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생산성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특허 및 논문분석을 이용한 연구생산성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alysis Methods on R&D Productivity Using Patent and Paper Analysis)

  • 신승후;현병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0-429
    • /
    • 2008
  • 현대 시대의 R&D 환경은 점점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고 양적으로도 급속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기술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연구개발 현장에서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요성을 되새기고 질 높은 연구생산성 도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허분석과 논문분석이라는 두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생산성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은 아직까지 미국, 일본 둥의 선진 국가들에 비해 연구생산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부출연기관들은 해외 우수 기관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연구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수 기업연구소들의 경우 출연기관보다는 비교적 우수한 연구생산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특허 및 논문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생산성의 현주소를 분석하는 것은 경쟁력 확보에 방해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미래의 R&D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21세기를 대비한 우리의 지상무기체계-소화기

  • 김인우
    • 국방과기술
    • /
    • 8호통권234호
    • /
    • pp.64-75
    • /
    • 1998
  • 차기세대 소화기를 성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방연구개발 예산 및 인력의 제한에 따라 국내의 관련기술력을 효율적으로 집결시켜 연구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국방부, 군, 방산업체, 학계 및 국과연이 하나의 팀으로 긴밀하게 협력함으로써 연구개발 생산성을 극대화 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이공계 분야별 연구생산성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Productivity by Fiel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 김기형;설성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8-125
    • /
    • 2015
  • 본 연구는 이공계 분야별로 연구산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0-2012년 기간 BK21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물리 화학 생물 기계 전기전자 화학공학 6개 분야 교수 1,383명의 연평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생산성에 미치는 변수로 성별, 연령별, 직급별, 지역별, 박사학위취득 국가와 같은 개인변수와 석사과정 학생 수, 박사과정 학생 수, 정부연구비, 산업체연구비 및 해외연구비라는 자원변수를 설정하였다. 논문과 특허 및 이들의 종합지수라는 3개 변수를 연구산출로, 대규모 공식적인 데이터를 이용해, 6개 분야에서, 영향요인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다른 연구와 차이가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생산성에 미치는 요인은 분야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특히 어떠한 개인변수나 자원변수도 모든 분야에서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자연계의 연구산출에 유의한 설명변수 숫자는 공학계보다 적었다. 분야별로 논문과 특허 산출의 비중이 다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도 큰 차이를 보였다. 물리 화학에서는 논문과 특허 간에 관계가 없고, 나머지 분야에서는 양의 관계가 있었다.

정책옹호연합모형(ACF)를 활용한 임금피크제 정책결정과정 분석 -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 박현경;이찬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5-872
    • /
    • 2017
  •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고령화 하에서 연구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중 임금피크제는 조직의 효율성 증진을 통해 연구생 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년 임금피크제 도입을 둘러싸고 발생했던 정부와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 간 갈등의 원인은 무엇이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며,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하여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임금피크제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책환경으로서의 외부변수들은 대부분 찬성 측 옹호연합에 유리한 자원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관리 통제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신념과 독립적 자율적 대상으로 보는 신념 간 차이는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셋째, 임금피크제의 일괄적 도입, 정책중개자의 미비한 역할은 옹호연합 간의 갈등을 더욱 증폭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정책은 정책대상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설계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정책중개자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는 정책참여자가 있는 경우, 이들의 역할에 따라 갈등이 증폭 또는 완화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정책중개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기타 공공기관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들의 주장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 PDF

이공계 대학교수의 연구생산성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Research Productivity among Professo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 류희숙;배종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44-66
    • /
    • 1997
  • This study is a critical assessment of research productivity through publication among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23 mail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ofessors of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chemistry and physics, this study obtains the particular determinants of publication productivity at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s in Korea. The data a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early research productivity and the number of doctoral students are very important to publish good research articles. Also the qualities of professors' Ph.D. institution and the quality of employing university ar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to publication productivity.

  • PDF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특정 대학원의 핵심 연구분야 파악: 미국 상위 10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을 대상으로 (Employing Informetric Analysis to Identify Dominant Research Areas in the Top Ranking U.S. LIS Schools)

  • 김혜영;이지혜;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55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원 지원자들이 특정 연구분야가 강한 대학원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어느 대학원이 어떤 연구분야에서 특히 강한가를 파악할 수 있는 계량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국의 상위 10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을 선정하고, 각 대학원 교수진의 최근 10년 간의 연구논문과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관심분야를 수집하였다. 연구생산성 데이터가 관심분야 데이터에 비해 더 신뢰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보였으며, 빈도 데이터 분석과 대응일치 분석 결과 각 대학이 어느 주제분야에서 특히 강한가를 파악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학원간의 인접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세라믹 재료물성 데이터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s Material Property Database)

  • 이정구;이상호;김창규;김지영;김태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87-95
    • /
    • 2003
  • 연구개발에 있어서 각 연구 분야와 관련된 신속하고 적절한 정보의 획득은 산업사회의 국가 기술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써 다양한 형태의 전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적합 정보의 제공은 연구생산성 제고에 있어 필연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연 과학자들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촉진시키기 위한 세라믹 재료 물성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과학자 및 연구개발자들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재료분야의 세라믹 물성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위해서는 세라믹 재료물성 정보의 항목과 구조를 분석하여 국내 이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연구 개발자들이 물성정보 획득을 위해 투여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연구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