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 정보

Search Result 4,85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 for WBS-based cost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 Yoon, Hoi-Su;Moon, Jin-Suk;Kim, Seong-Jin;Han, Ch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30-1432
    • /
    • 2011
  • 공사비정보와 일정정보는 사업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들이 연계활용되어야 공정공사비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정은 공사비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관리됨에 따라 설계사에서 작성되어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갖고 있던 수량정보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정보들을 상실하고 시공사에서는 다시 물량분개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사업을 대상으로 작업분류체계(WBS)를 그 연계방안으로 제시하고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통해 설계사에서 작성된 정보를 시공사에서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는 이러한 작업분류체계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검토, 지원도구 활용 공사비 작성, 시험적용을 통한 지원도구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역정보와 공정정보의 연계가 실현되고,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Research o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Next-Generation Integrated Forecasting And Alerting Platform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을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연구)

  • Ahn, Byung-Dug;Lee, Jae-Young;Park, K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41-44
    • /
    • 2021
  • 현재 재난정보전달시스템은 재난 유형별, 유관기관(중앙부처, 지자체) 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해당 시스템 간 연계가 미흡하여 통합적인 재난정보 확보와 적절한 조기 대응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경보 플랫폼과 상황전파 플랫폼 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재난안전정보체계 및 통합플랫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재난 대응을 위해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 및 전달되는 매체는 제한적이므로, 신속 정확하고 다양한 재난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새로운 방송 및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기반 재난정보 전달을 위한 표준 제정 및 시스템 고도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ICT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재난정보전달플랫폼에 대한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 구축되어 있는 재난안전정보공유플랫폼 및 관련 재난안전정보시스템과 연계 가능하고 표준화된 다매체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플랫폼을 개발함에 있어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을 위한 통합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대국민을 대상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재난정보 전달을 실현하고 대관(재난관리기관)에 대한 재난현장정보 수집의 어려움 해소 및 현장 중심의 양방향 의사전달을 증대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을 수행한다.

  • PDF

Study on drawing up the integration method between combin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desig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ransportation-Power-Infrastructures on the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 교통-전력-시설 통합 정보통신 네트워크 설계 및 정보관리시스템 간 연계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 Choi, Yoon-Gun;Hwang, Tae-Hong;Kim, Geon-G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0 no.5
    • /
    • pp.60-70
    • /
    • 2011
  • Vehicle loca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ve be designed along the same lines as GPS, CDMA and WLAN, which is based upon the selecting factors such as state-of-art technology trend, accuracy, s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n order to select the optimum method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for integrated "Transportation-Power-Facilities" on the electric bus. In addition, the key features of each alternative for an efficient linkage have been review and the integration methodology for linking among Transportation Charging Center, Transportation(ITS, BIS) Center and smart Grid Center has been drawn up based on a technical level of difficulty of each alternativ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difficulties, and expense justification.

Construction of BIBFRAME-Based Linking Structure for Interrelating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대체자료 서지레코드 연결을 위한 BIBFRAME 기반 연계 구조 구축)

  • Lee,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3
    • /
    • pp.281-301
    • /
    • 2021
  • Bibliographic records for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using a flat bibliographic structure based on unit recor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be linked with other related resources in record leve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access to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tructed a linking structure which adopted FRBR-based BIBFRAME structure to establish a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can interrelate the bibliographic records with flat structure and the multi-level BIBFRAME structure. This research proposed a linking bibliographic structure that enables interlinking between bibliographic records for related alternative format materials by composing upper-level linking property categories and interconnecting them to classes and properties of BIBFRAME.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Public Benefits linkage i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장애인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과 시사점 연구)

  • Lee, J.H.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8 no.3
    • /
    • pp.221-2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and analysi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linkage on public benefits in loc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The service steps and the main program parts of public benefits linkage in loc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was identified, and the present status of associated repair works and contact supplier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local commun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e most common level of associated status to provide inform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public benefits. All the centers provided repair service, and it was typically performed to light maintenance. The centers offered with associated professional repair service supplier for high maintenance service. The conne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lier appeared a lot of regional difference. Henceforth, the centers will be required to distribute more variou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is necessary upgrad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public benefits supporting organizations through its expansion, and it is need to ensure based 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bout linkage.

