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 투자

Search Result 2,27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Inv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실증분석)

  • hyunyi Choi;Cho Keun Ta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1 no.2
    • /
    • pp.59-8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hort- and long-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Korea. To this end,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from 1976 to 2020, a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in Korea,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in which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in the long run. Also, while public R&D investment has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corporate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does not have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in the short term.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empirically found that a highly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ncrease the ripple effect of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R&D invest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should be mutually promoted, and R&D investment by corporations sh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ublic R&D investment so that public R&D investment can contribute to future economic growth.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Moderating of Political Ties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에서 정치적 연계의 조절효과)

  • Park, Junho;Lee, Jangw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9 no.2
    • /
    • pp.31-57
    • /
    • 2021
  • So far, several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however, most have focused on linear relationships. Thus, previous studies remain fragmented and show mixed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We tested the hypotheses based on extensive 20-year data on enterprises, from 1998 through 2017, as the research period.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mixed results of the research between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ects of Korean Firms' R&D Investment (우리나라 민간기업 연구개발투자의 특성 및 경제적 효과)

  • Suh, Joonghae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7 no.1
    • /
    • pp.81-122
    • /
    • 2005
  • The paper aim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irms' R&D investment and to estimate the private rate of return to R&D investme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balanced panel data is constructed with 695 firms on 8 year observations. The panel data enables to characterize R&D investment of the Korean firms, which is mostly conformed to the 'stylized facts' of R&D investment that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on foreign firms. Klette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private rate of return on R&D investment and depreciation rate of R&D capital. The paper estimates that the rate of return on R&D investment is 10.5% on average or 16.4% on median for the whole industry whereas manufacturing firms show 10.4% on average or 16.4% on median. The depreciation rate was estimated about 32.9% for whole industry, where it ranges from the minimum 11.6% for metal industry and 49.5% for services. The median estimate of the rate of return for R&D investment of Korean firms is roughly two times higher than real interest rates for the same period, which implies that R&D investment allows sizable rent in addition to the opportunity cost of capital investment.

  • PDF

지수분해분석을 적용한 지역별 연구개발 투자 요인 분석

  • Jang, Han-Su;Lee, J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11
    • /
    • 2017
  • 한국의 지역별로 특화된 과학기술 연구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도 확대되었다. 광역시도별 연구개발 투자가 확대되는 분위기에서 각 지역별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학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수분해분석(Index Decomposition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하여 광역시도의 연구개발 투자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에서 발행된 2010~2015년 동안 지역별 인구, 연구원수, 연구개발 투자비 등이다. 분석 결과 대전, 서울, 경기 지역의 연구개발 투자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업규모 및 시장지배력이 연구개발투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Won-Gi;Ban, Se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3-53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기업규모 및 시장지배력이 연구개발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1997년 3월말 현재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72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연구개발투자 활동은 기업규모와 관련성이 크며, 기업규모가 일정 크기에 이를 때까지는 연구개발 활동이 증가하지만, 일단 그 선을 넘어서면 기업 규모에 비례해서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지배력을 나타내는 시장집중률 및 시장점유율과 연구개발 활동간에는 유의한 부(-)의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출액성장률과 연구개발투자 활동간에는 분명한 관계를 확인할 수가 없었으나, 기술기회는 연구개발 활동과 예상대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장기회가 높은 산업일수록 연구개발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업의 규모 및 시장지배력이 연구개발투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나라 기업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서 기술혁신을 위한 산업조직 및 개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위한 의사결정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한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D in Electrical & Electronic Industries and Economic Growth (전기전자부문 연구개발 투자와 경제성장간의 구조적 모형 분석)

  • Yu, Jin-Ho;Sim, Jae-Yong;Bae, Mun-Si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1 no.1 s.39
    • /
    • pp.147-153
    • /
    • 1996
  • 연구개발투자의 촉진과 가용한 연구개발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연구 개발투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입증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투자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기술 및 기술능력을 통해 경제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f the R&D Investment Efficiency in Power Industry (전력산업의 연구개발투자 효율성 분석)

  • 강희정;조용현;최기련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6 no.2
    • /
    • pp.145-151
    • /
    • 1997
  • The R&D investment of power industry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ocial welfare as well as nation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efficient the R&D investment has been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R&D investment in the domestic power industry. A formula was introduced to by calcul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R&D investment of monopolistic industry under the regulation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proportion of R&D elasticity and price elasticity. It has resulted that there would be no economy of scale as the sales of electricity increases at the same rate of the increasing cost. The R&D investment in the present electricity industry has been performed inefficiently by showing the negative impact on price-cost margin of the intensity of R&D investment, which is the extent of R&D investment to reinforce economy of scale.

  • PDF

건설기술개발을 위한 투자확대 방안

  • 이준복;김홍만;남정수;박종현;이태식
    • 월간 기계설비
    • /
    • s.35
    • /
    • pp.43-55
    • /
    • 1993
  • 국내 건설산업은 국내외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대외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산업의 연구개발투자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기술개발체계를 구축하고 각 투자 주체별 적정투자규모를 산정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O 국내 건설기술의 연구개발투자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정부부문의 기술개발투자 증대 및 종합건설기술개발 사업 제도의 도입$\cdot$실시. O 적정투자규모는 2001년에 하한규모로 19,674억원(GNP 대비 0.33$\%$) 하한규모로는 27,451억원(GNP대비 0.46$\%$)정도로 예측됨. O 민간의 기술개발투자 확대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각종 지원제도의 개선과 함께 개발된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됨.

  • PDF

국방 연구개발과 국가과학기술 발전

  • Min, Seong-Gi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151
    • /
    • pp.26-33
    • /
    • 1991
  • 국가연구개발 투자액 면에서 우리의 40억불에 비해 프랑스는 5.5배, 일본은20배, 미국은 30배로서, 너무나 큰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책예산의 투자 우선순위를 연구개발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특히 정부재정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국방예산중 국방연구개발 투자비가 국방비의 2.5%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매우 주목해야만 할 사실이며, 이를 5%선으로 개선하여 정부투자액을 증대시켜 나가는 한편, 기업 연구개발투자를 유도해나가는 정책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