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계 시스템

검색결과 4,808건 처리시간 0.06초

기구축 계측시스템의 안전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the Existing Monitoring System with the Safety Management Network System)

  • 이진형;박기태;유영준;주봉철;황윤국;배인환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47-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구축 계측시스템의 안전관리 네트워크 시스템(국토해양부, 2008) 연계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 신공항하이웨이(주) 관할 현수교인 영종대교 계측시스템의 안전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연계 시범구축을 실시하였다. 기구축 계측시스템 데이터 연계를 위하여 DAQ Sender 서버 프로그램과 DAQ Receiver 서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AQ Sender 서버 프로그램은 기구축 계측시스템 전산센터 내 중립지역 (DMZ ZONE)de미리 설치 서버계서버설치되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기구축 계측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DAQ Receiver 서버 프로그램은 안전 관리 네트워크 시스템 통합운영 센터 내 연계서버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DAQ Sender와 통신을 통해 실시 간 및 기간이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운영 서버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시범구축 결과 기구축 계측시스템으로부터 연계항목을 구성하고 실시간 및 기간이력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연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각 기구축 계측시스템들을 통합할 때 필요한 연계방안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 PDF

분산전원 설비 연계를 위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통신연계 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Intelligen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Generation Equipment)

  • 이강석;이원재;정양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204-206
    • /
    • 2007
  • 현재 전력IT 과제로 개발 중인 배전지능화 시스템은 기존의 배전망 관리뿐만 아니라 154[kV]변전소 및 수용가까지의 모든 전력설비들에 대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각종 센서들을 내장하여 해당 설비들의 상태감시를 관리하고 분산전원 설비와 연계하여 통합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오늘날 신재생애너지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향후 배전계통은 분산전원과 연계되어 운영 될 것이며 이에 따른 새로운 배전관리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배전지능화 시스템에서 분산전원 설비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분산전원별 주요 감시 데이터 항목 선정 및 분산전원 설비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분산전원 연계용 FEP(Front-End Processor)를 설계하였다.

  • PDF

과학기술 학술정보 서비스 연계 관리 시스템 (A System of Managing Connec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s)

  • 이미경;정한민;성원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3-826
    • /
    • 2008
  • 본 논문은 과학기술 학술정보 서비스와 연계되는 외부 웹 사이트 페이지들을 자동 연결하고 관리하는 과학기술 학술정보 서비스 연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연계될 외부 웹 사이트를 결정한 후, 직접 연결될 웹 페이지의 연계 규칙을 작성하고 검증하는 외부 웹 페이지 연계 설정 서버와 외부 웹 페이지의 연계를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외부 웹 페이지 연계 관리 서버로 구성된다. 이것은 연계 결과가 저장된 연계 대상 페이지의 하이퍼링크를 제거하는 기능, 연계 실패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사이트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자가 원하는 모든 분야의 웹 페이지를 쉽고 빠르게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과학기술 학술정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때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 네트워크 관리자가 원하는 모든 분야의 외부 웹 서비스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연계 가능하다.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한 연계가 필요할 경우 네트워크 관리자의 수작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과학기술 학술정보 서비스 페이지와 외부 웹 사이트간의 연계 정확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외부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웹 사이트에서 외부 여러 웹 사이트의 검색 결과로 직접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켜준다. 그리고 자동 검증 기능을 통해 연결된 웹 페이지의 출력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신뢰도와 호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

상수관망에서의 비상연계 운영 시 발생 가능한 고압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olving High Pressure Problems Possible in Emergency Interconnection Oper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김수리;김아린;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2-202
    • /
    • 2019
  • 상수관망 시스템의 목적은 수요자에게 양적으로 안정하고 질적으로 안전한 용수를 적정 수압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수관망 시스템은 노후화, 시공 중 파손 등 다양한 내 외적 요인들에 의해 파괴가 불가피하며,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단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단수피해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은 인근 배수블록과의 비상연계를 실시하는 것이다. 비상연계란, 관망의 파손 등 비정상상황 발생 시 단수구역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인접한 배수블록과 연결된 비상관로를 운용하여 인접 배수블록으로부터 단수구역에 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연계 시 연계공급을 실시하는 배수블록에서의 문제점이 아닌 연계공급을 받는 배수블록에서의 문제점을 실제 A시 관망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실제 A시에서는 직경 600mm 간선관로(수지식)의 파손으로 2지 배수블록 하단부가 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단수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인근 배수블록인 1지 배수블록과의 비상연계를 실시하였으나, 2지 배수블록 하단부의 말단부분에서 고압이 발생하고 관로 파손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시에서 실시한 비상연계 시나리오를 구축한 후 수원에서의 유한함을 고려할 수 있는 A-PDA 기반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대한 고압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고압 문제의 원인은 연계 공급을 실시하는 1지 배수블록과 2지 배수블록간의 고도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감압밸브 추가 설치, 주요 관로 복수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각 해결책에 따른 모델을 구축한 후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해결책이 상수관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관망에서 비상연계 시 발생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비상연계 시스템 구축 시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수집 시스템간의 이기종 데이터 연계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linking heterogeneous data between collection systems)