  • PDF

직역연금 간 합산 제도의 연계 제도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 Ju, Hyo-Chan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5
    • /
    • pp.193-217
    • /
    • 2020
  • 본 연구는 직역연금 간 이동자의 연금수급권 확보를 위해 도입된 합산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합산은 2015년의 연금법 개정으로 연금수급조건이 10년으로 하향 조정되어 그 실효성이 크게 약화되었다. 무엇보다 합산 기간에 대해 최종적으로 연금을 지급하는 직역연금에 재정적으로 불리하여 직역연금 간 재정부담의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합산 시 납부하는 합산반납금 또는 수급자였던 자가 합산하는 경우 이체 받는 연금액은 연금지급을 위한 충분한 재원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합산은 연금액 이체 시의 정산과 같은 비효율적 업무 혹은 관련 법령의 불완비성에 의해 제기되는 민원과 소송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역연금 간 합산은 연계로 전환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연계를 통해 연금수급권 확보라는 합산의 도입 취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합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현재의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간의 연계 제도를 확대하여 공적연금 간의 연계 제도로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이 경우 기존의 법 제도와 정보연계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직역연금 간의 연계 제도를 위한 많은 수고와 노력을 줄일 수 있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Statistics Model (웹 기반 LCMS와 연계한 LMS에서의 학습통계 모듈 설계 및 구현)

  • Kim, Sang-Gil;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21-324
    • /
    • 2005
  • 기존의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는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무관하게 학습과 관련한 컨텐츠들이 획일적으로 구성됨으로써,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CMS(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와 LMS를 연계한 학습 통계 모듈을 제시하고, LMS에 학습자와 운영자에게 학습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학습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학습이력을 관리 할 수 있는 학습통계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시된 모듈에서는 효과적인 학습통계을 위한 검색 방안으로 LCMS의 메타데이터와 다양한 학습관리 정보(CMI)값을 LMS를 호출하는 기능인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어댑터를 이용하여 연계된 값과 LMS시스템에 학습지원과 운영지원 기능을 추가하여 나온 결과값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 학습통계모듈을 통해서 LMS운영자는 학습자의 컨텐츠의 활용을 더욱 확장할 수가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정보관리를 하는 LMS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 PDF

Planning of XML Based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KSC 1 System (효율적인 KSCI 체제 구축을 위한 XML기반 모델 설계)

  • 이계준;조현양;최재황;손강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9-51
    • /
    • 2001
  • 과학기술 논문의 수준을 평가하고, 국내 학술지 및 기관간의 연구능력 비교 분석의 척도로 사용하기 위한 KSCI(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하여 XML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KSCI 데이터베이스는 인용만 논문과 인용된 논문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고 논문을 작성한 저자들에 대한 인력DB의 구축과 연계를 통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어지는 표준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간의 연계를 효율적으로 주진하고 효율적인 KSCI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XML 표준을 설계하였다. 첫째, 데이터베이스틀의 연계를 위한 모델을 설계, 둘째, 인용된 논문과 인용한 논문에서의 서지정보. 저널정보, 참고문헌정보에 대한 XML DTD를 정의 셋째, 저자와 공저자들에 대한 인력DB 구축을 위한 XML DTD를 정의하였다. 본 논문은 KSCI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서 데이터에 대한 상호 교환, 공동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안정적인 체제 구축을 고려하여 모델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관련 요인)

  • Park, Mi-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1
    • /
    • pp.63-91
    • /
    • 2002
  • This article investigates 170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The social workers of this study work at different kinds of mental health organizations(mental hospitals,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mental residential facilities).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were 1) the degree of linking services is low, and the primary type of coordination is sharing of information and client referrals. The fund-raising and joint project cases are very poor. 2) based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arc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pondents' sex, education level, job-related status, experience in mental health field, mental health licence(personal factors), loc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type of primary client(organizational factors). 3)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coordina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experience in mental health field, current job-related experience(personal factors), education, location of organiz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history of organization(organizational factors). Finally, the research recommends that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nformation network is needed in order to enhancing the function of service coordina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lso, mental health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agencies should provide opportunity of discussion and training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develop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expand the content and type of service coordination.

  • PDF

Systematizing and Improving of Spatial Environmen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환경정보의 체계화와 개선방안)

  • Eum, Jeong-Hee;Choi, Hee-Sun;Lee, Gil-S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111-133
    • /
    • 2010
  •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notwithstanding their feasibility and potential utility in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spaces, has long been perceived in practice as "declarative" and a "formality." Such perceptions are largely the result of the failure to provide spatial planning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development of the space in question, and to sufficiently interconnect with urban development plan. This demonstrates the need for ways to link disparate plans, i.e. to enact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at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data a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which would provide both linkages with other plans, and ensure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n proposed systems for links with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ect of this, the study examined spatial data systems, and then classified applicable spatial according to each environmental medium. The study also produced spatial information and planning items that can be included in spatial environment plans for each of the nine environmental media, and then constructed a system that could link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system, current spatial environment data, and spatial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matters for impr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spatial environmental data to ensure the activ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spatial database, by facilitating the smooth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can enhance and up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while contributing to enhanced linkages with related spatial pl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