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접근

Search Result 16,937,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Specification / Attribute based access control based on Index for XML Document (XML 문서를 위한 인덱스 기반의 명세/속성 기반 접근 제어)

  • ;Van-Trang-Nguy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0-222
    • /
    • 2003
  • 최근 연구되고 있는 XML 문서를 위한 접근 제어에 관한 연구는 간접적으로 접근 권한을 표현하는 명세 기반 접근 제어 방법과 각 객체에 직접적인 접근 권한을 표현하는 속성 기반 접근 제어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명세 기반 접근 제어 방법은 공간 효율적이며, 속도 비효율적인 특성을 갖으며, 속성 기반 접근 제어 방법은 속도 효율적이며, 공간 비효율적인 특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초점은 안전한 접근 제어를 보장하면서, 부가적인 비용 증가를 줄이고자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인덱스 기법에 기반 하지 않고 문서 전체 또는 일부를 액세스 하므로 탐색 비용 또는 데이터 처리 비용이 증가하고, 특정 기법에 국한 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각 기법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온 해결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덱스 기반의 전역 접근 제어와 지역 접근 제어 메커니즘 제안하고. 이률 기반으로 명세/속성 기반 접근 제어를 연계하여 강제 접근 제어(MAC)의 최소 접근 권한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 기반 다중 레벨 접근 제어 모델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Korea research agency website (국내 연구기관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 Jung, Hee;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1-42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연구기관 사이트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 실태 조사를 하였다. 연구기관의 구체적인 웹 접근성 준수 실태 파악을 위해 자동화 평가도구인 K-WAH 4.0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국내의 20여개의 연구기관 중 6개의 연구기관만이 웹 접근성 마크를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연구기관의 준수율은 96%, 획득하지 못한 연구기관의 준수율은 86%, 전체 평균 준수율 89%로 접근성 마크를 획득한 연구기관이 획득하지 못한 연구기관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웹 접근성마크를 받은 연구기관 중 웹 접근성을 100% 준수하는 사이트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관 사이트 중 잘 지켜지지 않은 항목들을 파악한 후 국내 연구기관 웹 사이트의 접근성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웹사이트 접근성 자동화 평가 도구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홍순구;이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97-109
    • /
    • 2005
  •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획득의 보편화로 인하여 웹 접근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웹 접근성이란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사회적 한계로 인해 정보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자들에 대한 정보 통신망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 을 의미한다 정부기관이 선도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려는 전세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이나 노인들에게는 아직도 웹사이트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웹 접근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 원인 중 하나인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에 대한 개념 이해 및 현재 사용되는 웹사이트의 접근성 만족 유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의 부재에 기인한다. 현재까지 웹 접근성 평가는 표준 평가항목인 W3C의 웹 접근성 지침(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1.0, 이하 WCAG 1.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자동화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대부분 이루어져 왔다. 자동차 평가도구를 이용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은 평가가 용이하고 평가결과의 정량화로 인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와 실험을 통해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직접 스크린 리더를 통해 계산한 접근성 오류와 자동화 도구가 계산한 접근성 오류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가 직접 평가하는 매뉴얼 평가방식과의 병행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TTAS.0T-10.0003)"을 기본으로 하여 "EuroAccessibilty Consortium" 에서 고려하고 있는 "testable statement" 으로 통합 보안한 접근성 체크항목의 재구성과 함께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동화 평가도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아직까지 제시된 개선방안의 적용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동화 평가도구의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은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많은 후속연구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of Access Control System Using Inheritance of Roles (역할의 상속성을 이용한 접근통제 시스템 설계)

  • 조아앵;이경효;박익수;오병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24-426
    • /
    • 2004
  • 최근에 역할기반 접근통제와 역할계층에 관한 않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에서 역할계층은 역할과 접근허가권이 상속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접근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접근허가 방식보다 강력한 허가권한의 특성을 갖는 새로운 역할기반의 계층적 접근통제 모델을 제안하였다. 계층적 접근통제 구조는 역할의 상속성에 의해 접근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새로운 기법의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이다. 본 연구는 제안된 모델이 어떻게 털러 보안등급에서 역할에 의해 접근통제가 이루어 질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일정하게 접근허가권이 실행되도록 역할을 할당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그러한 문제를 어떻게 역할계층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Regression Model Approaches fined to Complex Survey Data (복합표본조사 데이터 분석을 위한 회귀모형 접근법의 비교: 소규모사업체조사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이기재
    • Survey Research
    • /
    • v.2 no.1
    • /
    • pp.73-86
    • /
    • 2001
  • In this paper.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design and weighting effects on descriptive and analytic statistics. We compared the regression models using the design-based approach and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s) approach with the model-based approach through the design and weighting effects analysis.

  • PDF

A Classification of Studies on Human Values in Home Management : With a Two-Dimensional Model for Measurement, as Proposed by Schlater & Sontag (가정관리학에서 가치에 관한 연구의 분석 : Schlater와 Sontag의 2차원 가치측정모델의 적용)

  • 황덕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124-132
    • /
    • 1995
  • 본 연구는 Schlater와 Sontag가 인간생태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제시한 가치측정 모델에 의하여 국내 가정관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인간의 가치에 관한 연구를 분류하였다. 2차원의 매트릭스로 구성된 이 모델은 가치연구를 가치조사의 초점에따라 내용과 구조,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한 피험자-가치대상 포함관계에 따라 3가지 측정접근법 즉, 피험자 단독, 피험자-가치대상 반응적, 피험자-가치대상 상호작용적 접근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모델을 분석도구로 사용하여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창가호부터 1995년 13권 1호까지와 대한가정학회지 1983년 21권 1호부터 1995년 33권 1호까지에 수록된 논문중 인간의 가치를 연구한 논문과 몇편의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은 측정접근법상 피험자 단독 접근법이나 피험자-가치대상 반응적 접근법을 사용하면서, 내용에 초점을 두고 연구된 것을 알 수 있다. 미래의 가치연구방법으로 인간생태학적 접근법인 피험자-가치대상 상호작용 접근법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요구되며, 우리나라 가치측정패턴에서만 특히 부족한 구조에 초점을 두는 것 또한 요구되어진다.

