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료실 형상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mbustion chamber layout for modern otto-engine (Otto 엔진의 연소실 Layout)

  • Gruden, 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8 no.2
    • /
    • pp.13-21
    • /
    • 1986
  • 점차 엄격해지는 요구조건을 만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승용차용 엔진의 실제특성과 운전특성을 지 배하는 설계변수의 조절은 불가피하며, 그중에서도 엔진의 핵심부인 연소질의 설계는 가장 중요 하다. 부분 부하에서의 SI기관의 연료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압축비를 상승시 키는 것이므로, 앞으로의 여소실은 고압축비에서도 옥탄가가 높은 연료를 요구하는 성향을 낮 추는 특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새로운 엔진의 향상을 최적화하기 위하여는 quench area의 크 기와 위치 그리고 적절한 quench distance의 성질이 중요하며, 또한 연소실의 소형화, 스파크 플러크의 위치, 표면적/체적의 비 그리고 화염전파거리등도 고려에 넣어야 한다. 승용차용 엔진의 요구조건은 연소실을 피스톤 크라운에 위치시키는 용이한 방법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으며, 이 러한 형상의 연소실은 실린더 헤드에 장치한 연소실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 스파크 플러그 주변에 연소실을 배치하기 쉽다. - 연소실 내에 quench area의 설정이 자유롭다. - 연소실 layout의 개조없이 압축비의 설정이 자유롭다. - 연소실의 조합이 간단하다. - 실린더벽으로의 열손실이 감소되어 열효율이 증대된다. - 공연비의 희박가능한계가 크다. - EGR성능이 향상되어 NOx 의 배출과 연료소비율이 감소된다. - 필요하다면 연소실실 또는 직접분사식 Diesel 기관으로서의 개조가 간단하다. 만약 생산단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면, NOx의 배출과 연료소비율이 작으면서도, 비출력이 큰 4-밸브 연소실이 실용화 될 전망이다.

  • PDF

Analysis Surrounding Condition for the Design of a Novel Direct-injection Diesel engine Combustion System (새로운 형상의 디젤엔진 연소실 설계를 위한 주위조건의 분석)

  • ;T.F.Ye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4 no.2
    • /
    • pp.60-68
    • /
    • 1996
  • 디젤 엔진의 분사연료를 연소실 내부에 마련된 작은 돌출부에 충돌시켜 액적을 작게 부수고 연료가 연소실 내부에 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 지 엔진성능향상을 도모한 새로운 디젤 연소실 시스템이 최근 제시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피스톤 내부 혹은 엔진헤드 부위에 분사연료 충돌부를 두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이 새로운 시스템 개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중요 요인들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분사압력, 사노즐크기, 주위공기 온도와 압력의 변화가 분무 평균입경과 분무연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 PDF

스월컵 형상이 가스터빈 연소기의 분무 화염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박종훈;황상순;윤영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28
    • /
    • 2000
  • 가스터빈 연소기의 역방향 이중 스월러의 두 번째 벤츄리 끝단 각도의 변이가 연소실내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벤츄리 끝단 각도가 수렴형, 직선형, 발산형의 세 형상에 대해 연료 분무가 없는 경우, 연료 분무는 있으나 연소는 없는 경우, 연소가 일어나는 경우에 대해 수치적 방법으로 연소실 내의 유동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료의 분무는 분무된 액적들이 갖는 운동량이 유입되는 공기의 운동량에 비해 적으므로 분무에 의한 유동 특성의 변화는 무시할 수 있는 반면 연소가 일어날 때는 유동 특성이 판이하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스터빈 연소실 내의 유동 특성은 벤츄리 끝단 각의 변이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고 있다.

