대를 돌아보며 '수필'을 둘러싼 담론적 길항과 철학자의 글쓰기가 확장시켜낸 수필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조망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에 김형석, 안병욱, 김태길은 연세대, 숭실대, 서울대 철학 교수이자 다량의 수필집을 내는 작가로 활동했다. 그럼에도 이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일차적으로 수필 자체를 저평가하는 문학사 내부의 편견과 수필의 장르적 특성을 '문학적인 것'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관행이 연동한 결과이다. 1960년대 수필이 풍미하게 된 것은 전쟁과 4.19를 거치며 개인의 경험과 사유를 객관화하고자 하는 민주주의적 요구가 근간에 깔려 있다. 철학자의 언어는 시민교양과 국민도덕이 부재하던 당대 독자들에게 1인칭 글쓰기의 다양한 감각으로 수용되었다. 김형석은 역사적 체험에 근거한 위로와 극복의 서사로, 안병욱은 민족주의에 근거한 자기 수양과 소명의 논리로, 그리고 김태길은 소시민의 삶을 객관화하는 성찰과 유머로 1950-60년대 공론장의 결락을 메웠다. 다만, 철학자의 수필이 당대의 공적 담론과 연동하지 못하면서 1970년대 시민교양을 촉발, 매개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그럼에도 1960년대 수필이 역사적으로 부상하는 지점에서 드러나 '수필' 장르의 특성과 이와 연동하며 풍미한 철학자의 언어가 지닌 문화사의 공과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했다.

가속도계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의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상지 기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ount of Use o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Using an Accelerometer in Stroke Patients on the Upper Limb Function Assessment for Improving Life Care)

  • 곽호성;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1-5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된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과 상지 기능 간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임상 작업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 2일부터 2020년 7월 18일까지 원주시에 위치한 Y병원에 내원해 있는 뇌졸중 환자를 40명을 대상으로 가속도계(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평가(Fugle-Meyer Assessment: FMA), 운동 활동 척도(Motor Activity Log: MAL), 연세 양손 활동 검사(Yonsei-Bilateral Activity Test: Y-BAT)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건측의 사용량과 FMA, MAL의 사용량(Amount of Use: AOU),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 Y-BAT를 통한 양손 수행의 질과 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환측의 사용량은 FMA, MAL의 AOU, QOM, 양손 수행의 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한 환측과 건측의 실제 사용량이 상지기능 평가항목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종합병원간호사의 조직효능감,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 김현우;박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G시의 종합병원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은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3.53점, 집단효능감은 3.66점, 간호전문직관 3.20점, 조직몰입은 3.47점이었다. 조직몰입 영향요인은 집단효능감(β=0.240, p =.003), 근무형태 중 주간(β=0.249, p =.003), 간호전문직관(β=0.229, p =.004)이었다(F= 10.478, p <.001). 그러므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 집단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병동별 의사소통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종합병원간호사의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야간근무자 전담제도와 같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더불어 간호현장에서 현실에 실망하여 간호전문직관이 낮아지지 않도록 지지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단위당 근무가 진행되는 간호사를 위해 병동별로 타인 이해하기를 중점으로 코칭프로그램 지원 및 친목활동 지원이 병행된다면 집단효능감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과 대만의 대학문화 비교 : 위계와 성차별, 폭력의 군대적 징후를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n and Taiwanese college culture: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exist Influence of Military Culture)

  • 권인숙;나윤경;문현아
    • 여성학논집
    • /
    • 제27권1호
    • /
    • pp.145-183
    • /
    • 2010
  • 본 연구는 징병제가 존재하고 한국과 사회적 역사적 유사성이 두드러지지만, 한국과는 달리 위계적 대학문화에 대한 증상이 거의 없는 대만과 대학생문화에 대한 양적 질적 비교를 병행하였다. 이런 비교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한국대학의 위계적, 성차별적 군대문화의 현황을 좀 더 명확히 짚어내고 원인을 파악하려 노력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를 보면 대만의 대학문화는 한국보다 위계적이지 않고, 위계문화의 필요성에 대한 지지도가 낮았다. 폭력이나 단체기합등 군대문화적 요소는 주로 한국대학문화에서만 나타났고 남성중심적 술문화와 성매매문화의 지배력도 한국에서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만과 한국의 대학문화의 이러한 차이를 낳는 사회 역사적 원인을 살펴보면 대만이 한국보다 위계적 집단주의 문화의 근거이고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주의적, 군사주의적 국민의 내적 동의나 뿌리가 약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만 대학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위계적인 가장 중요한 직접적 원인은 징병시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은 일반적으로 재학중 군대를 다녀오지만 대만은 대학을 마친 후 군대를 다녀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의 대학문화에서 군유경험자는 폭력성이나 위계문화 또는 술문화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로 확인되었다.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ERUPTION TIME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IN STUDENTS FROM E-ELEMENTARY SCHOOL)

  • 권정현;최병재;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3-261
    • /
    • 2009
  •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 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 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5세, 여자 만10.49세 제 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 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