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자료 접근성

Search Result 1,95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at the Major Control Points of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 주요 제어지점의 유출량 검증 및 분석)

  • Lee, Bae-Sung;Hawng, Man-Ha;Lee, Sang-Ji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69-1473
    • /
    • 2007
  •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의 유량측정은 현장의 접근성 및 측정자의 작업숙련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측정자료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강우관측이나 수위관측과 같이 연속적으로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에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위해 하천수위와 관계로부터 수위-유량관계곡선(Rating Curve)을 작성한 후, 연속적으로 관측된 수위로부터 유량을 환산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년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sim}9$월 사이에 집중되는 반면, 갈수기인 10월에서 그 다음해인 3월까지는 년강수량의 1/5에 불과함에 따라 하천유황의 계절적 변동성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홍수기를 전 후로 지속적인 하상변동이 발생하여 수위-유량관계를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금강수계 상 하류 5개 지점에서는 년유출량의 상대오차가 10%이하인 경우가 11%에 불과하여 왜곡된 수위-유량관계로부터 산정된 유량자료의 신뢰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유역유출예측시스템(RRFS)의 실제 적용성을 평가하고 확장 보완하기 위해, 하천 본류의 제어지점(Control Point) 및 소유역 출구지점의 유량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함은 물론, RRFS 주요제어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Drivers' BIS/BA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Mobility and Affectivity (고령운전자의 접근/회피동기와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 이동성과 정서성의 매개효과)

  • Joo, Mijung;Lee, Jaesi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7 no.4
    • /
    • pp.29-40
    • /
    • 2014
  •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lder driver's mo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s well established(e. g., Collins, 2008).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is relationship can be changed by older drivers' motivation, aspects of mobility, and affectiv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spects of mobility(amount of driving measured by travel distance and time: 'AD' or amount of driving for social activity: 'DSA') can be differed as a function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measured by BIS/BAS scale, Carver et al., 1994) and positive/negative affect(PA/NA; measured by SPANAS, Diener et al., 2009)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pects of mobility and life satisfaction(measured by SWLS, Diener et al., 1985). Self-reported scores of the variables of 132 older drivers(ages of over 65)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older driver's BAS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DSA, but BIS was negatively to AD. In particular, DSA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PA. Second, PA, in turn,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SA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driver's driving property, motivation, affe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GIS 공간분석기술을 이용한 산불취약지역 분석

  • 한종규;연영광;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2.03b
    • /
    • pp.49-5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산불취약지역 분석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산불취약지역을 표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산불취약지역 공간분석자료로는 NGIS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천 축척의 수치지형도, 수치임상도 그리고 과거 산불발화위치자료를 사용하였다. 산불발화위치에 대한 공간적 분포특성(지형, 임상, 접근성)을 기반으로 모델을 설정하였으며, 공간분석은 간단하면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Conditional probability, Likelihood ratio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검증(cross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모델 검증방법으로는 과거 산불발화위치자료를 발생시기에 따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하나는 예측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검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델별 예측성능은 prediction rate curve를 비교·분석하여 판단하였다. 삼척시를 대상으로 한 예측성능에서 Likelihood ratio 모델이 Conditional probability 모델보다 더 낳은 결과를 보였다. 산불취약지역 분석기술로 작성된 상세 산불취약지역지도와 현재 산림청에서 예보하고 있는 전국단위의 산불발생위험지수와 함께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한다면 산불취약지역에 대한 산불감시인력 및 감시시설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하여 일선 시군 또는 읍면 산불예방업무의 효율성이 한층 더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f a Planning Process through Developing Serious Games (기능성게임 제작을 통한 기획접근 프로세스 사례)

  • Eun, Kwa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197-204
    • /
    • 2010
  • This study explains the planning practical training that researches the process of functional game planning approach by developing functional game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he practical training process of planning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game development jobs by developing games with proper functional materials, 'Framework of Planning Functional Game', and the verification of framework by developing functional gam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unctional game planning approach with the right function requires progressive/quantitative standard, which is different from typical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is useful as reference materials of a functional game education through the cases of games developed by the progressive/quantitative approach standard.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Daegu City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 Kim, Ah-Yeon;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76-8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city of Daegu. The 2005 census data as well as bus stop and subway station datasets were integrated for building the GIS databas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reas were then identified by a coverage method.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ly compa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ver different levels of acces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oth Dong-gu, Suseong-gu, Dalseo-gu, and Buk-gu located outside of the city had worse accessibility than others while Jung-gu, Seo-gu, and Nam-gu had better accessibility than others. There appeared no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men, women, and teenagers over the city of Daegu whereas there existed some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people above the age of 65 and people below poverty line. This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would be caused by some factors. Firstly, the lower income class has tended t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far away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ince this class can not afford to pay expensive rents and land prices around the main roads with higher accessibility. Man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lower income class als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Secondly, there has been no law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city government. This research would shed insight on buil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and to select the routes of buses and subways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연료 공급 및 저장 제약 하에서의 Long-Term Profit-Based Unit Commitment Problem 최적화를 위한 Explicit Column Generation 알고리즘