  • PDF

Nonlinear Forecasting of Daily Runoff Using Inverse Approach Method (가역접근법을 이용한 일유출량 자료의 비선형 예측)

  • Jeong, Dong Kug;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78-1182
    • /
    • 2004
  • 시계열 자료의 분석과 예측은 수문학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면, 최근 들어 특정한 수문시계열에서 카오스 특성이 발견되고 있다. 카오스 특성을 갖는 수문시계열의 예측에 있어, 기존의 거의 모든 연구는 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한 뒤 예측을 실시하는 표준접근법이 채택되어왔다. 그러나 Phoon 등은 시스템의 특성분석에 앞서 예측을 실시하고, 상태공 매개변수가 시스템의 특성분석단계가 아닌 예측단계에서 평가되는 가역접근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hoon 등이 제안한 가역접근법과 기존에 널리 적용되어온 표준접근법을 실제 일유출량 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가역접근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카오스 시계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선형 예측 기법으로는 카오스이론이 적용된 부분근사화 기법을 이용하였다. 카오스 특성분석을 통해, Bear 강 일유출량 시계열 자료에서 카오스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표준접근법과 가역접근법을 이용하여 Bear 강의 일유출량 자료에 대하여 예측을 실시한 결과, 카오스 특성을 갖는 일유출량 시계열 자료의 단기 예측의 우수성을 알 수 있었으면, 가역접근법이 표준접근법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가역접근법은 예측단계에서 예측시간(T)에 대하여 예측매개변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예측을 할 수 있었으며, 시스템에 대한 정보손실이 발생하였을 경우 예측에 대한 상태공간 매개변수를 다시 추정해야 하는 표준접근법에 비해 실제적 적용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Theoretical comparison of O-D trips and P-A trips in travel demand analysis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연구)

  • 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45-62
    • /
    • 1997
  • 이 논문은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을 이론적으로 서로 비교한 연구이다. O-D 접근방법은 전통적인 교통수요 4단계 분석기법의 모든 과정에서 통행수 산출을 통행 유출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O-D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O-D 접근방법은 우리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P-A 접근방법은 통행 발생, 통행분포, 교통수단선책 분석과정까지 통행생성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P-A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으며, 노선배경 분석단계에 앞서 P-A 통행량을 O-D 통 행량으로 전환되어져야 한다. P-A 접근방법은 구미국가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 다. 이러한 두 접근방법은 통행목적 분류에서 귀가통행이 별도로 분류되어있는가 혹은 아닌 가에 따라 쉽게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만일 귀가통행이 통행목적의 분류에서 별도로 구분되 어 있으면 O-D 접근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전통적 교통수요 4단계 분석과정 중 통행발생, 통행분포 및 교통수단선택의 각 분석과정에서 두 접근방법간 의 이론적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써 형태적 통행패턴을 상대적 으로 잘 설명하며 또한 집합적 오차를 상대적으로 초 lth화할 수 있는 기법이 어느 것인가 를 이론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행태적 측면에서 통행패턴을 P-A 접근방법이 더 잘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집합화 오차도 P-A 접근방법이 더 적으므로 P-A 접근방법이 O-D 접근방법보다 이론적으로 더 우수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이 연구는 통행발생, 통행 분포, 교통수단선택 분석과정이 끝난 후 P-A 통행량에서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이 통행발생, 통행분포의 분석과정이 끝난 후에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 다고 추천하였다.

  • PDF

The Evolution of Tourism Geographies in Anglo-American Tradition: The Issue of Research Approach and Research Themes (영미 관광지리학의 변천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연구접근법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

  • Shin, Y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4 s.109
    • /
    • pp.387-401
    • /
    • 2005
  • This research reviews how tourism geography studies in Anglo-American tradition have evolved since 1930s.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are two fold. One is to analyze the change of tourism geographies research trends in terms of research approach and major research themes. The other is to bring out the less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ourism geographies research. For these purposes, the selected papers and text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four research approaches: (1) empiricist approach, (2) positivist approach, (3) humanist approach, and (4) critical social theory approach. The major research themes are the explanation of destination through descriptive research in empiricist approach, spatial analysis and evolutionary research in positivist approach, tourist behaviour and place identity in humanist approach, and tourism and consumption in critical social theory approach.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nglo-American tourism geographies study will continue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growth of tourism industry, the close relation of tourism and geography in nature, and the active contribution of tourism geographers.

The Development of Pre-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Model Based on STEM Integration Approach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Moon, Dae-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90-101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e-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model based on STEM integration approach. To accomplish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validity ratio survey were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ual model of STEM integration approach was constituted. Second, the conceptual model of pre-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model based on STEM integration approach was proposed. Third, the formation steps of inquiry project activity, problem solving activity, a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ctivity were developed to structure the educational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