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계형

검색결과 2,721건 처리시간 0.035초

완전분포형 지표수-지하수 연계모형을 이용한 유출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Long Term Runoff by applying the Fully-distributed Hydrologic Model)

  • 이동준;이도훈;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701-70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환전분포형 지표수-지하수 연계모형인 MIKE SHE 모형을 SWAT모형을 이용하여 산출된 소유역 유출량 자료 및 함양량 자료와 연계하여 국내 IHP 대표유역의 하나인 보청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실측유출량자료와 모의된 유출량자료를 비교하여 통계적 변량을 산출하여 모형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EI와 RMAE, $R^2$값은 각각 0.64와 0.74, 0.82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모형이 실제를 만족스러울 정도로 잘 반영하고 있지는 못한다고 판단되었다. 이는 적용된 모형의 문제점이라기 보다 국내 실정에서 모형의 입력자료를 뒷받침할 만한 세분화된 자료의 부족에서 기인된 결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완전분포형 모형의 입력자료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시추 자료, 수리상수 자료 등이 확보되고 모형의 보정과 검정과정을 거친다면 더욱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 보안된다면 본 모형의 국내 적용에는 큰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술논문 - 태양광을 이용한 선박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I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lar Hybrid Generating System for Ship)

  • 최한규;김희제;이경준
    • 선박안전
    • /
    • 통권32호
    • /
    • pp.12-29
    • /
    • 2012
  • 본 연구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선박에 설치하고, 동 시스템과 연계한 선박 발전시스템에 대한 해상 실증 실험을 통하여 발전 시스템의 작동, 신뢰성과 선박 복원성능 및 경제성을 평가하고, 육상으로 송전하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독립형 발전시스템 선내 부하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태양광 발전과 선내 발전시스템간의 하이브리드 운전이 안전하여 상용화에 문제가 없으며,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수익모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 설치선박은 단기간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태양광 관련 설비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용량의 발전시스템 선박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가정생활' 분야의 연계성 및 중복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nectivity and Duplication of Curriculum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on 'Family Life' Contents Area of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윤지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연계성 및 중복성의 준거유형을 개발하여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의 초등 및 중등의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연계성 및 중복성을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 구조화의 원리가 초·중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계성과 중복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계성과 중복성의 준거 유형들을 개발하였다. 연계성은 '분절된 위계형'과 '나선의 위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복성은 '반복형'(상), '재현형'과 '심화형'(중간), '치환형'과 '생략형'(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간 정도의 중복성을 보일 경우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 내용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심화형 중복성을 나타내어 높은 연계성을 보이며, '가정생활과 안전'에서는 '안전' 개념이, '자원관리와 자립'에서는 '생애설계' 개념에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에 비해 중등의 '가정' 내용은 난이도와 교과 내용의 양의 증가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심화형 중복성을 보이며 연계성이 높아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나 '가정생활' 분야의 핵심 개념 가운데 '안전'과 '생애설계'는 학교급 간의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고 '생활문화'와 '관리'는 중간 정도의 연계성을 보이며 '발달'과 '관계'는 높은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조화 할 때는 초등과 중등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과와 기술·가정 각각의 학교급별 교과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특성들을 고려한 핵심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적정한 분량 및 난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적정한 내용 중복의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동일 학교급 내에서 동일 주제의 반복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3상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Seamless transfer를 위한 비례공진 제어기를 활용한 간접 전류 제어 기반의 모드 절환 기법 (Indirect PR current control based mode transfer technique for Seamless transfer of three phase grid-connected inverter)

  • 임경배;신찬호;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4
    • /
    • 2016
  • 본 논문은 3상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seamless transfer 를 위한 비례공진 제어기를 활용한 간접 전류 제어 기반의 모드 절환 기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분산 발전 기반의 인버터는 계통 연계 모드와 독립 운전 모드에서 각각 전류원과 전압원으로서 정의된다. 이런 이유로 계통 연계형 인버터는 두 모드 영역에서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신뢰할 만한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존에 두 모드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PR 제어 기반의 간접 전류 제어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분산 발전 기반의 인버터 전원 공급의 신뢰성은 각 모드의 절환시에도 마찬가지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독립운전에서 계통 연계 모드로 절환 시 필요 되어지는 PLL 모드에서의 PR 제어 기반의 모드 절환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인버터의 정상상태뿐만 아니라 과도 상태에서 지역적 부하와 계통 모두에 신뢰할 만한 전력을 공급하기위해 제안된 PR 제어 기반의 모드절환방식은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seamless transfer 를 구현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하이브리드 분산전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rid-connected PV-WT-BESS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 전진홍;조창희;김슬기;안종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17-518
    • /
    • 2006
  • 본 논문은 태양광과 풍력, 축전지 시스템으로 구성된 계통연계형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구성과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축전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태앙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축전지 시스템은 모두 공통 직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통과 연계운전을 위한 계통연계 인버터 시스템을 공통 직류단과 계통 연계점 사이에 적용하여 연계점의 출력을 제어하였다. 또한 분산전원 통합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전체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출력과 각 모듈의 상태를 감시, 제어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에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 결과의 제시를 통해 제작된 시스템과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복수의 에너지원을 이용하므로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상용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도서지역 등에 단독 운전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PDF

2단 인버터를 사용한 고성능 연계형 인버터 (A novel high performance interactive inverter using two module inverter)

  • 김기선;이민중;박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71-17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2단 인버터를 사용한 고성능 연계형 인버터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2단 인버터에서 하나의 인버터는 연계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생성하고, 다른 하나의 인버터는 연계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전압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는 PSIM 시뮬레이션으로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기본파(60Hz) 전압만 남게 되어 양질의 정현적인 전류를 연계 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일본의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 : 설비·운영 기준, 보육·교육내용 및 교사자격을 중심으로 (Problems and Tasks of Integrated Cente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Standards for Equipment and Managemen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Teacher Qualification)

  • 장경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91-412
    • /
    • 2014
  •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일체화 시설로서 2013년 현재 59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자 일본정부는 2012년에 인정어린이원법을 개정하고, 2014년 4월에는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운영의 기준 및 보육, 교육내용을 발표하였다.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및 운영의 기준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기준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유치원과 보육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보육, 교육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육의 준비단계로서의 교육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0-5세의 영유아가 하루생활의 대부분을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호적인 측면의 내용이 한층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중소형 건물용 지능형 태양광 인버터 성능시험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Test of an Integrated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Based Photovoltaic Inverter for Medium and Small-Sized Buildings)

  • 김응상;김슬기;안종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149-15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압 및 전류보호, 주파수보호, 순간정전, 순간전압 저하보호 및 단독운전 기능 등 보호기능을 통합한 지능형 보호 및 제어기를 내장한 30kW급 태양광 인버터의 실 계통 연계시험을 통해서 지능형 보호기기의 성능 및 효용성을 입증하고 보급 확대를 도모하고자 지능형 보호 및 제어 기능을 내장한 30kW급 태양광 인버터를 제작하고, 그 보호성능 시험을 위한 성능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계통 연계 보호성능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중소명 건물용 지능형 태양광 인버터 계통연계 보호기능에 대한 효용성의 입증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