  • PDF

Water tests of pumps for real-propellent tests of turbopump (실매질 시험용 터보펌프의 단품 수류시험)

  • Kim, Dae-Jin;Hong, Soon-Sam;Kim, Jin-Sun;Kim, Jin-Ha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8 no.1
    • /
    • pp.26-31
    • /
    • 2009
  • Three Lox pumps and one fuel pump are manufactured for turbopump real-propellent tests and water tests of the pumps are performed in order to estim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ump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test region(flow ratio, cavitation number) of the pumps at the water tests cover the operating region at the real-propellent tests and also all the pumps satisfy the design requirement. The head of the Lox pumps shows a 2% difference among them due to the internal geometry, but the efficiency and overall cavitation performance are almost same. It is found that the fuel pump has a similar head and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previous model of the same internal geometry, while it has a little inferior cavitation performance.

  • PDF

Injection Characteristics with Valve Geometries for a Diesel Engine (디젤기관용 분사밸브 형상에 따른 분사특성)

  • 김성윤;오승우;박권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6
    • /
    • pp.745-752
    • /
    • 2003
  • Injection technology i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in a diesel engine. Many studies have done on the injec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fuel chamber geometry, the orifice ratio and the needle lift of the injection valve of a diesel eng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are varied and tested. The injection pressure, duration and spray shapes are produced with pressure transducer, needle lift sensor and highspeed camera. The result shows that the nozzle hole size has influence on the rail pressure and injection duration sensuously.

Effects of intake flows on spray structure of a high pressure multi-hole injector in a second generation direct-injection gasoline engine (제 2세대 직접분사식 가솔린 기관에서 고압다공연료분사기의 분무 형상에 대한 흡기유동의 영향)

  • Kim, S.S.;Kim, S.H.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8-25
    • /
    • 2007
  • 제 2세대 직접분사식 가솔린 기관에서 6공 연료분사기의 연료분무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기관은 2개의 흡입밸브와 2개의 배기밸브를 갖는 텀블형 Spray Guided 연소실과 Quartz로 제작된 실린더 라이너와 실린더 헤드 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유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흡입매니폴드에 선회유동 제어밸브를 부착하였다. 2차원 Mie 스캐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연료분사시기, 연료분사압력과 실린더 내 유동 및 냉각수 온도가 연료분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로는 흡기과정동안 흡기 선회유동은 분사된 연료의 공간적 분포에 크게 작용하였고, 압축과정동안에는 텀블 및 선회유동의 영향이 흡기과정에 비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층연소를 위해서 압축과정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고압의 연료분사압은 분무도달거리의 성장을 촉진시키나 상승하는 피스톤과 이로 인한 실린더 압력의 상승으로 분무도달거리의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knock in a spark-ignition engine and octane number of gasoline (스파크 점화 기관의 녹킹과 가솔린의 옥탄가)

  • 전광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2 no.1
    • /
    • pp.6-9
    • /
    • 1990
  • 본 고에서는 녹킹현상과 녹킹 발생의 결과, 그리고 녹킹과 연료와의 관계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녹킹 발생 유무는 흡입공기상태, 스로틀 열림정도, 연소실 형상, 스파크 점화시기, 화염 전파속도 및 연료의 자연 발화 특성에 관계되며 화염 전파속도와 end-gas에 있는 연로의 반응속도와의 경쟁이라 볼수 있다. 연료의 녹킹 발생에 대한 저항성을 나탄내는 척도가 옥탄가이며 옥탄가가 높을 수록 자연 발화하기 어려우므로 녹킹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PDF

The Effect of Air and Spray Turbulence on the Progress in a D.I. Diesel Engine(II)-Combustion Chamber Design for the Use of Emulsified Diesel Oil with Water Particles-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상과 화염의 발달 (2)-유화액연료용 연소실의 형상-)

  • ;;Ohta, Mot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9 no.11
    • /
    • pp.3054-3062
    • /
    • 1995
  • Recently, the improvement of fuel economy and the reduction of exhaust smoke and NOx have been successfully achieved by supplying diesel engines with emulsified diesel oil with water particles. In the present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bustion of injected emulsified fuel and that of diesel oil spray is clarified by means of taking high-speed and color photographs of the flames in the engine cylinder. As the results, the two kinds of fuels show different combustion behavior each other in the growth of initial flame and in the termination of combustion process in the cylinder. Then, suitable combustion chamber design for the use of emulsified fuel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data for various distribution of spray in different kinds of piston cavities. Some methods of clearing troubles caused by emulsified fuel injection are also discussed on the basis of performance tests with a remodeling test engine.

