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데이터

Search Result 37,128,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Framework data for Biotope Mapping in Incheon (인천지역 비오톱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 구축방안 연구)

  • Choi, Byoung-Gil;Na, Young-Woo;Lee, Hyung-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9-35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비오톱지도 제작 및 환경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의 제작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비오톱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원시데이터를 취합 및 통합과정을 통해 무결점의 프레임웍 데이터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비오톱지도 제작의 기초데이터인 프레임웍 데이터 제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오톱지도는 지표면의 형태와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지형주제도, 단위비오톱 형상의 기준이 되는 도시주제도, 도시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도시생태조사도 등을 기반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작되어지며, 각 주제도는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로부터 추출 및 가공되어 비오톱지도의 기반데이터로 사용되는데 이 기반데이터가 논리적,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제작되어야 정확한 비오톱지도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를 비오톱 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로 분류하여 본 연구를 통해 구제적인 작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oposal of DAS Template for Sharing Research Data in Domestic Academic Societies: Focusing on Data Sharing Policy of Foreign Publishers (국내 학회의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DAS 템플릿 제안에 관한 연구 - 해외 출판사 데이터 공유 정책을 중심으로 -)

  • Juseop, Kim;Suntae, Kim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1
    • /
    • pp.239-258
    • /
    • 2023
  • As sharing of research data has become essential, overseas publishers are providing authors with DAS templates to facilitate data sharing. However, the domestic academic market is still lacking in policies related to such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 data sharing policy and DAS template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academic societies in order to activate data sharing. To this end, data sharing policies of 5 foreign publishers including Nature and 12 DAS templates including 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 overview of the data sharing policy applicable to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and a DAS template consisting of 12 items were derived. It is judged that the data sharing policy and DAS template to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practical guide and tool for data sharing.

Methods for screening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data quality and statistical status (품질 및 조건 기반 시계열 데이터 선별 활용 방법)

  • Moon, JaeWon;Yu, MiSeon;Oh, SeungTaek;Kum, SeungWoo;Hwang, JiSoo;Lee,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99-40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기 전 데이터를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시계열 데이터의 품질은 수집 네트워크와 수집 기기의 시간적 변화와 같은 가변적 상황에 의존적이므로 불규칙적으로 이상 혹은 누락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때 에러를 포함하였다는 이유로 일괄적으로 데이터를 제거하여 활용하지 않거나, 혹은 누락 데이터의 구간을 조건 없이 복원하여 활용한다면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계열 데이터의 구간에 대한 누락 데이터의 통계적 정보를 축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활용 목적과 활용 가능한 품질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활용 불가능한 데이터라고 판별하고 미리 분석 등의 데이터 활용 시 자동 제외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활용 목적과 상황에 적응적으로 누락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빠른 활용 판단이 가능하며 보다 나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ata Management Plan in Korea (데이터 관리 계획의 국내 현황 및 과제)

  • Choi, Myung-seok;Lee, Sa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220-229
    • /
    • 2020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research paradigm is evolving towards data-driven. Nat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is a key element not only to enhance research transparency and efficiency, but also to prepare for a data-driven society. Policies and infrastructure for sharing and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from publicly-funded research are being actively promoted worldwide. In Korea, related regulations were recently revised to mandate to submit a data management plan (DMP) when proposing a national R&D project.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ustainable DMP system, researchers need various support. In addition,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are essential for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at the national or institutional level. In this paper,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data management plan,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Korea, and suggest a template and checklists of data management plan, and an implementation procedure at research institutes.

A Study of an Energy Efficient Method of Clustering Scheme for Supporting Multiple Data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기법의 에너지 효율적인 다중 데이터 지원 방법 연구)

  • Choi, Dongmin;Chung, Il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01-103
    • /
    • 2012
  • 센서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기법은 네트워크의 수명연장에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에 많은 연구에서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해 왔으며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시된 연구 결과는 센서 노드가 수집하는 데이터가 단일 데이터가 아닌 다중 데이터일 경우, 즉 센서 노드에 여러 개의 센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 수집 및 전송에 있어 단일 데이터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동작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중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지원하는 클러스터링 기법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는 센서가 수집하는 데이터의 관심도, 데이터 변화량, 데이터의 내부적인 처리방법, 센서 노드의 배치 밀도 및 데이터 수집 장치의 감지범위가 다중 데이터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링 기법 설계에 고려되어야 함을 보였다.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DM in an Organization Using Big Data and Block Chain (빅데이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조직내 RDM 구축방안)

