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 분석

Search Result 174,540, Processing Time 0.115 seconds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 Studies in Korea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 Yoo,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7 no.2
    • /
    • pp.253-268
    • /
    • 2003
  •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folktale studies in Korea by Soyoung Yoo This study is aimed primarily at taking a view of the scope and depth of folktale studies in Korea and analysing their subjects study and directions. By doing so,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can be of help to users of those studies. The researcher collected all the studies in this field since 1945 and analysed them through SAS program. Thus, the researcher found the studies on Korean folktales started in late 1960's and flourished and diversified in the middle of the 1990s. The researcher divided the collected materials into two categories, i.e., the study materials which focused on folktales themselves and studies for the exploration of applications of folktales for other purposes. Former analytical study on folktales study themselves is shown to be composed of events, characters, themes and psychological as well as value analysis. there are some comparative studies with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Latter studies show that the studies are mostly for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Furthermore, they are for illustration, animation, traditional design, costumes studies and theme parks. There are some other studies.

Research Trend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Using SNA-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SNA 기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상정보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 Yang, Kunwoo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9 no.1
    • /
    • pp.23-42
    • /
    • 2017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of disseminating the outstanding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s such as trade information and systems, e-trade, regional studies, e-commerce, service trade, trade laws since 1999. This paper aims to find the research trends and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trade information by analyzing research keywords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is journal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Research keyword data collected from the homepage of the academic society were cleaned and transformed into the co-occurrence network data, which are suitabl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NodeXL Pro was used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pre-processed data.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ields or interests were identified as well as those which worked as intermediarie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 PDF

BSC를 활용한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 연구 : 기관평가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 Nam, Yeong-Ho;Kim, Byeo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57-84
    • /
    • 2005
  • 기관평가제도는 경영관리과정의 최종단계로 평가결과에 의한 인센티브 부여와 피드백과정을 갖는 경영관리의 중심분야 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유효성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의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평가는 기관평가지표가 기관성과를 평가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의 여부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첫째, 연구기관의 특성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기관의 BSC 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출연 연구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점을 도출한 후 전문가를 통한 델파이법(Delphi Method)으로 관점을 확정하였다. 셋째, 기존 평가제도에서 평가지표의 가중치(weight)를 분석하여 관점별로 분류한 후 BSC 형태로 재조정하여 기존 평가제도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피평가자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평가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평가제도의 평가지표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가 BSC 모형에서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기관의 BSC 관점간의 가중치가 기존 평가제도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지표에 반영되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cdot}$ 원천 연구에 주력하는 기초기술연구회, 산업화 ${\cdot}$ 상업화 연구에 주력하는 산업기술연구회, 공공성 ${\cdot}$ 대형연구에 주력하는 공공기술연구회간에는 미션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검증결과 관점간의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특성과 미션을 고려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있겠다.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는 기존 평가제도와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제도를 대상으로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관점간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현행 평가제도는 연구기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검증결과 관점간 가중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에서 연구회별 관점의 가중치와 소속 연구기관별 관점의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연구회의 가중치와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현행 기관평가제도는 일부 연구기관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서 유효한 평가제도로 볼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지표에 대한 각 지표별 가중치와 지표 문항 개선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

  • PDF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on e-commerce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 및 충성도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 Nam, Soo-Tai;Kim, Do-Goan;Lee, Yun-Hee;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89-190
    • /
    • 2013
  •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분석들의 분석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만족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43편, 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가 24편으로 전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만족과 신뢰 간의 관계는 13편, 신뢰와 만족 간의 관계는 8편의 연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연구에서 만족, 신뢰와 충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문헌연구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imilarity Analysis on National R&D Programs and Paper Outputs using Network Analysis (국가연구개발사업과 논문성과간 네트웍 분석을 통한 사업별 유사성 분석)

