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실용화

Search Result 7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D Application Reinforcement Strategy and System for Public R&D Institute i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Area (지질자원분야 공공 연구기관 연구개발의 실용화 전략 및 시스템 연구)

  • Ahn, Eun-Young;Kim, Seong-Y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1 no.5
    • /
    • pp.527-539
    • /
    • 2008
  • To meet needs of R&D application reinforcement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rea, we suggest public R&D institute's strategies and system for the application including supplement of technology licensing office (TLO). We review the former studies on technology transfer successfulness criteria and difficulties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small&medium size firms and public R&D researchers, and then benchmark a japanese public R&D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newly integrated and developed with Geological Survey of Japan (GSJ). Application analysis index and the reinforcement strategy hierarchy for R&D project are established on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rea, and applied on the prioritized research projects of KIGAM. Empiric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KIGAM researchers with practical studied analysis on questionnaire and intensive interview. Result of the analysis is identified and compared with the case in Japan. It is shown that KIGAM researchers feel their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are not yet integrated with TLO and commercialized R&D are not cooperated with them. This study proposes industrial cooperation coordinators in the categorized R&D divisions of public R&D institute based on the different R&D characteristics and needs in R&D application strategies.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개발현황

  • 이철형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6
    • /
    • pp.636-641
    • /
    • 1989
  •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은 세계 각국에서 모두 공감하는 사실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 이 빈약한 경우에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에너지 자립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국 내에서의 대체에너지에 관한 연구개발은 1970년도 이후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 나 제한된 여건으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지는 못하여, 실용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에는 미 흡하였다. 대체에너지 연구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달성과 실용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및 지원 뿐 아니라 관련분야의 산. 학. 연이 모두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에 관한 기술, 정보, 인력의 상호교류가 유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풍력 에너지 개발 현황 및 전망

  • 김건훈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9
    • /
    • pp.789-799
    • /
    • 1991
  • 우리 나라 전역에 대한 거시적인 풍력자원조사와 20kW급의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나 풍력발전에 대한 산업체의 경험과 실용화를 위한 기반요소 기술은 아직 미약한 상태이므로 좀더 집약적인 투자와 연구개발노력으로 기존시스템에 대한 운영경험과 기술분석을 꾀하여 중형급 풍력발전시스템의 국산화 개발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개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 있는 시행착오 요인을 최소화하고 단시간 내에 신뢰성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서는 기존의 실용화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토록 하며 산. 학. 연의 협동 연구개발체제의 구성을 통해 집중적인 개발노력이 가해져야 하며, 산 . 학. 연의 협동체제가 현실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STANDARDS PRISM (2) 표준시론(時論) - 전기자동차와 기술표준 -전기자동차 개발과 실용화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표준화 선행돼야

  • Heo, Hun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4
    • /
    • pp.8-14
    • /
    • 2011
  • 대체에너지 개발과 탄소에너지 규제에 발맞추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실용화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8월호에서는 허훈 전기자동차 국가표준 코디네이터로부터 전기자동차의 개요와 현황, 세계 각국의 동향과 표준화작업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2012년 2월호에 게제될 다음 연재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표준화작업과 연구개발 실태와 현황에 관해 보다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 PDF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 = 실증시험과 현황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6 no.2 s.36
    • /
    • pp.58-61
    • /
    • 1986
  •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대해서는 여러나라에서 연구개발중이며 이미 실용화 또는 실용화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국가도 있다. 미국에서도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행해지고 있는데 원자력발전소 사이트내저장을 위해 DOE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고밀도저장 및 건식저장의 실증시험계획을 소개한다.

  • PDF

Developing a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s) for a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자제를 위한 기술준비수준 모델 개발)

  • Hong, Jin-Won;Park, Seung-Wook;Suh, Woo-Jong;Park, Ji-M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3
    • /
    • pp.58-75
    • /
    • 2009
  • As practic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ies invented from the national R&D(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the need for a tool for R&D project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Technology Readiness Levels model(TRL) has currently been used for R&D project management because it provides distinctive definition of the nine levels in the progr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starting from the basic research level to the utilization lev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opt the model for a large-scale national R&D project in which multiple research projects are involv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RL demands evaluation of research projects done by relevant experts and offers no specific measures determining the level of technology development. This study uses Delphi method to develop the measurement system helping to determine technology readiness levels for the technologies invented in a large scale national R&D project. The proposed model includes definition and measurement scles for each level in TRL.

기존선 속도향상을 위한 실용화 기술

  • 유원희;엄기영;한성호;김대상;신광복;이수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5 no.2
    • /
    • pp.12-26
    • /
    • 2002
  • 기존선 속도향상, 안전성 확보, 수송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하는 철도기술연구개발사업은 고객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타 교통시스템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관행정부처인 철도청과 전문기관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1999년 12월 철도기술연구개발사업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2001년 8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사업자로 선정하고 총 450억의 정부지원예산을 투입하여 2004년까지 4차년도에 걸쳐 기존선 속도향상을 위한 실용화 기술개발, 철도유지보수시스템개발, 고속 철도운영시스템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략)

미래지향적 교통수단으로서의 자기부상렬차

  • 한규환;김재홍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9
    • /
    • pp.758-764
    • /
    • 1992
  • 자기부상열차는 환경영향성, 안락성, 경제성, 고속성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래 지 향적인 교통수단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에서는 약 20년에 걸친 개발을 통하여 약 500KPH 기량의 시험속도를 달성하고 실용화를 위해 주행시험을 계속하고 있다. 국내의 개 발현황으로는 아직 저속(50KPH 이하)에 머물고 있으나 계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새로운 교통수단의 실용화를 앞당기고자 하는 노력이 관련 국가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93년 대전세계 박람회에서 운행될 자기부상열차의 성공여부가 금후의 자기 부상열차 실용화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전 타이어의 실용화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101
    • /
    • pp.14-21
    • /
    • 1982
  • 타이어가 펑크가 나도 림에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일정한 타이어 수리지점까지 주행할 수 있는 타이어 즉, 안전타이어(Run-flat tire)의 시제품을 최근 각 타이어메이커에서 만들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실용화 단계는 못되었다. 81년 Toyo고무와 Nissan 자동차의 공동연구에서 동 Runflat 타이어 개발에 성공하였다. 본고는 동사에서 개발한 "Duraflat"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안전 타이어"에 대해서 여러가지 기술적인 면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첨단과학현장 - 다가온 고온초전도기술의 실용화시대

  • Hyeon,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4 s.323
    • /
    • pp.78-82
    • /
    • 1996
  • 1986년 IBM 취리히연구소의 알렉산더 뮐레와 게오르그 베드노르츠가 세라믹과 같은 물질인 란탄 바륨 산화동이 당시로서는 기록적으로 높은 온도인 절대온도 35도(34K, 섭씨 -238도)에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이래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당시만 해도 고온초전도체라는 새로운 소재가 세계의 모습을 바꿀지도 모른다는 매스컴의 대대적인 보도와 함께 고온초전도기술연구의 뜨거운 열기는 한때 온 세계를 뒤덮다시피 했다. 그 뒤 초전도기술의 실용화연구는 이런저런 걸림돌과 부딪치면서 차츰차츰 일반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으나 실제로는 그동안의 줄기찬 연구개발의 소산으로 마침내 고온초전도 실용화시대가 저만큼 성큼 다가서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