  • 박민우;심형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85-586
    • /
    • 2022
  • 사회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가 필요하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저장, 활용 시스템이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에 따른 시스템간의 데이터 상호 연계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에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간의 데이터 연계나, OpenAPI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있어, 확장성을 고려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연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웹 서비스 기반 인터넷 쇼핑 연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s-based Internet Shopping Integration Systems)

  • 한동일;김혜정;박현규;이상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467-470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 시스템에서는 단순히 웹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에 기반한 인터넷 쇼핑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웹 서비스 기반의 인터넷 쇼핑 연계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 인터넷 쇼핑 연계 방식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Technological Systems for Industrial Robots in Korea and Sweden

  • 성태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3-255
    • /
    • 2004
  • 이 논문은 Carlsson and Stanklewicz(1991)가 창안한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s)의 개념을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적용하여, 양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술시스템의 개념을 재구축하고, 동태적인 측면에서 시스템의 진화과정을 보강한 다음, 한국과 스웨덴의 산업용로봇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양 기술시스템의 중요한 특징들을 비교하고 그 성과를 측정하였다. 한국과 스웨덴에 있어서 산업용로봇 기술시스템의 진화과정은 공히 미국, 일본 등 기술선도국을 모방하는 입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기간'이 20여 년 이상 소요됨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양 시스템의 진화과정. 특히 태동기(embryo stage)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술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산업네트워크, 기술하부구조, 그리고 제도적하부구조 면에서 강약점 및 특징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기술시스템의 동태적 성과면에서는 한국의 경우가 스웨덴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스웨덴 시스템에서는 초기에 우위를 누렸던 기계, 전기, 그리고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우위와 사용자 능력이 점차 약화되어온 반면에 한국의 시스템은 기술하부구조 등이 취약하였지만 해외시스템과의 연계, 재벌 내에서의 기업간 연계, 산학연 협동, 그리고 지역내 연계 등 시스템내의 연계성이 기술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전해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어느 한 기술시스템이 자생적으로 생명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별적 형성 및 발전보다는 구성요소간 그리고 시스템내의 다양한 활동주체들의 상호작용과 연계성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SEM기반 융합형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설계 (A Design of the Convergent Digital Marketing Platform based on SEM)

  • 이경호;홍성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09-212
    • /
    • 2011
  • 디지털 혁명이라는 모바일 시대로의 진입과 더불어 디지털마케팅의 다양한 형태로의 발전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 되고 있다. 기존의 TV, 신문, 잡지 등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에서 소셜 마케팅, 서치엔진 마케팅, PPC 관리, 인터넷 브랜딩, 웹 프로모션 등의 다양한 형태가 모바일 기반 기술로 연구발전 되고 있다. 각각의 디지털마케팅 방식은 기업의 기간 정보 시스템과는 별도의 운영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새로운 디지털마케팅 시스템과 여기에서 산출되는 결과 데이터 등은 기존 기업의 기간 정보시스템인 ERP, CRM, BI 등의 레거시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업은 디지털 혁명의 모바일 시대의 디지털마케팅을 적용하기 위해 각각의 디지털마케팅 형태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 및 조직운영을 고려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기업은 각각의 시스템의 운영 및 이 기종 시스템간의 연결 구현을 위해 시스템 운영, 관리 조직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복 투자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마케팅에 사용되는 시스템과 기업의 기간 정보시스템과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융합형 디지털 마켓팅 플랫폼의 연계 방안을 연구하고 제안한다. 융합형 디지털 마켓팅 플랫폼은 이종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운영에 필요한 새로운 관리 조직 형태의 제안 또한 포함 된다. 다양한 디지털마케팅의 발전에 따른 기존 기업의 기간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마케팅을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 방법으로 구현하여 기업의 새로운 디지털 마케팅 환경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논문 - 태양광을 이용한 선박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I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lar Hybrid Generating System for Ship)

  • 최한규;김희제;이경준
    • 선박안전
    • /
    • 통권32호
    • /
    • pp.12-29
    • /
    • 2012
  • 본 연구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선박에 설치하고, 동 시스템과 연계한 선박 발전시스템에 대한 해상 실증 실험을 통하여 발전 시스템의 작동, 신뢰성과 선박 복원성능 및 경제성을 평가하고, 육상으로 송전하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독립형 발전시스템 선내 부하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태양광 발전과 선내 발전시스템간의 하이브리드 운전이 안전하여 상용화에 문제가 없으며,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수익모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 설치선박은 단기간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태양광 관련 설비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용량의 발전시스템 선박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풍력단지가 연계된 VSC-HVDC 멀티 터미널 시스템 모델링 (VSC-HVDC Multi-terminal system modeling connected to Wind Farm)

  • 손금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13
  • 전력 시스템의 변화 및 전력 전자 소자의 발전으로 인하여 HVDC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Point-to-Point 형태의 HVDC 시스템에서 진보하여, 멀티 터미널 형태 그리고 풍력단지와 연계된 다양한 Topology가 계획 중이거나 실제도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풍력단지와 연계된 멀티터미널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세 곳의 AC 계통 시스템과 한 곳의 풍력단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압형 컨버터를 통하여 DC 계통을 구성하였다. 풍력발전의 변동 및 Master 컨버터의 탈락 시험 또한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