  • Lee, Kyung-Hee;Choi, Youngjin;Cho, Wan-Sup
    • The Journal of Bigdata
    • /
    • v.4 no.2
    • /
    • pp.127-139
    • /
    • 2019
  • Research Data Management (RDM) is a system that encompasses people, policies, resources and technologies that provide and support directions in producing, collecting, using, and preserving research data. RDMs consist of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supporting the creation of data management plans (DMPs), building data collections and repositories, and digital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In advanced countries, systems for RDM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well organized and functioning, but in Korea, the management system is insufficient due to low level of data awar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lan to establish a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e realit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reflect in RDM that the construction of big data platforms for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big data in each field and organization is increasing rapidly. Also, we will discuss how to provide data provision and researchers' data sovereignt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propose a P2P-based decentralized RDM scheme.

  • PDF

A Case Study on Standardization of Data Integration Management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사례 연구)

  • KIM, Dong-Young;CHAE, Hyo-Sok;HWANG, Eui-Ho;LEE,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1-631
    • /
    • 2015
  • 최근 데이터가 전략적 의사결정의 핵심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데이터 통합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에 있어 (1)데이터의 중복 및 불일치 발생, (2)데이터에 대한 의미 파악 지연으로 정보 제공의 적시성 결여, (3)데이터 통합의 어려움, (4)정보시스템 변경 및 유지 보수 곤란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장애 요인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문 및 수재해 정보포털시스템 개발'에 앞서 보다 정확한 데이터 통합관리 및 제공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별로 산재해 있는 데이터 정보요소에 대한 명칭, 정의, 형식,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여 이를 전사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 표준화 작업은 데이터의 정확한 의미 파악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주로 관리해야 될 필요성이 있는 오브젝트만을 대상으로 데이터 표준화를 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동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업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준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수요조사를 통하여 조사함으로써 데이터 표준 대상 후보를 식별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사용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데이터 표준화가 수행되면 현업 사용자는 정확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데이터 표준, 데이터 표준 준수 체크, 데이터 표준 조회 및 활용 등 데이터 표준 관리에서 수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배제하기 위해 자동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ata Quality Management Method base on Seasonality from Time series Data (시계열 데이터 특성 기반 품질 관리 방법 연구)

  • Lee, Jihoon;Moon, Jaewon;Hwang, Ji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93-96
    • /
    • 2022
  • IoT 기기의 보급 및 확산으로 많은 산업군에서 이를 바탕으로 시계열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하려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들은 주기에 따라 특정 패턴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패턴을 파악한다면 주요 산업군의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IoT 기기의 수집 오류 및 네트워크 환경에 의해 대부분의 시계열 데이터들은 누락 데이터, 이상 데이터를 갖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지 않고 분석할 경우 오히려 잘못된 결과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턴 파악을 위해 '시간, 일, 주, 월, 년' 등 시간의 주기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할하며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셋을 재구성하고 활용 가능한 데이터와 불가능한 데이터로 구분한다. 선별된 데이터셋은 클러스터링에 적용하였으며,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주기를 갖는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석 및 학습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data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in Forestry Engineering (임산공학 분야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Juseop;Han, Yeonjung;Youe, Wonjae;Kim, Su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4
    • /
    • pp.169-194
    • /
    • 2020
  • Recently, many academic fields are developing metadata to manage data produced in the field. Metadata to support a specific academic field beyond the general field is considered essential for searching, managing, sharing, and reusing research data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metadata items were derived to manage research data produced in forestry engineering. In order to derive metadata items, mapping work was performed on 7 metadata such as FGDC-CSDGM, ISO 19115, NEFIS, INSPIRE, ANZLIC, DataCite 4.3, and TTA.KO-10.0976. As a result of this study, 6 mandatory, 13 recommendations and 9 optional elements were derived. The derived metadata can be used as an item to systematically manage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forestry engineering.

Metadata Design for Ecological Research Data: Focused on DCAT (생태 분야 연구데이터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 DCAT을 중심으로 -)

  • Kim, Juseop;Yoon, Heenam;Kwon, Yong-su;Kim, Sunt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1 no.4
    • /
    • pp.249-27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metadata for management and sharing of Yeogu data produced in the ecological field. Specifically, metadata is designed based on DCAT, which is designed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between data catalogs published on the web. In addition, ABCD, Darwin Core, and EML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metadata desig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fiel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total of 51 metadata elements were derived for managing research data in the ecological field, and 6 essential elements, 23 recommended elements, and 22 optional elements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 DB when building a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based on metadata elements, and to suggest a metadata exchange format when linking with othe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