  • Lee, Gyeong-Sik;Song,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75-89
    • /
    • 2006
  • 한국전력산업의 탈규제화의 영향으로 각 개별 발전회사들은 자사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발전계획 수립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발전계획은 주어진 연료제약 하에 발전수익과 유지보수비용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발전기의 기동, 정지 및 발전출력을 결정하는 문제로서Profit-Based Unit Commitment (PBUC) 문제로 알려져 있다. PBUC 문제는 문제 자체의 복잡성과 비선형 제약식의 특성으로 인하여 과거 연구는 대부분 비선형 제약식 처리를 위한 Lagrangian Relaxation (LR) 기반 휴리스틱 접근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하지만, 실제현업 적용에 있어 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알고리즘의 구현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 실용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연료도입 및 저장제약을 고려하기 위한 1년 단위 장기 발전계획 수립은 문제의 범위가 더욱 넓어짐으로 인하여 복잡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존 접근법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가스발전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전패턴개념의 도입 및 다양한 발전패턴 생성을 통한 Explicit Column Generation 기반 최적화 접근법을 제안한다. 발전패턴은 Column Generation 접근법의 각 Column에 해당하는 각주별 발전기 기동정지계획을 의미한다. 즉, 미리 유효한 발전패턴의 Pool을 최대한 확보한 후 Explicit Column Generation Formulation을 통하여 주별 최적의 발전패턴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으로 구성이 된다. 본 알고리즘은 실제 가스발전소의 장기 발전계획 수립과정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연간 수십억원의 추가적인 이익을 실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알고리즘을 확장 적용할 경우 PBUC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도 그 효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자료이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의 범위가 방대하다. 특히 개인, 가구, 사업체 등 사회 활동의 주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인과적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의 이러한 특징은 국가의 교육정책, 노동정책,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Gaasemyr, 1999). 이와 더불어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나 핀란드에서는 조사로 자료를 생산하던 때의 1/20 정도 비용으로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의 모든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모든 행정자료들이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바뀌고, 인터넷을 근간으로 한 컴퓨터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 부처별로 행정을 위해 축적한 자료를 정보통신기술로 연계${cdot}$통합하면 막대한 조사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인구센서스자료를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 이렇듯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가 많은 장점을 가졌지만, 그렇다고 모든 국가가 당장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있고,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정보의 형태 또한 서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인구센서스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부가적으로 생산하는 경제활동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체가 등록되어

  • PDF

A Study on Drawing Priority of Main Certificates related to information support (정보지원 업무관련 주요자격증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Hwang, J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7
    • /
    • pp.163-168
    • /
    • 2015
  • This study was done to find a way to resolve a problem in a periodical situation. Recently,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became a major factor in social issues. Regarding this issue and employment with high involvement, a new employee's OJT fee acts as a burden. This research will focus on concrete solutions needed to resolve this problem. In terms of content for research, we will firstly analyze representative institutions(NCS) which is responsible for qualifications needed to collect information required to extract major license that carry an easy access to business matters. With a base on this, we will use AHP analysis technique and proposal of research format and extract major license that carry an easy access to business matters. This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regulation for reducing OJT fee and selecting licenses necessary for getting a job;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providing a basic structure for sorting licenses with easy access to business matters out and proving grounds for decision in acquiring certifications.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water pipe network data through R-based data mining analysis (R기반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상수관망 자료 활용가능성 제시)

  • Hong, Sung Jin;Lee, Chan Wook;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6-236
    • /
    • 2020
  • 데이터마이닝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생산, 금융, 통신 등의 성공적인 활용사례가 있지만 상수도 시설물에 적용한 사례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R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얻고자 관련 기사를 수집하고 데이터마이닝의 주요 기능인 분류, 군집(K-means)분석을 수행하였다. 예를들어, 상수관로의 정밀한 누수 분석을 위해서는 관경, 매설년도 등의 세분화된 자료가 필요하나 이러한 자료들은 쉽게 확보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수관망 단수, 누수 등의 키워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사를 기반으로 주요 키워드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세분화된 상수관망 자료를 획득 및 분석하였다. 단수, 누수 키워드 기사에 의해 관경정보 등 파손된 관로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확보하기 어려운 데이터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데이터의 양과 보다 정교한 군집분석을 위한 키워드설정 등의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GIS-based Analysis of Spatial Pattern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A Critical Examin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s (GIS를 이용한 접근성의 공간적 패턴 분석: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Kim Hyun-M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5 s.110
    • /
    • pp.514-5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conventional spatial measure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which are based on the notion of spatial proximity, the single reference location, and the unlinked travel model. Using space-time accessibility measures with the travel-activity diary data set of Portland Metro, US, three expectations from spatial measures on spatial pattern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were empirically examined: (1) does individual accessibility decrease with an increase of distance from the CBD?; (2) does the spatial pattern of accessibility resemble that of urban opportunity density pattern?; and (3) are spatial pattern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of different socio- demographic population groups basically similar as people in the same area share the same geographic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gender, race, age, and so on? First of all,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variations in individual accessibility were not directly determined by spatial proximity and opportunity density as suggested by previous accessibility measures. The spatial pattern of individual accessibility was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opportunity density High peaks of accessibility level were found far away from the CBD and regional centers. This finding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of multi-reference locations and linked travels in shaping accessibility in reality.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spatial patterns of accessibility clearly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cess requires more than proximity, a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specific space-time constraints and the consequential availability of urban opportunities in space-time renders different accessibility experiences to people even in the same region, which would be one of the key ingredients missing from conventional spatial measures of accessibility.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 Chung, Yeon-Kyoung;Kim,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3
    • /
    • pp.301-323
    • /
    • 2008
  • There has been significant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equal acces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e and needs of library services of disabled people with a survey. The survey dat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disabled persons did not visit library and not experience library sol-vices. The main reason was reported that they had poor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services. Also, they did not satisfy the variety, sufficiency, accessibility, up-to-dateness of the materials in general. And there were difference of favorite programs and needs among different kinds of the disabled. Therefore, active guidance and public relations about library services.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y building digital collection, resource sharing and extension of services by building library cooperation network, and the arrangement of librarians for the disabled and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back up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