  • CHANG, Hansoo;HONG, HONG;CHOI,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63-1269
    • /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로 수행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과제 단위로 매년 도출되는 6대 성과(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를 집계한다. 성과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은 한 논문을 다른 연구과제의 성과로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서 동일 논문성과를 다수의 과제에서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그 성과로 도출된 SCI급 논문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는 2015년도에 수행된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로 제출된 11,179편의 SCI급 논문 중 2개 이상의 과제 결과로 도출된 논문이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SCI급 논문 성과는 세부과제 단위로 집계되므로 SCI급 논문-세부과제간 네트워크는 정보량이 과다하다. 따라서 SCI급 논문에 대한 네트웍 분석은 세부과제를 포함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간의 네트워크로 한 단계 높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사업간 2모드 네트워크를 1모드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usiness analysis method for Data Modeling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업무 분석 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Sun-yi;Wu, Meng;Yeo, J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08-511
    • /
    • 2016
  • IT 프로젝트 수행하는 과정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부분은 요구사항 분석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요구사항 분석 방법이 체계화되어 실무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로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정보시스템 관련 모든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중심의 요구사항 분석방법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적용하기에는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 되어 잘못된 데이터 모델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심으로 필요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방법론이 없는 실정이기에 선행 연구에서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업무 요구사항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 방법은 실제로 적용할 때 절차가 복잡하고 분석에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방법의 절차를 개선하고 적용하기 쉬운 방법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방법과 동일한 업무요구사항명세서를 적용하여 단계별로 업무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선행 연구방법보다 절차가 간소화되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 대해 계속 연구할 예정이다.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rend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 Lee, Sanggyun;Kim, Soonshik;Chae,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0 no.3
    • /
    • pp.290-30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nd to selec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qualitative research', 'sci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and by journal. Also,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frequency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using krkwic and Ucinet6.0. The results show that first, 138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14 journals from 2005 to 2017.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keyword in each article, 'elementary school teacher', 'gifted student', 'science teacher', 'class' were higher than 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Analysis', 'elementary school', 'class' were analyzed as a highly influential node. And 'Comparison', 'inquiry', 'recognition', 'gifted students' we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network. Fourth, keywords that appear in all sections are analysis, gifted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analyzed continuously based on studies, lessons or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tudy subjects related to the study of science education quality and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study.

A Structured Review on Research Trend in the E-logistics Research in Korean Journals (E-logistics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체계분석)

  • Kim, Taek-Won;Oh, Jin-Ho;Woo, Su-H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8 no.1
    • /
    • pp.29-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e-logistics area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journal papers published in the five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15 years. The contents analysis of the collected papers includes research topic, research strategies and methods used in the studies. The analysis suggests the four trends: First, management of E-logistics has been more actively studied than other topics; second, "E-commerce research journal" has published E-logistics related studies more than other journals; third, empirical research paradigm is dominant in this research area; last, questionnaire survey is a method most frequently used in this area. E-logistics research is attracting researchers' attention but more efforts are needed to diversify research topics and methods.

  • PDF

과학기술 성과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

  • Kim, Jin-Ae;Lee, Hu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498-503
    • /
    • 2008
  • 국내 연구개발 활동의 다양한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명시화된 지식인 '논문'을 중심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기술 분야간 지식의 흐름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정성적/정략적으로 분석하고 둘째, 국내 연구기관의 공동연구 현황에 대하여 공동연구 네트워크와 연구기관 중심도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두 네트워크를 연결함으로써 다차원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해보고, 앞으로의 기술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PDF

블록암호에 대한 신경망 암호해독 연구 동향 분석

  • Seok, Byoungjin;Lee, Changhoon
    • Review of KIISC
    • /
    • v.31 no.6
    • /
    • pp.19-29
    • /
    • 2021
  • 신경망 암호해독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암호해독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2000년대부터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가 일부 수행된 바 있지만 대부분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암호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암호학계 저명 컨퍼런스인 CRYPTO, EUROCRYPT에서 전통적인 암호해독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하지만, 신경망 암호해독 기술은 딥러닝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타 분야 대비 상대적으로 연구 초기 단계에 있어 다양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신경망 암호분석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