램제트 엔진에서의 화염 전파와 비정상 연소 현상에 관한 수치해석

  • ;Vigor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10
    • /
    • 2000
  • 램제트 엔진은 비추력이 높고 추력 레벨은 낮으므로, 2단 추진기관에 적합한 추진 시스템이다. 1단-추진기관의 작동이 끝나고, 2단 램제트 엔진이 점화 후 안정된 연소에 도달되기까지 비행체의 속도는 항력에 의하여, 초당 약 마하수 0.1 정도씩 감소된다. 1단 연소 후 2단 램제트로 전환되는 지연시간이 길수록 1단에서 요구되는 종말 가속도는 증가되므로, 1단이 차지하게되는 부피는 증가되고 비행체의 크기 또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1단에서 2단 램제트로 천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램제트 엔진의 특성상 선결되어야할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들이 있다. 첫째, 1단 작동 시 공기 흡입구와 연소실은 차단벽으로 분리되어 있다가, 1단 연소후 차단막이 제거되어 외부공기가 램제트 연소실로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구의 형상에 의하여 램 압축되지만 초음속으로 연소실을 통과하게된다. 연료 주입 구에서 공급되는 연료는 연소실에서 유동의 흐름방향(streamline)에 따라서 연소실로 확산되는데, 연소되기 전에는 유속이 빠르게 노즐로 빠져 나가므로 램제트 연료가 재순환 구역(recirculation zone)으로 침투하는데 쉽지가 않다. 둘째, 연소실 입구에서 발생되는 와류 (ring vortex)는 1단 연료의 고온 연소 가스를 연소실로 확산시키는데, 비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발하여 램제트 연료의 점화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 균일한 화염 전파에 악영향을 준다. 셋째, 연소실에서의 빠른 유동 조건은 연료가 연소실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며, 연소실 입구에서 강한 전단 응력이 발생되어 화염이 안정화되는데 악 영향을 미치게된다. 본 논문은 공기 흡입구, 연소실 및 노즐을 통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으며 열유동/점화/연소등의 미케니즘을 이해하고, 주요 인자들 중 와류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다고 판단되며 배기 가스 자체에 대기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던 습기가 얼어붙는(Icing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Ic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끝단에서 공기를 추출하여 배기부분에 송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구가스의 기체 유동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100-l10m.sec) 이를 완화하기 위한 디퓨저의 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또 연소기 후방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열교환기 및 기타 부분품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열교환 효율 저하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1례(2.9%)였다. 14) 식도경 시행회수는 1회가 17례(54.8%), 2회가 9례(29.0%), 3회 이상이 5례(16.1%)였다.EX>$IC_{50}$/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

  • PDF

A Study on NOx Pollutant Reduction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mpinging-Jet-Flame Combustion Process( II ) (대향분출염(對向噴出焰) 연소방법(燃燒方法)에 의(依)한 NOx 생성저감(生成低減)과 연소특성(燃燒特性) 연구(硏究)( II ))

  • Jeung, I.S.;Cho, K.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 no.2
    • /
    • pp.124-131
    • /
    • 1994
  • 자동차엔진의 연소과정에 상사하는 밀폐정적연소실을 주연소실과 대향 2개 부연소실로 분할하고 오리피스로 연결하였다. 이때 부연소실로부터 주연소실로 분출하는 대향분출염 연소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저감특성을 연소방식, 연소실형상 그리고 연료종류를 변경한 수종의 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질소산화물농도, 연소실 최고압력, 화염전파과정의 고속도슐리렌사진 가시화를 수행한 결과, 대향분출염 연소방식을 도입하연 연소실의 중앙부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고부하운전과 동시에 질소산화물의 배출량도 저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료의 종류는 질소산화물생성에 매우 영향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